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0.054 inch 내경 Novel catheter를 이용한 뇌혈관조영 시스템(Cath 3.0 system)의 유효성과 안정성 평가: 후향적 연구

        최준호(Choi Joon Ho),황선문(Hwang Seon Moon),김광수(Kim Kwang Soo),권보성(Kwon Boseong),송윤선(Song Yunsun e)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2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5 No.1

        목 적 : 본 연구는 내경 0.054 inch novel catheter를 이용한 뇌혈관조영 시스템(Cath 3.0 system)과 내경 0.043 inch 카테터를 이용한 뇌혈관조영 시스템(Cath 2.0 system) 검사방법의 유효성과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9년 12월부터 2020년 6월까지 뇌동맥류 진단을 받은 30세 이상의 환자 72명을 대상으로 Cath 3.0과 Cath 2.0 시스템으로 검사한 환자를 동일하게 나누었다.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투시시간과 투시선량, 총 방사선량, 총 시술시간, 사용한 카테터와 가이드와이어 수를 비교하였고 정성적 평가로 두 그룹간 화질에 대한 차이를 비교했다.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TFCA로 인한 부작용 건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두 그룹의 나이, 대동맥궁 유형, 시술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술에 사용한 카테터와 가이드와이어의 수는 Cath 3.0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낮았다(1.06 vs. 1.42 num, p=0.003; 1.03 vs. 1.28 num, p=0.007). Frontal fluoroscopy time과 dose은 Cath 3.0 그룹에서 각각 42%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1.4 vs. 2.4 min, p=0.004; 7.7 vs. 13.2 mGy, p=0.000). Lateral fluoroscopy time과 dose는 두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0.8 vs. 1.0 min, p=0.353; 4.6 vs. 6.0 mGy, p=0.131). Total fluoroscopy time과 dose는 Cath 3.0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2.1 vs. 3.3 min, p=0.006; 12.3 vs. 19.2 mGy, p=0.001). Total DAP dose는 Cath 3.0 그룹에서 25%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68.2 vs. 90.8 mGy, p=0.001). Procedure time은 Cath 3.0 그룹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3.4 vs 27.1 min, p=0.206). 정성적 평가에서 두 그룹(4.1 vs. 4.0 score, p=0.35)의 화질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IIC = 0.828; 95%CI = 0.79 – 0.86, p=0.000). 두 그룹의 complication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0.03 vs 0.06 num, p=0.558). 결론 : 조영제 희석비율을 60%로 감소 시켜 CBCT-HA 영상을 촬영한다면 필수적인 영상정보를 모두 포함하며 cone-beam artifact를 줄여 영상의 질이 향상하고, 환자에게 주입하는 조영제의 양 또한 감소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때, HCC feeding artery는 희석 비율 60%일 때 각각 8.8, 8.77, 8.95점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cone-beam artifact 평가에서는 희석 비율 100%일 때 7.8점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PURPOSE : We applied a Cath 3.0 system (Closed-continuous flushing with guidewire) in routine diagnostic cerebral angiography and compared it with Cath 2.0 system (Open-intermittent flushing). Materials and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 total of 72 patients who underwent diagnostic cerebral angiography for neurovascular aneurysm diseases between December 2019 and June 2020. Conventional angiography system was used in patients in the first half and guided angiography system in the second half. We analyzed the fluoroscopy time, fluoroscopy dose. RESULT : The age, diseases and opera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frontal fluoroscopy time and dose in the guided angiography system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by 42% and 42%, respectively (mean ± standard error of the mean, 1.4 ± 0.79 vs. 2.4 ± 2.06 minutes, p=0.004; 7.7 ± 6.11 vs. 13.2 ± 10.61 mGy p=0.000). The lateral fluoroscopy time and do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0.8 ± 0.42 vs. 1.0 ± 0.81 minutes, p=0.353; 4.6 ± 2.36 vs. 6.0 ± 4.65 mGy, p=0.131). The total fluoroscopy time and dose in the guided angiography system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by 36% and 36%, respectively (2.1 ± 1.1 vs. 3.3 ± 2.81 minutes, p=0.006; 12.3 ± 7.49 vs. 19.2 ± 14.71 mGy, p=0.001). CONCLUSIONS : A Cath 3.0 system was effective in reducing significant fluoroscopic time and doses in diagnostic cerebral angiography.

      • 작은 프로파일 풍선카테터의 효율적인 공기 제거 방법에 대한 연구

        최준호(Joon Ho Choi),김태일(Tae il Kim),황선문(Seon Moon Hwang)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19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2 No.1

