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요양시설 위기관리실태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 광주/전남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

        황옥화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위기관리실태 및 개선방향에 관한 내용을 알고자 광주․전남지역에 위치한 시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태를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리스크 요인에 있어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리스크요인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어르신 상호간의 싸움으로 쌍방에게 상해 및 정신적 피해를 입히는 요인에 응답률이 높았으며, 화장실 사용 시 미끄러져 타박상 및 골절, 보행시 부주의한 실수로 낙상, 목욕시 부주의한 실수로 인한 낙상, 음식물을 먹다가 토하거나 목에 걸려서 기도 막힘,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시 다리에 상처, 식중독 사고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사고 발생 건수에 대한 내용을 살펴본 결과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안전사고는 어르신 상호간의 싸움으로 쌍방에게 상해 및 정신적 피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리스크 요인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경영에 있어 힘들어 질것이라는 것을 예측 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따른 이용자들의 선택권의 확대와 시설의 경영에 대한 압박이 심각해지리라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영리스크에 대한 직급별로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리스크 요인에 있어서는 평균 4.0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혀 보지 못했다가 가장 많았으며, 2-5년에 한번정도, 6-10년에 한번 정도로 사회적 리스크 요인에 대한 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도덕성이나 사회적 인지도가 높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재해리스크 요인에 있어서는 전체 리스크 중에서 평균 4.3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전혀 없다가 52.2%로 가장 많았으며, 6-10년에 한번, 2-5년에 한번, 1년에 한번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혀 없다 에는 아에 응답률이 0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재해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잘 되어있으며, 상대적으로 최근에 설립된 시설의 경우에는 이러한 재해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잘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스크관리 실태를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리스크 관리의 실태는 위험에 대비해 화재보험 중 대인․대물에 가입했다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재해 및 각종사고발생시 비상연락체계가 갖추어졌다가 순 이었다. 그리고 노인요양시설의 리스크관리 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리스크관리에 대한 방안이 체계화 되어있지 않으며, 그 필요성에 대해서도 현장에서 끊임없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언제 어느 때라도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이 아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요양시설의 리스크관리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한다면 첫째, 리스크 관리에 대한 명확한 목적과 정책을 결정해야한다. 둘째, 관리해야 할 위험에 대한 범주를 명확하게 하여야 한다. 셋째, 사고에 대한 사후 대응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현행 시행되고 있는 사례관리를 적극 도입하여 체계적인 관리를 하여야 한다. 다섯째, 각 종사자의 명확한 업무분장과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 라고 제시할 수 있겠다. 주제어 : 리스크 요인(업무, 경영, 사회적, 재해 리스크), 리스크 관리실태, 리스크관리방안

      • 유산균(lactobacillus rhamnosus HK-9) 발효 길경 추출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과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C57BL/6J 쥐의 비만 개선 효과

