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음챙김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상위인지의 매개효과

        홍혜영(Hong Hye Young),이석훈(Lee Seock Hoon) 한국통합치료학회 2012 통합치료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상위인지와 관련된 마음챙김과 주로 병리적인 문제들과 관련이 있는 역기능적 상위인지가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중 역기능적 상위인지는 마음챙김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있는 남녀 대학생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마음챙김과 역기능적 상위인지, 안녕감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하였으나 역기능적 상위인지와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는 낮은 신뢰도와 상과관계를 보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마음챙김과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상위인지는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는 병리적인 증상을 겪지 않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역기능적 상위인지의 긍정적 신념과 부정적 신념이 모두 나타났으며 마음챙김의 효과는 역기능적 상위인지의 부정적 신념을 모두 감소시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정상적인 사람에게서 나타난 걱정에 대한 편차가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 원인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how it affect of mindfulness that related with metacognition and dysfunctional meta-cognition related with pathological problem to evaluate well-being. And how it mediating of dysfunctional meta-cogn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wellbei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274 people were polled. The result is mindfulness and dysfunctional parent, and wellbeing of correlation were all significant correlation. But between dysfunctional meta-cognition and wellbeing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e low reliability. And dysfunctional meta-cognition suppressor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wellbeing. Because positive beliefs and negative beliefs conducting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do not suffer the symptoms of pathological results showed the effects of mindfulness, which helped offset the negative beliefs dysfunctional metacognition. Wealth to present evidence about the cause appeared worried about deviations from a normal person until now shows different results i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등교거부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자기결정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정진희(Jung Jin hee),홍혜영(Hong Hye 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14 통합치료연구 Vol.6 No.1

        청소년기는 스스로 무언가를 선택하고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해결방법을 사용하는 경험을 통하여 자율적 동기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다른 시기에 비해 불안정한 시기일 뿐 아니라 인지적ㆍ정서적으로 미성숙하기 때문에 관계 속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학업, 수업태도, 학교적응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기도하며 더 나아가 정신건강상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회불안, 자기결정동기가 등교거부경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1,2,3학년 733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 하여 등교거부 경향성에 대한 인과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등교거부경향성이 감소하였고 사회불안수준은 낮아졌으며 자기결정동기는 높아졌다. 또한, 청소년이 부모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등교거부경향성이 증가하였고 사회불안수준은 높아졌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등교거부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사회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결정동기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교육환경이 청소년들로 하여금 자율성보다는 틀에 짜인 대로 가야하는 환경을 만든 결과라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의 등교거부경향성을 파악하는데 있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이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 하였고, 자기결정동기는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In adolescence, one can develop autonomous motivation through experiences of using various skills and solutions in order to select or resolve something by himself. But this period is not only unstable compared to others but also immature both cognitively and emotionally. Therefore, when a problem occurs in a relationship, various problems may occur in learning, classroom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Moreover, many problems relating to mental health may occ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young people, social anxiet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ffect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To achieve that, this study chose 733 students in the 1st, 2nd, and 3rd years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s study subjects and examined the causal structure model for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the more positive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students was, the less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was; the lower their social anxiety level was; and the more they ha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re negative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the students was, the more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was, and the higher their social anxiety level w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social anxiety produc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u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didn't. It indicates that the special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makes students follow routine conditions, rather than make self-determination. Nevertheless, given the study result,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young people and their social anxiety strongly influenced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and thei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as partially related to their tendency of school refusal.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성인애착, 반려동물애착의 군집유형에 따른 애착강도, 애도의 차이

