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천성산과 정족산 일원의 지질과 단열 분포

        손문 ( Moon Son ),김종선 ( Jong Sun Kim ),황병훈 ( Byoung Hoon Hwang ),류충렬 ( Chung Ryul Ryoo ),옥수석 ( Soo Seok Ock ),함세영 ( Se Yeong Hamm ),김인수 ( In Soo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03 지질공학 Vol.13 No.1

        경상남도 천성산과 정족산 일원을 대상으로 정밀 지질조사를 하여 지질구조와 단열 밀도분포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양산단층과 동래단층에 평행하고 연속성이 좋은 우수향 주향이동단층(법기단층)과 이와 사교하는 북서방향의 우수향 횡인장성 단층 그리고 대, 소규모의 단속적인 단층들이 수 개 존재함이 추적, 확인되었다. 단열계는 주향 방향과 빈도수에 따라 북북동방향의 단열군 J1(NS∼40oE), 서북서방향의 단열군 J2(N50o∼80oW), 동북동방향의 단열군 J3(N60o∼90oE)로 구분된다. 단열 밀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J1은 법기단층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운동에 의한 Y-, P- 그리고 R-전단 단열들의 조합, J2 단열군은 화강암 마그마의 관입통로가 되었던 기존 단열대 또는 화강암 마그마의 관입과 지각융기로 인한 북북동-남남서방향의 지각 신장성 단열, 그리고 J3은 양산단층과 동래단층을 비롯한 북북동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들 사이의 지괴에 만들어진 신장성 단열(T)들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결과는 연구지역에서 지하 구조물이나 터널 공사시에 환경피해를 줄이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fter detailed geological mapping, structural and fracture-densit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vicinity of Cheonseong and Jeongjok Mts., Gyeongsangnam-do. A extensive dextral strike-slip fault (Beopgi Fault) parallel to Yangsan and Dongrae Faults, a dextral-transtensional-NW fault, and a few intermittent faults have been found in the study area. Based on strike and frequency, fracture system has been divided into three sets such as NNE-trending J1 (NS-40oE), WNW-trending J2 (N50o-80oW), and ENE-trending J3 (N60o-90oE). According to analysis of fracture density, it is revealed as follows: (a) J1 is the combination of Y-, P-, and R-shear fractures due to the dextral strike-slip of the Beopgi Fault. (b) J2 is the preexisted fracture zone conducting the intrusion of granite. Two tensional fractures dipping to NNE and SSW respectively have been induced by intrusion of granite and followed crustal uplift. (c) J3 is the tensional fracture developed between Yangsan and Dongrae Faults having NNE trend and dextral strike-slip sense. This study aims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and insure stability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tunnels.

      • KCI우수등재

        거제도 동부에 분포하는 고제3기 암맥군

        손문(Moon Son),김종선(Jong-Sun Kim),황병훈(Byoung-Hoon Hwang),이인현(In-Hyun Lee),김정민(Jeongmin Kim),송철우(Cheol Woo Song),김인수(In-Soo Kim) 한국암석학회 2007 암석학회지 Vol.16 No.2