        황옥화 한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발효 길경의 항 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in vitro에서는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하였 고 in vivo에서는C57BL/6J 쥐에서 고지방 식이로 2주간 비만을 유도한 후 8주간 길경 및 발효길경 을 경구투여하여 항 비만 활성을 확인 하였다. 우선, 길경과 발효길경 추출물을 제조하여 세포 생존 율을 확인하여 세포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농도범위를 확인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분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Oil red O 염색법을 실시한 결과, 발효길경 200 μg/mL에서 약 20%의 분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Western blot 분석에서도 adipogenic 전사 인자인 PPARγ, C/EBPα, FABP4 의 단백질 발현은 분화유도제 처리로 인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발효길경을 처리하였을 경우 이 단백질들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길경 및 발효길경의 in vitro 결과를 바탕으로 고지방식 이로 비만을 유도한 C57BL/6J 마우스와 이에 길경 200 mg/kg/day 발효길경을 농도별 (50, 100, 200 mg/kg/day)로 매일 경구 투여하여 항비만 실험을 진행하였다. 10주간 사육 후 체중과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를 비교한 결과, 고지방식이로 인해 증가하였던 체중과 부고한 지방조직의 무게는 길경 및 발효길경의 투여로 인해 감소 하였고 발효길경 200 mg/kg/day 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 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FD군의 지방조직에서는 주요 adipogenic transcriptional factor (SREBP1c, C/EBPα, 및 PPARγ) 및 adipocyte marker protein (FAS 및 FABP4)들의 단백질 발현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길경 및 발효길경을 처리한 군에서는 adipogenesis와 lipogenesis 관련된 발 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발효길경 200 mg/kg/day 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 다. 지방조직에서 H&E 염색을 실시하여 지방조직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정상군보다 비만 대조군 의 지방세포 크기가 커졌음을 확인하였고, 발효 길경추출물을 고농도로 투여한 군에서는 대조군보다 지방세포 크기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발효길경은 길경의 발효과정을 통하여 생리활성성 분이 증대되었으며, 이로 인해 adipogenesis 와 lipogenesis 과정이 억제로 인해 비만 및 이와 관련 된 만성질환을 예방하는데 새로운 기능성 식품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besity has rapidly increased and obesity-related comorbidities have surged. It has become the most common problem i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1).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ti-obesity by an increase in the volume and number of adipocytes, which are accumulation of excessive fat in adipocytes (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fermented Platycodon grandiflorum (FPG) inhibits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and high fat diet (HFD) induced obese mice. We evaluated the effect of FPG on anti-adipogenic activity via regulation of PPARγ, C/EBPα and their target gene, FABP4 protein expression. We further examin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FPG on HFD induced obese mice. FPG was orally administrated to mice with the HFD at doses of 50, 100 or 200 mg/kg/day for 8 weeks. Our results show that FPG significantly inhibited fat accumula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hrough a mechanism(s) that involves direct downregulation of adipogenic transcript factors (PPARγ and C/EBP). Moreover, FPG markedly reduced final body weight with a decreased mass of epididymal adipose tissue and adipocyte size compared to the mice with obesity induced by a HFD. The effects of FPG on HFD-induced obesity were primarily responsible for inhibiting adipogenesis in adipose tissue and regulating lipid metabolism such as lipognesis and fatty acid oxidation. Also, FPG ameliorated serum TC, TG and LDL-cholesterol levels. Hence, FPG could be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controlling obesity by down-regulating lipid accumulation.

      • GMO Marker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한 면역 분석 시스템의 개발

        황옥화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GMO)의 분석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한 물질인 marker 단백질과 그것에 대한 항체는 재조합 방법에 의해서 생산되었고, 대조 물질을 사용하여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eomycin phosphotransferase II (NPTII) 와 cucumber mosaic virus coat protein (CMV CP)인 두 개의 GMO marker 단백질은 재조합 방법을 이용하여 E. coli 로 부터 대량 생산하였다. 생산된 단백질은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해서 정제를 거친 후, 그들의 구조적인 형태와 반응 친화도를 각각의 대조 항체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조합 단백질은 통상적으로 얻을 수 있는 대조 단백질과 동일한 크기로 존재하고 면역 반응성도 유사하였다. 검증을 거친 재조합 단백질을 면역원으로 이용하여 복합클론과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였고, 면역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GMO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산된 항체는 non-GMO로부터 GMO를 특이적으로 검증하였고, 정확한 크기의 marker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marker 단백질의 검증 한계는 한국의 GMO 규제 상한에 해당되는 1% 이상을 검증할 수 있었다. CMV CP의 경우 0.01% 까지도 검증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하여 증명된 marker 단백질과 항체는 biosensor나 biochip과 같은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한 GMO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면역 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Recombinant proteins of two GMO markers, neomycin phosphotransferase II (NPTII) and cucumber mosaic virus coat protein (CMV CP), were produced in E. coli. After purification by affinity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al conformation and binding affinities to the respective reference antibodies were characteri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combinant proteins produced in this experiment were identical with commercially available reference proteins. These recombinant proteins were used to raise polyclonal and monoclonal antibodies for detecting GMOs harboring either markers. For this purpose, the purified antibodies were applied to sandwich ELISA system to detect and quantify GMO marker proteins, identifying that these antibodies readily discriminate between GMOs and non-GMOs. Moreover, detection capacity of marker proteins were defined to 1%, exceeding over the upper limit of standard in Korean provisions. Those well-characterized marker proteins and antibodies can be used as valuable immuno-reagents in developing analytical systems, such as biosensors and biochips, to measure quantities of GMOs.

