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적론적 기호작용에서의 한정과 건축적 함의

        황영삼 ( Hwang Young-sam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2 No.-

        퍼스 기호학은 의미해석을 위한 기호작용의 원리이다. 기호작용은 기호를 통해 대상에 접근하기 위한 일련의 형식적 탐구 과정이다. 한정은 기호작용의 일부분으로 작동하여 기호작용이 생산하는 지향성 효과의 일부분을 이룬다. 한정은 대상으로부터 유래할 수도 있고 기호작용의 목적과 의도로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퍼스 기호학의 기호작용에 포함되어 있는 한정 요인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그 요인들이 의미생산을 위한 기호작용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등의 질문에 대한 탐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호 내에서는 대상의 형식과 내재적 속성들이 기호를 한정하고 기호가 해석체를 한정하는 방식이다. 둘째, 법칙기호와 개별기호 간에는 체현 관계에 의한 한정을 통하여 법칙기호에서 포괄성이 실존 세계의 개별기호에서 구체화된다. 셋째, 상징법칙기호에서는 세 기호들의 협력 작업을 통하여 수행되는 삼원적 기호작용에서, 상징법칙기호의 표상체의 한정적 기호 역할과 개별기호의 재현체에 대한 상징기호에 의하여 목적론적 기호작용이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확장유형론은 중간유형론이 기호작용의 다양성에 관련되는 다양한 한정요인들이 반영되지 못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호 내외부의 폭넓은 한정요인들을 모델 내로 흡수하기 위한 동적 모델이다. Peirce's semiotics presents the principle for semiosis, which is a formal approach to access an object by a sign. The determination, as part of semiosis, works for semiotic effects produced by sign. The determination orginates from either object, or purposefulness and intentionality of subje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at determination elements are in semiosis, and how it imcorporates with other elements in semiosis. The results can be summorized as follow: firstly, object's form and its internal attributes determine the form of sign, which determines the form of interpretant; secondly, sinsign is determined by legisign and come into existence, and thirdly, symbolic legisign incorporates legisign and sinsign through its representamen; finally, the expanded sign typology brings many determinant of semiosis appeared in mid-sign typology, and succeeds in overcoming its limitations. The implications to architectural desig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miotic nature of achitectural design can be examined further in semiotic principle and determinant. Those semiotic approach can be adapted into architectural domain so that the architectural meanings may be reorganzied by semiotic and determining principles in terms of semiotic effects, which give a new perpective for modern complex design world.

      • KCI등재

        기호학적 지시의 지각론적 확장

        황영삼 ( Hwang Young-sam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9 No.-

        지시 문제는 기호학, 언어 철학을 관통하는 문제이며 의미의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지시 문제는 언어, 기호 또는 텍스트를 통해서 우리에게 전해오는 메시지의 의미를 이해하는 원리와 방식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시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무엇을 지시한다는 것인가, 그리고 지시 기호와 지시 대상 간 관계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호 기능론에 정초한 기능 생성론에서 제시하는 지시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기호학적 지시 문제에 대한 연구 방향을 찾는다. 연구 결과 기호 생성론의 지시 이론은 기호학적 지시를 구현하는 원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에는 기호학적 지시 이론과 실천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issue of reference is one of the main issues through semiotics and linguistic philosophy. In this paper the following questions are raised: what is reference, what is the one referred to, and how they can be extended perceptually. To access these questions two preliminary semiotic theories are selected, and studied in the points above. That ultimate purpose of the work is to comprehend the messages coming to us from many ways. The two semiotic theories selected are the sign function theory by Hjelmslev and the sign production theory by U. Eco. These are persistently on the same structural ground in relationships between form and contents. Eco`s theory has been found providing a methodology for linking a sign and a perceptual concept as a referent, by employing the way for merging the latter with the first by converting the latter to semiotic object and putting the object to semiotic process. Future works for developing semiotic reference theory have been proposed.