        임혜선(Hye Sun Lim),홍혜영(Hye Young Hong)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성인애착, 반려동물애착에 따른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에 따라 애착강도, 애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 410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반려인의 성인애착과 반려동물애착에 따라 ‘불안정성인애착-반려동물불안애착군집’(N=175), ‘안정성인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N=72), ‘성인회피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N=81), ‘성인불안애착-불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N=82)이 도출되었다. 다변량분산분석 결과, 군집에 따라 애착강도, 애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불안정성인애착-반려동물불안애착군집’은 다른 군집에 비해 애착강도와 애도가 가장 높았고, 애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슬픔/비애, 죄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성인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은 애착강도가 다른 군집에 비해 높았으며, 애도의 하위요인에서는 슬픔/비애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회피애착-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은 평균수준의 애착강도를 보였으며, 애도는 다른 군집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불안애착-불안정반려동물애착군집’은 애착강도와 애도가 가장 낮았으며, 애도의 하위요인에서는 분노/트라우마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의 인간관계와 반려동물관계의 애착양상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애도상담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e current study is to classify the cluster groups in adult with the loss of their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ir adult attachment and companion animals attachment,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according to each cluster group. For the goal, survey responses from a total of 410 adults were used to conduct cluster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adult attachment and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the following 4 groups such as;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175), ‘Secur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72), ‘Avoidanc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81), and ‘Anxious adult attachment-In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N=82) were derived.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OV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depend on clusters.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the highest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and grief and guilt were high in the sub-factors of mourning. ‘Secur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a higher attachment strength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d grief was high in the sub-factors of mourning. ‘Avoidance adult attachment-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an average attachment strength, mourning was low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Anxious adult attachment-Insecure attachment to companion animal group’ had the lowest attachment strength and mourning, and anger/trauma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sub-factors of mourning. These finding results are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human relationships among adult who have lost their companion animals and the attachment aspect of the companion animal relationship in an integrated way, and preparing the essential data for the intervention of grief counseling.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Hye-Jin Kim),홍혜영(Hye-Young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에서 초등학교 1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6차년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6차년도의 학년은 초등학교 6학년 고등학교 3학년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6과 고3의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성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기분석을 통하여 자아정체성과 공동체의식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정체성,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부분매개와 완전매개모형을 비교 · 분석한 결과 청소년 전체와 초6은 부분매개모형이, 고3은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 초기에는 자아정체성의 형성이 다문화수용성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고, 청소년 후기에는 공동체의식이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달에 따른 자아정체성 정립과 공동체의식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적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between Ego-identit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Struatural analysis is performed with six - year panel survey data of elementary school 1st grade students and middle school 1st grade students from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 The subjects of six - year panel survey data are the six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eni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differences in Ego-identity, sense of communit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between the six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eniors. Second, they are related. Third,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Ego-identity and sense of community have an a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urth, partial mediating effect is suitable for whole youth and sixth grader and complect mediation effect is suitable for high school seniors. In early adolescents, Ego-identity plays a direct role in multicultural acceptance. But in late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plays a direct role in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 on these results, for improving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It has suggested educational programs that helps to enhance Ego-identity and sense of community.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유미영(Mi Young You),홍혜영(Hye Young H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 5학년 총 306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척도와 정서지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척도, 교과학습 진단평가점수 등을 사용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 정서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 모두 직접적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 모두에서 애정을 높게 지각한 아동 일수록, 부로부터 과보호를 낮게 지각할수록, 학업성취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 지능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부와 모 모두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아동이 지각한 부 양육태도와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하였고, 모양육태도와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의 학업성취 향상을 조력할 때, 부모의 양육태도 뿐 아니라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성과 정서지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및 학습상 담 개입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했다. The study was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toward child-rearing,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tal 306 participants of 5th grade student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at Seoul,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of paternal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were execu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show whole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s between paternal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and academic achieve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also have whole meaningful static correlations from academic achievement and paternal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Second, all of parental attitudes toward child-rear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directly a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t shows that the higher children perceive affection from parents and the lower children perceive overprotection from father,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s. Next, emotional intelligence reveals that the effect of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on academic achievement acts as a partial mediator from both parents. Last, academic self-efficacy shows as a partial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ernal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and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reveals as a full mediator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rearing attitudes which children perceiv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suggested the necessarily of considering not any parental attitudes bu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for helping childre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necessarily of parental education training program and counseling intervention.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명확성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안지영(Ji-Young Ahn),홍혜영(Hye-Young Ho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22 통합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 등의 지역 출신의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의 심리적 통제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 모의 심리적 통제 모두 대인관계문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부, 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기개념명확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경험회피와 정적 상관이 통계적으로유의하였다. 셋째, 대인관계문제는 자기개념명확성과 부적 상관관계, 경험회피와의 정적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기개념명확성은 경험회피와 부적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섯째, 모의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 개념명확성과 경험회피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기개념명확성과 경험회피를 거쳐 대인관계문제에 이르는 경로는 자기개념명확성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의심리적 통제가 자기개념명확성과 경험회피를 거쳐 대인관계문제에 이르는 경로는 두 매개변인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 자녀에게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통제가 아닌 적절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고 양육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295 dat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etc. and measured by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PCS-YSR),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Circumplex Scale(KIIP-SC), Self-Concept Clarity Scale(SCCS), and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AAQ-Ⅱ). SPSS 21.0, AMOS 21.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ediationg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as below. First of all,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Experiential Avoidance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Concept Clarity. In addition, Self-Concept Clar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xperiential Avoid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ly, Self-Concept Clar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Self-Concept Clar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had significant doubl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y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mong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se findings proved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Self-Concept Clar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are variables that Interpersonal Problems, and also clarified that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Also, among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Paternal and Maternal, the Maternal was relatively greater simulated effect was shown.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중학생이 지각한 부 · 모의 심리적통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권혜민(Kwon, Hye-Min),홍혜영(Hong, Hye-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17 통합치료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SNS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경남 남녀 중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구조모형 4개를 비교분석하였다. 구조모형 1,2는 직접경로를 포함, 구조모형 3,4는 직접경로 제외한 간접경로 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설정한 모형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구조모형1>에서 부의 심리적통제가 SNS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사회불안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둘째, <구조모형2>에서 모의 심리적통제는 SNS중 독 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매개효과는 없었다. 셋째, 간접경로만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구조모형3>, <구조모형4>를 살펴보면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SNS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더불어 부·모의 심리적통제를 많이 받을수록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이는 사회불안을 야기하여 SNS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 모두 완전 매개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SNS중독 경향성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보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불안을 통한 간접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함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ocial anxiety, and SNS addict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 psychological control and SNS addictoi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46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dentify the results, 4 different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first two structural equation model(No.1 and 2) included direct paths(from parent s psychological control to SNS addiction), and the rest two(NO.3 and 4) were adopted to elaborate the indirect paths which excluded direct pa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In regards to the effect of fa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SNS addiction, social anxiety had no mediating effect, whil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No.1>. second, there was only direct impact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SNS addiction, but no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anxiety<No.2>. third, Structural Equation No.3 and No.4, only the indirect path was remained, showe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psychological control and SNS addiction.

