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작법이 훈련자의 마음챙김 자아효능감과 훈련과정 지각에 미치는 효과

        황경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09 지적장애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ohsa-method training on trainer's mindfulness-based self-efficacy and training process perception. Scales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ere Mindfulness-based Self-Efficacy Scale which is for trainer's mindfulness-based self-efficacy and Training Process Perception Scale which is for trainer's training process perception. Participants were 48 adults who participated in Dohsa-method workshop for 7 day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24 for each. Dependa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trainer's mindfulness-based self-efficacy and training process percep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Dohsa-method was proved to be effective on enhancing the Trainer's Mindfulness-based Self-Efficacy and Training Process Perception. As a conclusion, Dosa-method could be the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himself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knowing the result of training. 본 연구는 동작법 훈련과정 참여에서 동작법이 훈련자의 마음챙김 자아효능감과 훈련과정 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동작법이 훈련자의 인간적 자질과 훈련과정 지각을 개선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훈련자의 인간적 자질을 훈련자 자신의 신체적⋅심리적 상태에 대한 자각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인 마음챙김 자아효능감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마음챙김 자아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이를 측정하였다. 훈련자의 훈련과정에 대한 지각 정도는 동작법 훈련과정 인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훈련자가 동작법 훈련과정에 참여한 후 마음챙김 자아효능감 척도 점수가 향상된다면 이는 훈련자 자신의 신체적⋅심리적 상태에 대한 자각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 즉 마음챙김 자아효능감이 증대된 것을 의미하고 궁극적으로는 훈련자의 인간적 자질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마찬가지로 훈련자가 훈련과정에 참여한 후 동작법 훈련과정 인식 질문지 점수가 향상된다면 이는 훈련자의 훈련과정에 대한 지각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연구대상은 48명으로 동작법 연수에 참가한 훈련자 24명은 실험집단에, 동작법 연수에 참가할 의향이 있는 24명은 통제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 결과 동작법 훈련과정 참여에서 동작법이 훈련자의 마음챙김 자아효능감을 증대시켰고 궁극적으로는 훈련자의 인간적 자질을 개선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동작법이 동작법 훈련과정 인식 질문지 점수를 증가시켜 훈련자의 훈련과정에 대한 지각을 개선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동작법 훈련과정에 참여하는 것은 훈련자의 인간적 자질을 개선시키는 한 방법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결정력 증진을 위한 다중지능 미술활동 프로그램의 과정 분석

        황경렬,권명욱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07 지적장애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ess of multiple intelligence-based art activity program for self-determination on mild mental retardation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15 mild mental retardation adolescents. Among those people, 10 mild mental retardation adolescents were selected for analyze the progress of this program. The object of analysis was content, construct, pressure, and coloring of participant's work in first session and final session. Also, it was analyzed into self-understanding and self-esteem, goal-setting and planning, behavior, experience of a product, evaluation(these wer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s) on each participant's work of 1 session, 15session, and 25 session. Each theme of 1 session, 15 session, and 25 session were 'drawing self-image', 'drawing around the school', and 'drawing self-image using ones' fingerpr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⑴ It was improved number of used colors, size of drawing, level of appropriate pressure, and elaboration & construct of drawing. ⑵ According to proceed the sessions, it was improved in each realms of the self-determinations. These result suggest that multiple intelligence-based art activity program help the improvement of self-determination of mild mental retardation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을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들에게 실시하여 그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정신지체 청소년들은 모두 15명이었고, 이들 중 질적 분석에 적합한 10명의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과정 중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 그림들의 그림 내용과 구도, 그리고 필압, 채색, 과정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의 활동 자료를 초반, 중반, 종반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는데, 초반은 1회기에 실시한 ‘자기상 그리기’, 중반은 15회기의 ‘학교주변 그리기’, 그리고 종반의 25회기에는 ‘손바닥 본으로 자기상 그리기’였으며, 각 그림에 대하여 자기결정력 하위요소인 자기이해 및 존중, 목표설정 및 계획, 행동, 성과경험, 그리고 종합적인 평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⑴ 사전/사후의 그림을 비교한 결과, 먼저 자기상 표현에서 색채수의 증가 및 크기 증가가 나타났다. 두 번째 큰 변화는 필압의 활용 수준이 향상되었다. 세 번째 변화는 그림묘사의 시간이 길어지면서 정교성 및 구성(계획성) 능력이 향상되었다. ⑵ 미술활동의 회기가 경과함에 따라 피험자들의 그림에서 자기결정력과 관련된 영역과 관련하여 대체로 분명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다중지능 이론에 입각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은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결정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주제어> 다중지능미술활동, 과정분석, 자기결정력