      • KCI등재

        투르크메니스탄 고려인 사회의 형성과 변천과정에 나타난 특징

        황영삼 ( Young Sam Hwang ) 한국민족연구원 2014 민족연구 Vol.0 No.57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of the ethnic Korean community in Turkmenistan that is comparatively unknownto not only ordinary people but specialists concerned with national issues. As theinterrelationships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Turkmenistan intensifies, the need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ethnic Korean people (Koryoin) rises in order to selectefficient strategy for improving conditions for South Koreans who engage in academicwork and business. The first community of Turkmen Koreans was established in Tashauz region byimmigrants from Karakalpakia (Uzbekistan) after the `1937 deportation` of Far EasternKoreans in the then USSR. According to the Soviet census of 1939, it was recordedthat 40 Koreans resided there in Turkmen SSR. And as times passed, the size ofKorean population became bigger and bigger: 1,919 (1959), 3,493 (1970), 3,105(1979),2,848(1989). The last official record by census in 1995 showed the ethnic Koreans as3,159 persons. As of now, the exact size is not known, though lesser, but the comingresult of the 2012 census will be helpful. The main activities of Turkmen Koreans performed in `the 22nd Congress of CPSU`Kolkhoz and `the 23rd Congress` Kolkhoz that the former was located in Kunya-Urgenchi district and the latter in Lininsk district in Tashauz region. Koreans weresuccessful and famous for producing rices because they were then the only nationwho could cultivate rices in Turkmen SSR. Through the Korean newspaper, `LeninKichi` that was published from 1938 to 1990, I can obtain materials concerned withthese Kolkhoze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new problems of Turkmen Koreanstook place: the necessity of studying Turkmen language, the preservation of Korean national culture and the adaptation to the newly conditions of economic system. Butmost of all, it is noted that the organization of Korean Association in Turkmenistanis not yet allowed as a legal group. Even establishing a center with the meaning ofnationality is prohibited by the government. That is the present situation in TurkmenKorean community nowadays.

      • KCI등재

        퍼스 포함구조 기반 의미생산과 도시장소 시험적용

        황영삼 ( Hwang Young-sam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4 No.-

        퍼스 기호학은 삼원 기호 요소들간 관계가 현상학적 및 존재론적 포함관계를 통하여 관계가 형성된 수학적 구조이다. 그것은 기호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폭넓은 기호작용들이 단일 기호에 압축되어 있다. 기호유형론에서는 10개 기호 유형들이 3개 기호군 과 1개 속성기호로 이루어진 포함구조로 재구성될 수 있다. 기호포함구조는 포함관계 에 의한 기호유형들의 관계구조로, 추론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호유형 간 상호작용은 이 포함관계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퍼스의 삼원 기호모델의 기반을 이루는 포함관계구조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비결정성이 퍼스 기호 학의 백미라고 보고, 그것이 기호포함구조 기반 의미작용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기호포함구조에서 의미생산과 비결정성이 삼중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찾을 수 있었다. 먼저 기호군별로 이루어지는 3개 기호들의 상호작용에서는 표상체의 공유를 통해 기호군별로 생산하는 의미들 간에 동질성을 지향하는 비결정성이 나타났다. 또 이원적 포함구조, 즉 (상징)법칙기호와 개별기호 간 포함구조에서 이루어지는 기호 간 상호작용에서는 비결정성에서 일반성과 개별성 간 상호보완이 이루어지는 것이 나타났다. 삼원적 포함구조에서는 기호군별 세 기호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지는 삼원 기호작용에서는 체현으로 형성되는 포함관계를 기반으로 고도의 비결정성이 나타났다. 연구 후반부에는 기호포함구조를 서울 광화문광장에 적용한 안을 작성하고, 그 내에 서 비결정성이 포함관계를 따라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탐구하였다. Peirce’s semiotics is a mathematical structure for structuring triadic ont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inclusion relations. Those relations are formulated ain the unit model, and the triadic model can be understood as a compact model where those wide range of interaction between model components are modeled in. The interim model is composed of 3 sign clusters where 3 sign classes are included in and 1 attribute c;lass. Those 10 sign classes interact in inferences for seeking meanings. This research is a study on sign inclusion structure of Peirce’s semiotics. Indeterminance is considered as a main key issue in semiotics, and investigated in its way of working in the Semiotics. The inclusion structure is adopted in demonstration work in Kwanghwamun place to find out how inclusion relations work in meaning seeking. The theoritical assumptions on inclusion in the Semiotics are generally invalidated. It is emphasized that more works are to be conducted for future practical uses.