        거제도 동부 일운면 일대에는 백악기 말의 화강섬록암을 관입하고 있는 고제3기 암맥들이 발달한다. 이 암맥들은 북서 방향의 산성 암맥군과 서북서(A그룹)와 남북 내지 북북동 방향(B그룹)의 염기성 암맥군들로 구분된다. 야외 횡절관계를 근거하면 산성 암맥군이 가장 먼저 관입하였으며 다음으로 A그룹과 B그룹이 관입하였다. 산성 암맥군은 백악기 말~신생대 초 양산단층계의 좌수향 주향이동 단층운동에 수반되어 만들어진 인장 틈을 따라 관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A그룹과 B그룹 염기성 암맥군들은 야외 암상과 관입 방향성에서 경주-감포 지역의 암맥군들 중 중성과 염기성 암맥군에 각각 대비된다. 또한 대비되는 두 지역 암맥군들은 전체 희토류 원소 함량과 콘드라이트에 표준화한 거미 성분도 및 미량원소와 희토류 원소 함량 패턴에서 유사한 양상이다. 이는 두 지역의 대비되는 암맥군들이 성인적으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K-Ar 과 Ar-Ar 연대측정 결과를 종합하면, A그룹 암맥군은 64-52Ma 사이에, B그룹 암맥군은 51-44Ma에 관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약 51Ma를 전후로 한반도 남동부의 인장 응력장이 북북동-남남서에서 동서 내지 서북서-남남동으로 급격히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고제3기 아시아 일원에서 발생한 주요 지구조 사건들을 고려하면, 64-52Ma에는 북상하던 태평양판의 사교 섭입으로 동아시아 대륙연변에 북북서 방향의 광역적인 좌수향 전단 응력장이 작동하였으며, A그룹 암맥군은 이와 수반된 인장 단열들을 따라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약 55Ma의 인도와 유라시아 대륙의 충돌에 의한 응력은 약 51 Ma 경에는 한반도 일원까지 전파 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대륙이 태평양판 쪽으로 밀려감으로써 섭입하던 태평양판의 각도가 급해져 동아시아 연변에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였으며, 이 때문에 태평양판의 운동 방향이 북북서에서 서북서방향으로 회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약 51 Ma부터 한반도 동남부에는 지판 경계의 강력한 흡입력으로 동서 내지 서북서-동남동의 인장력이 작동되어 B그룹 암맥군이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The Paleogene dikes intruding into the late Cretaceous granodiorite are pervasively observed in the Irun-myeon, eastern Geoje Isl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W-trending acidic dike swarm and WNW- (A-Group) and NS-NNE-trending (B-Group) basic dike swarms. Based on their cross-cutting relationships, the earliest is the acidic dike group and followed by A- and B-Groups in succession. The acidic dikes seem to have intruded into tension gashes induced by the sinistral strike-slip faulting of the Yangsan fault system during the late Cretaceous-early Paleogene. In terms of rock-type, orientation, age, and geochemistry, A-Group and B-Group are intimately correlated with the intermediate and basic dike swarms in the Gyeongju-Gampo area, respectively. These results significantly suggest that the corresponding dike swarms are genetically related. Based on the K-Ar and Ar-Ar age data, A- and B¬Groups were intruded during 64-52 Ma and 51-44 Ma, respectively. The result means that the direction of tensional stress in and around the SE Korean peninsula was changed abruptly from NNE-SSW to EW~WNW-ESE at about 51 Ma. Considering the tectonic environments during the Paleogene, it is interpreted that A-Group was injected along the WNW-trending tensional fractures developed under an regional sinistral simple shear regime which was caused by the north-northwestward oblique subduction of the Pacific plate beneath the Eurasian plate. Meanwhile, the regional stress caused by the collision of India and Eurasia continents at about 55 Ma was likely propagated to the East Asia at about 51 Ma, and then the 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was extruded eastwards as a trench-rollback and the dip of downgoing slab of the Pacific plate was abruptly steepened. As a result, the strong suction-force along the plate boundary produced a tensional stress field trending EW or WNW-ESE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hich resultantly induced B-Group to intrude passively into the study area.

      • KCI우수등재

        제주도 현무암에 포획된 Type Ⅱ 포획암 : 성인과 조직적 특성

        유재은(Jae-eun Yu),양경희(Kyounghee Yang),황병훈(Byoung-Hoon Hwang),김진섭(Jinseop Kim) 한국암석학회 2009 암석학회지 Vol.18 No.3

