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이 구상하는 국제질서와 동아시아지역질서 그리고 한반도 안보

        홍은정 ( Hong Eunjung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7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ina`s perceptions and strategies of international order, East Asian regional order, and Korean peninsular security after the rise of China. China explained that it has formed international order of one-super-multi-strong and multipolarity since the post-Cold War era. China saw that it can easily reach a relative balance and stable state because the power nations check against each other in the multipolarity structure.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Chinese scholars have been forming and operating a debate on a variety of international order, judging that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competenci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of one-super multi-strong and multipolarity in post-Cold War era. The theme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is discourse can be said to be the dominant composition and role of the only pole of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the part of the discourse of international order, which is developed in China is projected and observed, can be said to be the change of regional order in East Asia. In the course of the rise of China since 2008, China recognizes that it can play a leading role in East Asia where it is located, and will also change the regional order in East Asia. Chapter 3 of this study traces the new international order and East Asian regional order that China perceive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Chinese intellectuals. China is paying greater attention to its capacity and role in establishing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East Asia and is developing strategies for neighboring countries. The Korean peninsula is a very important area in East Asia relations of China and is a place where the change in East Asian regional order is evident. Since the time of Xi jinping, China has been expanding its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by expanding the flexibl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while pursuing a Korean peninsula stabilization strategy in the direction of enjoying stabilization with North Korea.

      • 동해안 곡강 사구식생의 분포 특징

        정연숙(Choung Yeonsook),안선영(Sunyoung Ahn),신광일(Kwangil Shin),홍은정(Eunjung Hong),황태환(Taehwan Hwang) 강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4 기초과학연구 Vol.15 No.-

          강원도 곡강사구에서 해빈을 포함한 사구지역을 중심으로 식물군락의 분포를 현존식생도로 작성하고 대상방형구법을 이용하여 해변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종의 분포특징을 조사하였다. 해안선으로부터 대상분포의 경향은 뚜렷하지는 않았는데 교란의 영향으로 보인다. 대체로 단일종이 순군락을 형성하였으나 때때로 다른 종과 호생하였다. 종별 우점도를 분석한 결고, 갯잔디가 가장 우점하였고, 보리사초, 갯메꽃, 갯씀바귀 등 전형적인 해안식물 종이 우점하여 중요치가 높았다. 해안성 식물의 총 중요치는 92%에 달해서 귀화식물이나 중성식물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사구지형의 안정도는 높았으나 식생은 해수욕장과 농경지로 이용 등으로 인해 많이 훼손된 상태이다.

      • 동해안 동호 사구식생의 분포 특징

        정연숙(Choung Yeonsook),안선영(Sunyoung Ahn),신광일(Kwangil Shin),홍은정(Eunjung Hong),황태환(Taehwan Hwang) 강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4 기초과학연구 Vol.15 No.-

          강원도 동호사구에서 해빈을 포함한 1차 사구 지역을 중심으로 식물군락의 분포를 현존식생도로 작성하고 대상방형구법(transect method)을 이용하여 해변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종의 분포특징을 조사하였다. 식물군락의 형성은 해안선에서 사구 방향으로, 보리사초 → 갯보리 → 좀보리사초, 갯씀바귀 → 갯메꽃 → 갯완두의 순으로 분포하여 대상분포의 경향이 뚜렷하였다. 해빈에서는 대체로 단일종이 순군락을 형성하였으나 1차 사구지역에는 갯메꽃, 갯완두, 갯씀바귀 등 다수 종이 혼생하였다. 종별 우점도를 분석한 결과, 개척종인 좀보리사초가 가장 우점하였고, 보리사초, 갯씀바귀, 갯완두, 갯보리, 갯메꽃, 갯방풍, 솔장다리 등의 전형적인 해안식물 종이 절대 우점하였다. 결과적으로 해안식물종의 우점도가 총 중요치의 93.5%를 차지함으로써 육상종이나 귀화식물 등의 영향이 적었다. 1차 사구의 발달은 미약하였으나 해수욕장으로 개방되는 면적이 작은 반면 군사시설 보호지역으로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어 사구식생의 안정도는 높았다. 배후식생으로 해송림이 분포하였고 습지 주변부는 갈대군락이 우점하였다.

      • 동해안 후정 사구식생의 분포 특징

        정연숙(Choung Yeonsook),안선영(Sungyoung Ahn),신광일(Kwangil Shin),홍은정(Eunjung Hong),황태환(Taehwan Hwang) 강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4 기초과학연구 Vol.15 No.-

        강원도 후정사구에서 해빈을 포함한 사구지역을 중심으로 식물군락의 분포를 현존식생도로 작성하고 대상방형구법(transect method)을 이용하여 해변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종의 분포특징을 조사하였다. 해안선으로부터 대상분포의 경향이 뚜렷하지는 않았으며 갯완두 군락이 사구 근접지역 또는 사구에서 많이 출현하는 경향이고 개척식물인 보리사초는 상대적으로 해안 가까운 곳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보리사초 → 갯메꽃, 갯씀바귀 → 갯완두의 순으로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대체로 단일종이 순군락을 형성하였으나 때로는 다른 종과 혼생하였다. 종별 우점도를 분석한 결과, 갯메꽃이 가장 우점하였고 갯완두, 갯씀바귀, 갯잔디 등 사구지형 종들의 중요치가 높음으로써 사구가 상대적으로 안정화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안성 식물의 중요치가 총 80.7%를 차지하였고 나머지 19.3%는 귀화식물 또는 중성식물이 점유하였는데 이는 연중 사람의 출입이 많은 넓은 면적의 해수욕장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사구지형의 안정도는 높았으나 식생은 해수욕장, 군사활동, 농경지 전환 등으로 인해 많이 훼손된 상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