      • KCI등재

        기호학의 주체 문제에 관한 고찰

        황영삼 ( Young Sam Hwang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3 No.-

        주체와 객체 간 관계가 기호체계로 들어가면 주체로서의 인간, 객체로서의 외부세계, 그리고 양자 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기호 등 세 기호활동 참여자들의 망으로 이루어진 것이 된다. 즉 주체-기호-객체의 구도가 형성된다. 이것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는 구조주의와 후기구조주의에서 기호학의 ‘체계’ 이론에서 ‘주체’가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에 대하여, 이들 사상에 사유의 토양을 제공한 학문으로서의 기호학이 이를 수용하기 위한 목적의 논의이다. 본 연구의 접근방법은 주체성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인간 주체, 기호, 외부세계 간 위상학적 구도를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먼저 기존 기호학 모델에서 주체 문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고찰하고, 기호체계에서 주체-기호-객체의 구도를 결정하는 세 가지 요인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들 요인들에 따라 네 가지의 구도의 경우를 설정하였다. 연구 후반부에는 이들 네 가지 구도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주의와 후기구조주의의 이론과 개념 네 가지를 선정하여 이들 구도에 위치시켜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네 가지 기호학적 주체 개념을 퍼스 기호학과 접목할 수있는 가능성과 생성기호학 원리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In semiotic world, with a medium of sign, subject and object, constitute a semiotic system, where subject corresponds to humans, object to external world. Sign plays the role of medium by which humans as semiotic subject understand, create and manipulate the external world. Looking into the semiotic history, the dyadic model by Saussure and triadic models by Peirce have been reconsidered by leading semioticians like Barthes, Benvenistem, in terms of subjectivity. The same issue of subjectivity has also been dealt with in other academic and idelogical areas, structuralism and poststructralism. Criticizing semiotics for lack of subjectivity in semiotic relativism, they substituted it with their discouse and event respectively. However considering the position of semiotics as foundation of these two ideological trends, it is worthy that semiotics is reviewed in terms of determinants of semiotic subjectivity. This research works on the considerations of relative configuration by three constituents: human, sign, and external world. Postulating three viewpoints as determining subjectivity in semiotic system. Combining them, four diffenent configurations have been proposed, for each of which ego-gazing, internal sign projecting, external sign reflective, and nondeterministic subjects correspond. Four structuralistic and poststructuralistic theories have been selected to seek their position in the configurative subjects. It is discussed this research puts forward the perspectives for creative semiotics.