      • 자기초점적 주의와 우울 간의 관계 -심리적 수용 및 반추의 매개효과-

        조민희(Cho, Min-Hee),홍혜영(Hong, Hye-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17 통합치료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자기초점적 주의를 자기몰입과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으로 구분하고, 각각 우울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과 반추가 매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서울, 경기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SDSAS), Bond의 심리적 수용검사 척도(AAQ), 한국판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K-RRS), 한국판 Beck 우울 질문지(BDI)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몰입,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 심리적 수용, 반추, 우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몰입은 반추 및 우울과 정적 상관을, 심리적 수용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은 반추와 부적 상관을, 심리적 수용과는 정적 상관을, 우울과는 유의미하지 않은상관을 나타냈다. 반추는 심리적 수용과 부적 상관을,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심리적 수용은 우울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몰입,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 심리적 수용,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몰입과 반추는 정적 영향을, 심리적 수용은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자기몰입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 및 반추의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자기몰입이 심리적 수용과 반추를 거쳐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넷째,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 및 반추의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일반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이 심리적 수용과 반추를 거쳐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study was self-focused attention divided into self-absorption and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confirmed medi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rumin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For data analysis, the use of correlational analysis, ref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SEM), and model verification.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was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absorption, rumination and depressio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absorpt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ere was partial correlation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rumination.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Second, analysing mediating effects of self-absorp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rumination to depression. Self-absorption and rumination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to depressio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was not significant effects to depression. Third, data analysing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 between self-absorption and depression partly mediated to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rumination. Fourth, data analysing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 between general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mediated to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ruminat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 용서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백서희(Baek, Seo-Hee),홍혜영(Hong, Hye-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17 통합치료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용서, 정서지능, 대인관계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용서와 대인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강원지역의 대학생 330명을 연구대상으로 용서, 정서 지능, 대인관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용서와 정서지능, 대인관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이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용서와 대인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용서와 대인관계에서 정서지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요인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대인관계 갈등과 상처로 인해 심리적 부적응을 겪는 내담자들의 정서능력 함양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효과적인 상담개입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orgiven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forg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For this study, 330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 K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to collect data on forgiven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analysis of data, SPSS 18.0 programs were used to conduct technological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s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of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show: First, an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forgiven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dicates that all the variabl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forg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dicates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n forgiveness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completely mediated effects, and that all the subordinat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partially meadiated effects. Such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emotional capacity of the clients who ar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due to interpersonal conflicts and emotional injuries in actual counseling situations. The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Lastly, the current study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proposed subsequent studies in this discip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