        제주도 동남부에 산출되는 초염기성 포획암은 두 그룹, Type I과 Type Ⅱ로 분류되어진다. Type I 포획암은 Mg 성분이 높은 광물(㎎#=89-91)로 구성된 페리도타이트로서 노두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된다. 제주도 초염기성 포획암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Type I 맨틀포획암에 관한 것이다. 반면에 Type Ⅱ 포획암은 상대적으로 Mg, Ni, Cr성분은 낮고 Fe, Ti 성분이 높은 감람석, 사방휘석, 단사휘석(㎎#=77-83)으로 이루어져 있다. Type Ⅱ 포획암의 성분은 월라이트-감람석 단사휘석암-감람석 웹스터라이트-웹스터라이트이며, Ti이 풍부한 단사휘석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Type Ⅱ 포획암은 노두에서 포이킬리틱한 조직을 나타내어 규뮬레이트의 특성을 보인다. Type Ⅱ 포획암에 나타나는 삼중점과 킹크밴딩, 직선적인 입자경계 조직은 Type Ⅱ 포획암이 열에 의해 야기되는 정적재결정작용과 어닐링을 경험하였음을 지시한다. 조립질의 사방휘석과 단사휘석은 용리엽리를 보이며(고온형 휘석), 세립질의 휘석은 용리엽리를 보이지 않는(저온형 휘석) 특성을 보이지만 이들의 주성분조성은 거의 유사하여 저온에서 화학적 재평형이 완전히 이루어졌음을 지시한다. 단사휘석과 감람석의 가장자리를 사방휘석이 교대치환하고 있어 사방휘석의 부화작용(enrichment)이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같은 노두에서 발견되는 Type I 맨틀포획암, 반려암질포획암, 모암인 현무암내의 결정들과 비교해보면 Type Ⅱ 포획암의 주성분원소 조성은 Type I 맨틀포획암과는 뚜렷하게 단절되는 불연속을 형성하지만 반려암질포획암과 모암인 현무암과는 연속적인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조직적 특성과 주성분원소 성분조성은 Type Ⅱ 포획암이 현재의 모암인 현무암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할지라도 제주도를 형성한 마그마계의 일부분으로 분별결정작용에 의한 집적암(cumulates) 기원임을 제시한다. Ultramafic xenoliths from southeastern part of Jeju Island can be grouped into two types: Type Ⅰ and Type Ⅱ. Type I xenoliths are magnesian and olivine-rich peridotite (㎎#=89-91), which are commonly found at the outcrop. Most previous works have been focused on Type Ⅰ xenoliths. Type Ⅱ xenoliths, consisting of olivine, orthopyroxene and clinopyroxene with higher Fe and Ti components (㎎#=77-83) and lower Mg, Ni, Cr, are reported in this study. They are less common with a more extensive compositional range. The studied Type Ⅱ xenoliths are wehrlite, olivine-clinopyroxenite, olivine websterite, and websterite. They sometimes show ophitic textures in outcrops indicating cumulate natures.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kink banding and more straight grain boundaries with triple junctions, ar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recrystallization and annealing. Large pyroxene grains have exsolution textures and show almost the same major compositions as small exsolution-free pyroxenes. Although the exsolution texture indicates a previous high-temperature history, all mineral phases are completely reequilibrated to some lower temperature. Orthopyroxenes replacing clinopyroxene margin or olivine indicate an orthopyroxene enrichment event. Mineral phases of Type Ⅱ are compared with Type Ⅰ xenoliths, gabbroic xenoliths, and the host basalts. Those from Type Ⅱ xenoliths show a distinct discontinuity with those from Type Ⅰ mantle xenoliths, whereas they show a continuous or overlapping relation with those from gabbroic xenoliths and the host basalts. Our petrographic and geochem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studied type Ⅱ xenoliths appear to be cumulates derived from the host magma-related system, being formed by early fractional crystallization, although these xenoliths may not be directly linked to the host basal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울산 이진리 미문상화강암의 암석학적 및 지형학적 특성 연구

        김선웅(Sun-Woong Kim),김항묵(Haang-Mook Kim),황병훈(Byoung-Hoon Hwang),양경희(Kyounghee Yang),김진섭(Jin-Seop Kim) 한국암석학회 2009 암석학회지 Vol.18 No.3

        울산시 이진리 지역에 분포하는 미문상 화강암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이 지형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화강암은 대부분 담갈색 내지 회백색을 띠며, 1~2 ㎜ 내외의 중립 내지 세립의 석영 및 정장석으로 구성되어있다. 대부분 석영과 정장석이 연정을 형성하여 미문상 조직을 보인다. 미문상화강암이 분포한 연구지역에는 인셀베르그, 토르, 타포니, 나마와 같은 미지형이 관찰된다. 연구지역의 북측에는 타포니가, 남측에는 나마가 주로 발달해 있으며, 연구지역 전역에 걸쳐 플루팅 코어와 래이즈드 림이 나타난다. 미문상 화강암의 조직적 특징을 분류기준으로 하여 외대(A)와 내대(B)로 구분하였으며, 미문상 조직이 내대에서 외대로 갈수록 뚜렷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형학적 특징이 이에 부합하여 나타난다. 즉, 외대의 지형학적 특징은 범바위 같은 타포니로 이루어진 미지형이 주로 나타나며, 내대는 차일암과 같은 대(platform)로 대표되는데 이는 암석학적 특성이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 전역에 걸쳐 나타나는 플루팅 코어, 래이즈드 림 등의 특이지형은 미문상 화강암의 성인과 관련된 정동의 발달과 연관되어 있으며, 타포니, 나마 등의 미지형 형성에도 기원적인 요소로 작용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암석의 입도와 정동의 분포 상태 등의 조직적 차이가 미지형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crographic granite and the topographic features around Ijin-ri. Light-brown to light- gray granite is composed of intergrown fine-grained quartz + orthoclase, displaying micrographic textures. Miarolitic cavities are abundant. Many micro-landforms including tor, tafoni, and gnamma occurred in the micrographic granite of the study area. Tafoni is dominant in the north and gnamma is dominant in south. From our study of the occurrence and textural properties, two alteration zones were clearly identified; one is an external zone (A) characterized by abundant of small sized miarolitic cavities and the other is an internal zone (B) having them less than zone A. The former is dominant in north, and the latter is dominant in south. Particular geomorphologic features such as fluting cores and raised rims are present in the Ijin-ri area. This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miarolitic ca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various geomorphologic features. Consequently, the petrogenesis of the micrographic granite is related to geomorphologic features in the external zone typified by abundant tafoni such as the tiger rock, and the formation of a platform as micro-landforms is influenced by thetextural differences of host rock in the internal zon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