      •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가 인지하는 관리자의 리더십·직무만족·서비스 질의 관계구조 연구 : 상황적합 이론을 중심으로

        황옥화 호남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우리나라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운영은 2008년 7월 1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면서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에서 이용자 중심의 보편적 서비스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복지법인에 한정되었던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운영주체는 비영리법인, 의료법인, 개인, 기업 등 영리법인도 가능하게 되면서 다양해졌다. 또한 노인장기요양서비스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 창설된 시장에서 서비스 공급자와 서비스 이용자 간의 자유로운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현재의 노인의료복지시설 운영은 제도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노인의료복지시설들은 경영 구조적 개선과 이용노인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합되는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결국 시설이용노인의 서비스를 담당하는 요양보호사의 효과적 관리를 통한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자의 리더십 개발은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성장과 발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최근 경영학 등 여러 학문분야에서 관리자의 리더십이 직무만족 혹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반면, 관리자의 리더십과 직무만족 그리고 서비스 질 사이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영역에서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피들러의 상황적합이론을 근거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상황에 맞는 관리자의 리더십을 찾고자 먼저,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관리자의 리더십과 서비스 질을 매개하는지 알아보고, 다음으로 관리자의 리더십과 직무만족 그리고 서비스 질의 관계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상황에 맞는 관리자의 리더십을 찾고 이를 개발할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노인의료복지시설 중 30인 이상 시설 12개소와 30인 미만 시설 15개소를 임의 표집하여 각 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27부가 배포되었으며, 최종 370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에서 응답이 부실한 35부를 제외하고 분석에는 335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전반적 직무만족(β=.052 p=.416) 보상만족(β=.089 p=.139))은 관리자의 리더십과 서비스 질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는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수준이 낮은 상황을 뜻한다. 따라서 연구과제 1 즉,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은 관리자의 리더십과 서비스 질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둘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수준에 따라 관리자의 리더십과 직무만족 그리고 서비스 질의 관계구조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전반적 직무만족 수준에 따라 거래적 리더십은 전반적 직무만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서비스 질에 직접적인 영향(β=.017, p=.837)을 미치지 않지만 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직접적인 영향(β=.287, p=.007)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에는 전반적 직무만족의 수준에 상관없이 서비스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보상만족 수준에 따라 거래적 리더십은 보상만족이 높은 집단의 경우 보상만족에 직접적인 영향(β=.173, p=.076)을 미치지 않다가 낮은 집단의 경우에서는 직접적인 영향(β=.242 p=.033)을 미침으로 관계구조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반면, 보상만족이 높은 집단에서 보상만족(β=.186 p=.020)은 변혁적 리더십과 서비스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낮은 집단의 경우에 변혁적 리더십은 서비스 질에만 직접적인 영향(β=.514 p=.000)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상만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서 연구과제 2 즉,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수준에 따라서 관리자의 리더십과 직무만족 그리고 서비스 질의 관계구조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수준이 관리자의 리더십과 서비스 질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피들러의 상황적합이론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들러의 상황적합이론을 근거로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상황변수로 설정하여 관리자의 리더십과 서비스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피들러의 상황적합이론의 한계인 매개검증 과정이 없음을 보완하였다. 둘째, 상황변수인 직무만족을 현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들의 직무 불만족 요인인 낮은 보상과 낮은 자존감을 근거로 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성과는 최일선에서 있는 요양보호사에 의해 서비스 질이 결정되므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질 향상의 주요 요인임을 인식하여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통한 노인의료복시설의 안정된 운영을 보장하게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노인의료복지시설 상황에 맞는 관리자의 리더십 개발을 위 The management of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Korea shifted from the supplier-oriented types to customer-centric types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the Long-term Elderly Nursing Insurance on July 1, 2008. As a result, the operating entities, which were previously limited to Social Welfare Entities in the past, now includes non-commercial entities, medical foundations, and commercial entities such as privately held businesses and corporations, as well. Also, the Long-term Elderly Nursing Insurance created a new market, which allowed the freedom of contract for the users of the services and the suppliers. With this changes in the systemic level, the operation of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now face various kinds of challenges. Such facilities are now required to provide more specialized services in order to serve the diversified needs of the elderly, as well as the structural enhancement of their management. Consequentially,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which could contribute to effective management of the caregivers who provide the actually services to the elderly who use the facility is more profound than any time in the past for the sake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Recently, many a number of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business administration, are actively engaged in studies regarding the leadership’s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the servic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lmost no preceding studies with a comprehensive approach to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service in the field of elderly medical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uitable leadership that could serve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caregivers who work at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based on the contingency theory introduced by Fiedler. As a first step of this research, in this regar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job satisfaction is mediates the leadership of the managers and the quality of services, which was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al structure between th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the service quality. Based on these findings, we tried to identify the kind of leadership that could address the status of job satisfaction of the caregivers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with a view to identif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will help finding and developing such leadership. In this study, 12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with 30 or more patient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15 of such kind with less than 30 patients in the same area were randomly picked. With these facilities, we interviewed the caregivers working for them with a questionnaire. A total of 427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of which 370 were recollected in the end. Of these again, 35 were excluded due to lack of integrity in the answers provided, which left 335 that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process.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ly,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caregivers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Overall Job Satisfaction (β=.052 p=.416), Compensation Satisfaction (β=.089 p=.139)) was not medi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services. This implies low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 the caregivers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Therefore, the first hypothesis of the study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regivers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service’ was dismissed. Secondly,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ffected the relational structure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service. Firstly, based on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level,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appeared not to directly influence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overall job satisfaction (β=.017, p=.837), while the group with lower overall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 impact upon it. (β=.287, p=.007) In case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owever, it appeare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services regardless of the level of overall job satisfaction. Nextly, judging by the level of compensatory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did not directly affect the level of compensatory satisfaction in case of the group with higher compensator satisfaction level (β=.173, p=.076), while its relational structure showed that the group with lower compensatory satisfaction level was subject to direct influence therefrom, revealing a difference in the relational structure. (β=.242 p=.033) Meanwhile, with the groups with higher level of compensatory satisfaction, compensatory satisfaction (β=.186 p=.020) did turn out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services. However, in terms of the groups with lower level of satisfaction level,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ppeared to influence only the quality of service directly, (β=.514 p=.000), without any mediating effect from the compensatory satisfaction. Therefore, hypothesis no. 2 of this study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by the caregivers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relational structure between the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the quality of service’ was proven sound.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contingency theory (Fiedler), in which the level of the job satisfaction by the caregivers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would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and the quality of servic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contingency theory of Fiedler was used as a basis for verifying, with the job satisfaction of the caregivers