      • KCI등재

        에코, 스칼비니, 젱크스의 비교를 통한 건축기호모델 연구

        황영삼 ( Young Sam Hwang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건축기호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에코, 스칼비니, 젱크스의 건축기호모델의 특성을 비교하고 이로부터 향후 건축기호모델의 개발방향을 검토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교를 위한 논거로서는 세 모델이 공통적으로 채택하는 ``외시-내포``의 일반기호학적 형식틀에 건축의 내용적 특성을 대응시키는 방식에 있어서의 차이점들, 그리고 MST 이론에서 제시된 구조화를 위한 모델링 방법론 관점에서의 차이점들의 비교를 적용하였다. 먼저 세 모델에 대한 비교검토 결과 외시-내포 원리를 근간으로 하는 단위모델의 형식틀은 동일하지만, 외시면과 내포면 각각을 채우는 건축적 내용이 달랐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단위기호들 간 관계망 모델, 모델의 구조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에코의 모델은 형태론적 모델이고, 스칼비니의 모델은 문학적 모델이며, 젱크스의 모델은 절충적 비평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MST 이론의 기호모델링 방법론 관점에서의 비교에서도 폭넓은 차이점들이 나타났다. 먼저 단일체, 복합체, 코드체, 비유체로 구분되는 기본적 형식요소를 다루는 범위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1차성, 2차성, 3차성으로 구분된 형식요소들 간 위계성에 따라 기호성이 고도화되어 가는 방식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모델의 구조화 방식에 있어서 수사 층위를 다루는 방식과 범위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후반부에는 향후 건축기호모델의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여기에는 일반기호학 원리만으로는 모델에 포함되지 못하는 건축분야 고유의 학문범위에 대한 내용적 형식요소와 그에 대한 형식틀을 도출해내는 작업, 그리고 세 모델들의 지향점과 장단점을 포괄할 수 있는 상위 메타모델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is research i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semiotic architectural model. In this resech, comparison between Eco, Scalvini and Jencks, leading architectural semioticians, has be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suggesting research directions towards a semiotic model for architectural design. The MST theory advocated by Sebeok and Danesi is employed as the basis of logical argument. Comparison of the models by the three semioticians has resulted as follows. The dichotomy of denotation and connotation is commonly adopted by the three models, but they differ in most comparisons checkpoints from unit modeling to relationship modeling, resulting in differing model structures. Briefly, Eco`s is a morphological model, Scalvini`s is a literary model, and Jencks`s is a criticism model. Several research directions have been suggested. First, different formal model constituents need to be identified which are to be organized into a relationship network. The MST theory will be helpful for this purpose, with its ways of categorizing model constituents and for relationship networking. It suggests two main categories of model elements: singularized, composite, cohesive, connective models; and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models. Sign features go level up through these hierarchies. Secondarily, a way of model structuring has been suggested. Model can be structured by three layers: paradigm-syntagma layer, denotationconnotation layer, and rhetoric layer, for the purpose of manipulating both physical and abstract features of architecture. Thirdly, a new way of modeling should be worked out additionally to cover architecture specific tasks which are not resolvable in the current semiotic model. This new requirement comes up for the reason that not all architecture features can be covered up by the current general semiotic modeling principles. Finally, a hyper level meta model is required to comprehend the features and perspectives of those three models reviewed in this research. The new model should also be comprehensive enough to invite the current semiotic modeling methodologies as well as the one for the architecture specific model mentioned above.

      • IFC 모델기반 CAD 화일로부터 물량산출 자동화 연구

        황영삼(Hwang. Young Sam)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4 No.1

        IFC is a de facto integrated model in AEC/FM industry, which is being used internationally. In this paper, a progress of a pilot research to examine the capabilities of the IFC model for integration is presented. IFC instance file created by a CAD system is imported into a model development environment including a SDAI library. The findings include that IFC model provides the basis for integration in many industrial areas. Some future works for local developments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도시방재기능 강화를 위한 학교시설 계획방향

        권영상(Kwon, Young-Sang),황영삼(Hwang Young-Sam),김민정(Kim, Min-Jung),정필성(Jung, Pil-S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4

        최근 들어 기후변화는 도시화와 결합되어 세계적인 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도 집중호우에 따른 도시침수 피해가 반복되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최근 정부는 도시계획시설을 활용하여 도시방재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해 발생시 도시방재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학교시설의 계획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관련이론 및 기존 계획지침,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후 도시설계, 외부공간, 내부공간으로 구분하여 학교시설이 방재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계획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시설계는 생활권내 학교시설의 입지와 배치, 주변토지이용과의 연계방향, 외부공간은 보행자 도로와 운동장 등의 계획방향, 내부공간은 교실 및 강당 등의 계획방향을 제안하였다. 향후 구체적인 계획기법, 수리모형 시뮬레이션, 정책제도화, 실제적용 등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climate change has appeared with urbanization as an worldwide problem. In Korea, city inundation damages caused by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have been repeated, and a proper correspondence is required. So the trial to reinforce the urban resilience using urban planning facilities is planned by the gover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n aim to solve this problem by deriving design principles for urban resilience using school facilities. For this research, associated standards, papers, and domestic and abroad cases have been carefully analyzed, then design principles by which school facilities are able to perform urban resilience have been deriv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n urban design, a school location in neighborhood and a composition, in outdoor, design principles of playground and pedestrian street were suggested. And in indoor, a space program for utilizing class rooms and a gym as a refuge shelter are also proposed. In the future, detailed design techniques, a pragmatic hydraulic model simulation, a policy systematization, an applicable case study are expected to be prom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