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에비안스-함베르크 자가 스트레칭이 하지전후개각 및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황보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축구선수의 본 운동 후 정리운동과정에서 에비안스-함베르크 자가 스트레칭 집단(Evjenth-Hamberg Auto Stretching Group; E-HASG)과 정적스트레칭 집단(Static Stretching Group; SSG)이 하지의 유연성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6명의 축구선수는 실험집단 E-HASG(n= 8), 비교집단 SSG(n=8) 총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두 집단의 스트레칭은 1회 5분, 주 3회, 8주간을 시행하였고, 모든 팀 훈련을 동일하게 제한하였다. 유연성은 하지전후개각측정과 근력은 등속성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각 항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0주), 중간검사(4주), 사후검사(8주)를 실시하였으며, 얻은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2x3 two-way repeated ANOVA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지전후개각 시기별 분석결과는 E-HASG에서 0주 113.00°, 4주 123.00°(8.84%), 8주 129.75°(14.82%)가 증가하여 0주-4주(p<.05), 4주-8주(p<.01), 0주-8주(p<.001)로 통계적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SSG에서 4주 117.50°(3.07%), 8주 120.00°(5.26%)가 증가 하였지만 통계적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연성 증가 측면에서 SSG보다 E-HASG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슬관절 등속성 근력 시기별 측정 결과는 두 집단 모두 굴곡근 및 신전근 60°/sec, 120°/sec, 180°/sec, 240°/sec 각각의 각속도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연성 증가에 따른 효과적인 스트레칭 방법은 E-HASG이 SSG보다 유연성 향상에 높은 효과를 보였다. 자가 스트레칭이 주된 스포츠현장에서 적용 시 관절과 자세의 안전성이 용이한 E-HASG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Evjenth-Hamberg auto stretching (E-HAS) and static stretching (SS) on flexibility of lower extremities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knee joints in the cool-down exercise which soccer players perform after their main exercise. The 16 soccer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E-HASG (n= 8) and the control group SSG (n=8). The two groups performed stretching three times per week, each for five minutes, for eight weeks, and all the team training was controlled to the same extent. The flexibility of lower extremities was measured through test of spreading lower extremities back and forth, and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n isokinetic instrument.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each item, pre-test (before starting stretching), midterm-test (fourth week) and post-test (eighth week)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and 2x3 two-way repeate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lower extremity onpen angle back and forth by time, E-HASG showed a rise in angle of spreading lower extremities back and forth from 113.00° before starting stretching to 123.00° (8.84%) in the fourth week after starting stretching and to 129.75° (14.82%) in the eighth week. With between before starting stretching and fourth week (p<.05), between fourth week and eighth week (p<.01) and between before starting stretching and eighth week (p<.001),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SSG faile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hrough it witnessed a rise in the angle from 117.50° (3.07%) in the fourth week to 120.00° (5.26%) in the eighth week. In terms of the increase of flexibility, E-HASG turned out to be more effective than SSG.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measurement of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knee joints by time, with 60°/sec, 120°/sec, 180°/sec, 240°/sec in flexor and extensor muscles, the two group faile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angular velocity. In conclusion, the effective stret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lexibility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flexibility in E-HASG than in SSG.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f E-HAS, which is easier to maintain safety of joints and position when applied to the sports field in which auto stretching is main, is selectively used, it will be more effective.