      •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 on ADH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황옥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Backgrou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 is a disruptive disorder that displays symptoms of inattention,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Stimulants such as methylphenidate are effective in alleviating core symptoms of the disorder, but side effects such as loss of appetite, sleeplessness and nausea were reported. Therefore many patients try to pursue more natural treatment options and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TOHM) is one of such treatments. Currently, very few articles review the evidence of efficacy of TOHM.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OHM o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Methods: Randomized clinical trials published from 1 Jan 1990 to 31 Dec 2010 which evaluate the use TOHM on ADHD patients of 18 years old or below were searched from MEDLINE, EMBASE, PsyINFO, Cochrane Library and 10 other databases. Qualitative analysis and meta-analysis were performed. In this review, traditional Oriental herbal medicine is defined as herbal treatments used in traditional Chinese, Korean or Japanese medicines. Results: Fifteen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nine studies. Findings suggest TOHM has similar efficacy to methylphenidate (odds ratio 1.10, 95% CI 0.71, 1.69) but high P-value (0.67) indicated that evidence is not strong enough. Combined treatment of TOHM and methylphenidate showed better effectiveness than methylphenidate alone (odds ratio 0.33 95% CI 0.14, 0.78) but more information is needed before solid conclusion can be drawn. Conclusion: Currently, there is not strong evidence to conclude TOHM is effective in treating the core symptoms of ADHD. ADHD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증상으로 하는 정신과질환이다. 메틸페니데이트와 같은 중추신경흥분제 약물치료가 ADHD의 주증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식욕저하, 불면, 오심 등의 부작용이 발표되고 있어 많은 환자들은 좀 더 자연적인 치료인 한약치료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이에 ADHD 소아 청소년에게 한약치료를 시행한 논문을 검색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199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발간된 논문 중, 18세 이하의 ADHD 환자를 대상으로 한약치료를 시행한 무작위 임상 시험연구를 MEDLINE, EMBASE, PsyINFO, Cochrane Library 등 에서 검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약치료는 한의학(韓醫學), 중의학(中醫學) 및 일본 한방의학(漢方醫學)에서 사용하는 한약치료로 정의되었다. 검색 제한 기준에 맞는 15개의 연구 중 9개의 연구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한약치료는 메틸페니데이트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교차비 1.10, 95% 신뢰구간 0.71, 1.69). 그러나 p-value가 0.67로 높아 이에 대한 근거는 충분하지 않았다. 메틸페니데이트와 한약치료를 병용한 것은 메틸페니데이트 단독 시행한 것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나(교차비 0.33, 95% 신뢰구간 0.14, 0.78), 더 많은 연구를 통해 결론내어야 할 것이다. ADHD 소아 청소년에게 한약치료를 시행한 논문을 체계적으로 고찰해본 결과 한약치료가 ADHD의 주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할만한 충분한 근거는 아직 없다.