      • KCI등재

        단측 뇌손상과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

        황경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199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6 No.1

        선행 연구들 간의 불일치를 야기시켰던 몇 가지 이유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 중 공통성문제, 어휘문제, 토막짜기, 모양맞추기를 사용했고, 공통성문제와 어휘문제를 언어성검사로, 토막짜기와 모양맞추기를 동작성검사로 보았다. 좌반구 손상환자 13명, 우반구 손상환자 12명, 뇌손상 증거가 전혀 없는 입원한 외과환자 20명, 그리고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1963년에 전 용신 등이 재표준화한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 중에서 상기한 4가지 하위 소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좌반구 손상 집단은 언어성 점수가 낮았으나, 우반구 손상 집단은 동작성 점수가 낮았다. 따라서 좌반구 손상은 언어능력을 손상시켰고, 우반구 손상은 시각적 구성능력을 손상시켰다. 뇌손상 집단의 검사 점수는 뇌손상이 없는 집단의 검사 점수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좌·우반구 손상 환자들은 문제해결능력에 서로 차이가 있고, 심리적 기능에서 좌·우반구의 역할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긍정적으로 지지했다.

      • 비구조적 소집단 훈련이 자아개념과 자기노출에 미치는 효과

        황경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1999 再活科學硏究 Vol.15 No.1

        본 연구는 우리 전통문화와 선불교적 입장을 근거로 만들어진 비구조적 소집단훈련이 참여자의 자아개념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훈련전과 후에 자아개념을 측정하여 훈련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훈련 효과와 관련이 높다고 생각되는 과정변인인 자기노출이 훈련을 통하여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노출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참여자들에게 사전 양해를 구하고 총 24회기 중 강의와 신체활동시간을 제외한 16회기 모두 녹음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총 28명 훈련 안내장을 받고서 참여한 유료 자원자들이었다. 대기집단은 훈련 안내장을 받고서 참여하기를 원하였으나 훈련 참여자수의 제한으로 인해 다음 기회를 기다리는 사람들 중에서 훈련집단의 참여자들과 성별, 연령, 학력 등을 짝짓기 하여 선발하였다. 자아개념에서 훈련 전에 비해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총자아 긍정, 자아 동일성, 자아 행동성,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그리고 사회적 자아였다. 즉 훈련 직후 총자아 긍정 및 6개 하위변인들의 득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자기노출 3구획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1구획, 2구획 순이었다. 사후개별 비교한 결과 1, 3구획과 2구획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erbal interactional process in the small group training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small group training process on the training effect. The training effect was measured by the change in the scores on the self-concept test, which was perform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The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into the treatment group(n=14) or the waiting list group(n=14). The treatment group experienced the residential intensive process which consisted of 25 sessions, and wer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elf-disclosure in the non-structured situation. In contrast, waiting list group were not given any training during the same period. ANOVAs based o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elf-concept, indicated that in the immediate traing effect the total score on self-affirmance and the scores on six subscales changed significantly. This study implied that self-disclosure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small group training process. The participants, though they experienced the same group process, differed in their verbal response patterns. Individual verb response patterns divided the whole participants into three groups and one of these groups was congruent with the Tuckman & Jensen' s development model(1977). This group indicated higher mean change score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immediate self-concept test. These three group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training effect,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사회극놀이가 자폐성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미치는 효과

        천승욱,황경렬 한국재활심리학회 2012 재활심리연구 Vol.19 No.3

        This research studied how sociodramatic play between children can affect a child with autism's social interaction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interactions. This experiment followed 3 subjects whom have a low ability of social skills in a disability specialized daycare during a 2 month peri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3 children who have autism by observing multiple baseline subjects. First, information was collected about the children playing by themselves in a free time environment. After that, sociodramatic play with normal children was observed, while the teacher was present. Concomitantly, the teacher enacted and helped actualize the plan, play, and evaluation time to promote and contain the sociodramatic play. One week after arbitration, the effects of the arbitration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first result is that the children who were observed for research with apparent low social interaction at the beginning of survey had increased social interaction after arbitration. A second result was that the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improvement which increased after arbitration continued. According to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sociodramatic play can help children who have autism increase their social interaction and continue to improve.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structuring and monitoring of free time activities can improve children with autism’s social interactions with a teacher’s arbitration during thier sociodramatic play, and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that they can use for pla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