      •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황보수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이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주제는 노인대학 참여활동 즉,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빈도, 참여기간 및 참여만족도 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상호 유의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경상북도 동남부 지역에 속하는 지방자치단체 중 군집표집의 방식으로 표집 된 2개 도시(경산시, 포항시)지역에 소재한 노인대학 4곳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19일부터 6월 2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19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χ²),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지역인 경산시와 포항시의 실제 인구분포는 60세 이상 남자44,073명, 여자 60,266명으로 여자 57.76%, 남자 42.24%(2014, 경산, 포항시 인구통계)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조사된 성별은 여자 80.7%, 남자 19.7%로 나타나 해당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 가운데 남자보다 여자의 사회활동이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보인다. 연령은 71세∼80세 75.1%로 평균연령 75.58세로 나타나 노인의 고령화 현상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노인들이 신체적인 여건만 허락된다면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의 경제 상태가 어떤가의 질문에 ‘보통’이라고 대답한 노인들이 73.1%,를 차지해 노인들이 경제성장과 사회복지 정책의 실효성을 체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들의 성별 및 연령별 프로그램 참여활동 주요특성 즉, 참여 동기, 선호프로그램 및 참여만족이유간의 차이가 있는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연령별로는 참여 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상이함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선호프로그램과 참여만족이유는 상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은 선호프로그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상이하게 나타났고 나머지 참여동기와 참여만족이유는 상이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의 각 변수와 성공적 노화와의 각 변수들 간 상관관계분석 결과 성공적 노화의 각 영역별 간 상관관계는 모두 일관되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빈도’와 성공적 노화 그리고 ‘참여 만족도’와 성공적 노화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참여기간’과 성공적 노화는 쌍방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참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성공적 노화의 각 변수 간 상관관계는 건강상태 변수가 성공적 노화의 신체적 영역 및 지적 영역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연령변수가 참여기간 변수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 외 배경변수는 성공적 노화 각 영역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공적 노화 전체영역에 대하여 독립변수인 프로그램 참여활동 요인 중 ‘참여빈도’와 ‘참여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각각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참여기간’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성공적 노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참여기간이 길수록 신체적 노화가 진행되어 참여기간이 오래될수록 성공적 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심스럽게 관찰해 볼 수 있었다. 한편 배경변수인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성별’, ‘연령’, ‘교육수준’, ‘동거상태’ 및 ‘건강상태’ 등은 통계적으로 무의미하게 나타나 성공적 노화에 특별히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노인의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 중 ‘참여빈도’와 ‘참여만족도’가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참여기간’은 오히려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인 중 ‘건강상태’는 신체적 영역에, ‘성별’은 지적영역에 그리고 ‘동거상태’는 사회적 영역의 성공적 노화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을 통해 성공적 노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은퇴 전에 부부가 함께 건강관리를 위한 준비를 하여야 함을 시사점으로 인식하게 된다. 한편, 노인의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여활동을 통해 성공적 노화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프로그램 참여빈도와 참여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the senior university program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participation affect to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That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university seniors participate in activities, seniors university program participation frequency, duration, and involve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How does actually impact on successful aging?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note did mean to each other? Or to investigate the affect on successful aging. Research tools utiliz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and 2-cities was sampled by way of cluster sampling of municipalities belonging to the south-eastern of Gyeongbuk province (Gyeongsan, Pohang) to target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college located in areas where the elderly in 2014 May 19, June 27, as follows, using the 197questionnaire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in the last analysis b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ross tabs(χ²),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se results are summarized of follows; First, Surveyed area, Gyeongsan the actual population distribution of Pohang are 44,073 people men, 60,266 people women aged 60 and over were identified as men42.24%, 57.76%women.(2014, Gyeongsan & Pohang demographics). However, the gender research in this study, 80.7% women, the elderly man appeared in university participation rate of 19.7% of the elderly man who lives in the area, were characterized by highly than men. Age71 years to 80 years was found in 75.1% Average age of 75.58years appeared in the aging society towards the elderly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who replied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a ’normal’ 73.1% of the elderly, the elderly are accounted could see that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economic growth and social welfare policies. Second, Gender and Age program participation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at is, Motivation, that preference program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ross-analysis was performed because participation satisfaction. Age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show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to the rest of the program and participating preferred satisfactory reason for not different. Also appeared to differ by gende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avor programs were examined by the rest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why not different. Third, Each region-specific variables and successful aging seniors university program participation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demographic variables. As a result, senior university program,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uccessful aging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showed significantly, ‘participation period’, and successful aging showed that both in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participating subj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successful aging showed the physical domain and intellectual are as and positive correlation of the health status variables successful aging, age-period variables and variables involved positive (+)showed a correlation enemy. More background variables showed that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pective regions in the successful aging. Fourth, Successful Aging independent variables, program participation factor of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 found to be on the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appear in each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cipation period’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ather, they appear to be not only appeared to affect the amulet to successful aging. This period could be longer participate in the physical aging process try gazing at the more careful to participate on a long term negative impact on successful aging. The background variables, demographic factors of 'sex', 'age', 'education', 'living conditions' and 'health' are statistically meaning less appear to have any particular influence successful aging been found that it does. Therefore the positive(+) impact of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is the successful aging of the senior university program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through the study, ‘participation period’ is rather negative (-) of the impact was found to be on. In addition, demographic factors of the ‘health’ in the physical, ‘gender’ in the intellectual sphere, and ‘living conditions’ was found on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in the social sphere. Before retiring to pursue a successful aging through participation of senior university programs are recognized as an elderly couple suggestions for preparing for health care should be togethe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ursue a successful aging through the senior university programs to increase the program participation rat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seems to be needed to help develop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