      •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Proteins of GMO Markers in the use of Immuno-Analytical Systems : GMO Marker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한 면역 분석 시스템의 개발

        황옥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623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의 분석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한 물질인 marker 단백질과 그것에 대한 항체는 재조합 방법에 의해서 생산되었고, 대조 물질을 사용하여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eomycin phosphotransferase Ⅱ (NPTⅡ)와 cucumber mosaic virus coat protein(CMV CP)인 두 개의 GMO marker 단백질은 재조합 방법을 이용하여 E. coli로부터 대량 생산하였다. 생산된 단백질은 affinity chromatography에 의해서 정제를 거친 후, 그들의 구조적인 형태와 반응 친화도를 각각의 대조 항체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조합 단백질은 통상적으로 얻을 수 있는 대조 단백질과 동일한 크기로 존재하고 면역 반응성도 유사하였다. 검증을 거친 재조합 단백질을 면역원으로 이용하여 복합클론과 단일클론 항체를 생산하였고, 면역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GMO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산된 항체는 non-GMO로부터 GMO를 특이적으로 검증하였고, 정확한 크기의 marker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또한, marker 단백질의 검증 한계는 한국의 GMO 규제 상한에 해당되는 1% 이상을 검증할 수 있었다. CMV CP의 경우 0.01%까지도 검증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하여 증명된 marker 단백질과 항체는 biosensor나 biochip과 같은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한 GMO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면역 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Recombinant proteins of two GMO markers, neomycin phosphotransferase Ⅱ (NPTⅡ) and cucumber mosaic virus coat protein(CMV CP), were produced in E. coli. After purification by affinity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al conformation and binding affinities to the respective reference antibodies were characteri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combinant proteins produced in this experiment were identical with commercially available reference proteins. These recombinant proteins were used to raise polyclonal and monoclonal antibodies for detecting GMO_(s) harboring either markers. For this purpose, the purified antibodies were applied to sandwich ELISA system to detect and quantify GMO marker proteins, identifying that these antibodies readily discriminate between GMO_(s) and non-GMOs. Moreover, detection capacity of marker proteins were defined to 1%, exceeding over the upper limit of standard in Korean provisions. Those well-characterized marker proteins and antibodies can be used as valuable immuno-reagents in developing analytical systems, such as biosensors and biochips, to measure quantities of GMO_(s).