        목적 : 신경중재 풍선혈관성형술 시행 전 풍선카테터의 공기는 완전 제거가 어렵고 제거를 위한 준비 과정도 번거롭다. 제조회사에서 제시하는 방법과 임상에서 노하우로 시행되고 있는 방법 등을 조사하고 In-vitro 실험을 통한 검증과 평가를 바탕으로 새로운 개념의 쉽고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 mm 직경의 풍선카테터 총 18개를 준비하여 풍선카테터 공기 제거 방법의 표준인 IFU 방법(Instruction of use, 방법 A), 주사기를 이용한 단순한 방법(방법 B), 풍선확장기구를 이용하는 방법(방법 C-F)으로 풍선카테터를 준비하고 점진적으로 기압을 올리면서 영상을 획득하였다. 각 방법의 준비시간, 기압에 따른 첫번째 풍선확장과 두번째 풍선확장 시 공기 제거율, 공기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풍선카테터의 공기 제거 시간은 11.5 초(방법 D)에서 73.3 초(방법 A)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첫번째 풍선확장 시 8 기압에서 공기 제거율은 방법 A와 방법 F(100 %)에서 가장 높았고 두번째 풍선확장은 방법 A(99.5 %), 방법 F(99.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공기 방울 패턴 분석 결과 첫번째 풍선확장 시 풍선원위부에 단일 공기 패턴을 보인 반면 두번째 풍선확장은 다량의 공기 방울이 일정한 패턴 없이 여러 곳에 분포하는 형태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제시된 30 ml 풍선확장기구를 이용한 풍선카테터 공기 제거 방법은 한번의 연결로 반복 흡입하여 준비 절차를 줄이고 공기 제거율이 높아 임상에서 실용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Complete removal of air bubbles from balloons for neurovascular angioplasty is cumbersome. We compared the preparation difficulty, air removal efficiency, and air collection pattern of six different balloon catheter preparation methods to propose a better preparation method for both initial and second balloon uses, especially for small-profile angioplasty balloon catheters.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18 neurovascular angioplasty balloon catheters with nominal diameters of 2 mm were prepared to test six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the instruction for use (IFU) method (method A), simplified method using a syringe (method B) and four newly devised preparation methods using inflating devices (methods C – F). Serial radiographs were obtained while the balloons were gradually inflated. We measured the time for each preparation and the bubble number, analyzed their distribution in the balloon, and calculated the contrast filling ratio (contrast filling area/total balloon area) for initial and second ballooning. The whole process was repeated three times. Results : The preparation time varied widely (11.5 sec [method D] to 73.3 sec [method A]). On initial inflation, the contrast filling ratio at 8 atm was the highest (100%) with methods A and F. On second inflation, the ratio was again highest with method A (99.5%), followed by method F (99.2%). Initial ballooning tended to show a uniform pattern of single bubble in the distal segment of the balloon; in contrast, second ballooning showed varying patterns in which the bubbles were multiple and randomly distributed. Conclusions : None of the six methods were able to completely exclude air bubbles from the balloon catheters including the second ballooning; however, the method of repeating aspiration with high-volume inflating device (method F) could be a practical option considering the simplicity and efficiency of preparation.

      • 뇌혈관 3차원 회전 혈관조영술시 복셀 크기 변화에 따른 영상 화질에 대한 연구

        한성식(Han Seong Sik),김병준(Kim Byung Joon),최준호(Choi Joon Ho),황선문(Hwang Seon Moon),김광수(Kim Kwang Soo)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 2022 대한인터벤션영상기술학회지 Vol.25 No.1

        목 적 : 뇌혈관 3차원 회전 혈관 조영술(3D Rotational Angiography, 3DRA)시 복셀(Voxel) 크기 변화에 따른 영상의 화질을 비교 및 평가하여 적합한 복셀 크기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21년 본원에서 뇌혈관질환 의심으로 3차원 회전 혈관조영술을 받은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0.1mm(Small), 0.3mm(Large) 두 그룹의 복셀 크기로 재구성 하였고 각각의 영상은 신경중재전문의 5명이 5-point Likert scale로 평가하였다. 정량적인 분석은 재구성된 MPR axial 영상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고자 하는 혈관의 Intensity line profile을 얻어 최대강도값과 그래프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0.3mm 복셀로 재구성된 영상의 정성평가 결과 Delineation, Noise, Overall image quality 항목에 대한 평균은 각각 3.68, 1.2, 3.82점으로 평가되었으며, 0.1mm 복셀로 재구성된 영상은 각각 4.38, 1.66, 4.16점으로 평가되었다.(19%, 38%, 9% 증가, p<0.05) Maximum intensity와 Slope의 Gray scale value의 평균 값은 0.3mm 복셀에서 987.7, 3420.6으로 측정되었고 0.1mm 복셀에서 1507.0, 4779.9로 측정되었다.(52%, 39% 증가, p<0.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3DRA 영상 재구성시 복셀 사이즈가 작으면 미세혈관에 대한 영상의 질이 높아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3DRA 영상에서 보고자 하는 혈관을 잘 관찰하기 위한 적합한 복셀 크기를 적용한다면 임상적으로 유용한 영상을 구현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 3D rotational angiography (3DRA) is a gold standard for diagnosing and evaluating various neurovascular diseases. In the 3DRA reconstruction process, the voxel size is an essential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the spatial resolution and field-of-view(FOV). The aim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xel size and the volume reconstructed images and determine an optimal voxel size. METHODS : The 3DRA source data of ten patients who had undergone cerebral angiography to evaluate various neurovascular disease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source data were reconstructed with 0.3mm(Large) and 0.1(small) voxel size. The image quality of the reconstructed images was evaluated quantitatively in terms of resolution (Maximum intensity and sharpness).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observers were asked to rate the image quality in terms of delineation, noise, and overall image quality. RESULT : The resolution of the reconstructed images tended to increase as the voxel size decreased.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image quality (delineation, noise, overall) of the images reconstructed by small voxel size were scored higher than large voxel size and it is seems to be increased by 19%, 38% and 9% respectively. Maximum intensity and slope gray scale value of the MPR images reconstructed by small voxel size were measured higher than large voxel size. That images tended to increase by 52%, 39% respectively.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ed that as the voxel size becomes smaller, it is more suitable for evaluating small blood vessels. However, the size was reduced to a certain size or less; the advantages were offset by increased noise and reduced FOV.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exactly the effect of the voxel size and to select an appropriate voxel size according to the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