      • Study on the cause of odor in pig building and its reduction

        황옥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23

        Odor from pig production facilities is generated by the microbial fermentation of feed ingredients. Major odor compounds are produced via the process of protein degradation rather than that of carbohydrate. Especially, odor is much more produced when pig diet contains an excess of degradable protein and lack of fermentable carbohydrates. In addition, anaerobic fermentation of undigested materials induces more odor production in slurry stored for several weeks in pit under the pig building. This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P, 2)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able carbohydrate, as Italian rygrass (IRG), and 3) slurry storage periods on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and changes of bacterial communities in pig manure. In chapter 1, a total of 48 male pigs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45 kg] fed diets containing three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CP; 20%, 17.5%, and 15%) and their slurr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it under the floor every week for one month.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odorous compounds and bacterial communiti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454 FLX titanium pyrosequencing systems, respectively. Levels of phenols, indoles, SCFAs, and BCFAs were lowest (P<0.05) in CP 15% group among three CP levels. Relative abundances of bacterial genera including Leuconostoc, Bacillus, Atopostipes, Peptonphilus, and Bacteroides wer lower (P<0.05) in CP 15% than in CP 20% group.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P<0.05) between odorous compounds and bacterial genera: phenol, indole, i-butyric acid, and i-valeric acid with Atopostipes, p-cresol and skatole with Bacteroides,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with AM982595_g of Porphyromonadaceae family, and propionic acid with Tissierella. Taken together, administration of 15% CP showed less production of odorous compounds than 20% CP group and this resul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relative abundance in bacterial communities especially whose roles in protein metabolism. In chapter 2, pigs (average initial BW 509.78 kg) fed diets including 4 levels of IRG powder (0%, 0.5%, 1.0%, and 1.5%) and their manur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metabolic cages twice per day. Growth performance including BW and gain to feed ratio was not affected by IRG treatment (P>0.05). Compare to IRG non-supplement group (IRG 0%), all IRG supplement groups showed decreased levels of phenols and indoles. Skatole level was decreased as inclusion rate of IRG increased. Levels of SCFAs and BCFAs were greatest in 1.5% IRG supplement treatment among experimental group. Among the dominant genera, the relative abundance of genera belongs to family Lachnospiraceae, Ruminococcaceae, Veillonellaceae, Peptostreptococcaceae, and Lactobacillaceae of phylum Firmicutes were higher in IRG supplement group than in IRG non-supplement. While the relative abundances of genus Sphaerochaeta of phylum Spirochaetes and genera belongs to family Porphyromonadaceae of phylum Bacteroidetes were decreased in IRG supplement group compare to IRG non-supplement. Taken together, administration of IRG has a beneficial effect on reducing the production of odorous compounds in pig manure, possibly by modulating the relative abundance of bacterial society towards predominantly carbohydrate utilizing population in the large intestine of pigs. In chapter 3, slurry sample (15 L) was taken from the pit of finisher pigs building and incubated in acryl chamber for six weeks. Slurry for analysis was sampled every two week. Levels of odorous compounds in the slurry sample were drastically changed after 2 weeks of storage periods; levels of phenols and SCFAs were decreased, whereas indoles and BCFAs were increased. Among dominant bacteria, Bacteroides and Porphyromonadacese_uc_g reveal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phenols and SCFAs. Population of AC160630_g, Acholeplasmatales_uc_g, Mollicutes_uc_g, and Cloacamonas_f_uc_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doles and BCFAs content. Taken together, levels of indoles and BCFAs as protein metabolite were increased after 2 weeks of storage periods. This result might be associated with changes of the relative proportions in predominant bacterial groups utilizing a protein as carbon source under the hypo-carbohydrate condition. This current study aims to research about the cause and reduction of odor generation from pig building. To reducing the odor production from pig building, it is desirable that 1) provide different levels of dietary protein according to pig growth stage, 2) supplement fermentable carbohydrate (IRG) in pig diets and 3) more frequently dispense slurry from pigpen pit (every 2 weeks). These strategies beneficially influenced to odor reduction by decrease the excessive protein metabolites. Odor from livestock farms can be effectively reduced as utilize these strategies takes accou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돈사 악취는 돼지 장내 또는 돈사 피트 슬러리의 미생물 발효에 의해 생산되는데, 주요한 악취물질은 단백질 분해에 의해 생산된다. 특히 돼지 사료에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거나 발효탄수화물이 적으면 더 많이 생산된다. 또한 슬러리가 몇 주 동안 돈사 피트에 저장되었을 때, 불소화물의 혐기 발효에 의해 더 많은 악취가 발생된다. 본 연구는 악취물질의 생산 원인을 확인하고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1)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 2)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같은 발효탄수화물이 첨가된 사료 급여 그리고 3) 돈사 피트 내 슬러리 저장기간에 따른 돼지 분뇨의 악취물질 농도 및 박테리아 군집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장에서는 평균 개시체중 45kg의 돼지 48두에 조단백질 3수준(20%, 17.5%, 및 15%)으로 배합된 사료를 급여한 후 돈사 피트 슬러리를 한달 동안 매주 채취하였다. 슬러리의 악취물질 농도와 박테리아 군집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454 FLX titanium pyrosequenc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페놀류, 인돌류, 단쇄지방산, 및 이성체지방산의 농도는 조단백질 15% 처리구에서 낮았다(P<0.05). 이때 Leuconostoc, Bacillus, Atopostipes, Peptonphilus, 및 Bacteroides genus의 상대적인 비율이 조단백질 20% 처리구보다 조단백질 15% 처리구에서 더 낮았다(P<0.05). 악취물질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박테리아 군집을 정리해보면(P<0.05), 페놀, 인돌, 이소-뷰티르산, 및 이소-발레르산은 Atopostipes, p-크레졸과 스카톨은 Bacteroides, 아세트산과 뷰티르산은 Porphyromonadaceae 과의 AM982595_g, 프로피온산은 Tissierella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악취물질은 조단백질 20% 처리구보다 조단백질 15% 처리구에서 더 적게 생산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단백질 대사에 관여하는 박테리아 군집의 상대적인 비율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2 장에서는 평균 개시체중 50±9.78 kg의 돼지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가루를 네 가지 수준(0%, 0.5%, 1.0%, 및 1.5%)으로 첨가하여 배합된 사료를 급여한 후 하루에 두 번 대사 케이지에서 분뇨를 채취하였다. 체중과 증체율을 포함하는 성장요인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분뇨 내 페놀류와 인돌류의 농도는 대조구(이탈리안 라이그라스 0%)와 비교할 때 모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첨가구에서 감소되었으며, 특히 스카톨의 농도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감소하였다. 단쇄지방산과 이성체지방산의 농도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1.5%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때 분뇨의 박테리아 군집 분석결과, Firmicutes 문의 Lachnospiraceae, Ruminococcaceae, Veillonellaceae, Peptostreptococcaceae, 및 Lactobacillaceae 과에 속하는 속들의 상대적인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첨가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Spirochaetes 문의 Sphaerochaeta 속과 Bacteroidetes 문의 Porphyromonadaceae 과에 속하는 속들의 상대적인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첨가된 사료는 돼지 분뇨의 악취물질 농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이것은 돼지 장내의 박테리아 군집 중 발효탄수화물을 이용하는 그룹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면서 악취물질 농도변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장에서는 비육 돈사의 슬러리 15L를 아크릴 챔버에 담고 6주 동안 배양하면서 2주 간격으로 분석용 슬러리를 채취하였다. 악취물질 농도는 저장기간 2주 후에 급격히 변화되었는데, 페놀류와 단쇄지방산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인돌류와 이성체지방산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이때 슬러리에 우점된 박테리아 중에서, Bacteroides와 Porphyromonadacese_uc_g는 페놀류 및 단쇄지방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AC160630_g, Acholeplasmatales_uc_g, Mollicutes_uc_g, 및 Cloacamonas_f_uc_g는 인돌류 및 이성체지방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인돌류와 이성체지방산과 같은 단백질 유래 악취물질의 농도는 저장기간 2주 후에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악취물질과 상관관계가 크고 단백질 대사에 관여하는 박테리아 군집의 상대적인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슬러리 내 탄수화물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슬러리 내 박테리아가 단백질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는 돈사의 악취 원인을 확인하고 악취물질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돈사 악취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1) 돼지 성장단계에 맞는 단백질이 함유된 사료를 급여하고, 2)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같은 발효탄수화물이 풍부한 원료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며, 그리고 3) 돈사 피트 내 슬러리를 조기에 배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방법은 박테리아의 단백질 분해를 줄여서 악취물질이 생산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농장 환경에 맞게 적용하면 효과적으로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