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러스 형태에 따른 스태거드트러스 골조시스템의 내진성능 평가

        홍윤수,유은종,나창순,Hong, Yoon-Soo,Yu, Eun-Jong,Rha, Chang-Soo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7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트러스의 형태를 바꿔가며 엇갈린 트러스(STF) 시스템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예제 구조물은 10층의 철골조 사무실 건물이며, 시스템별로 각각 프랫트러스, 하우트러스, 와렌트러스, 케이트러스와 비렌딜트러스를 적용하였다. 중력하중, 풍하중, 지진하중을 고려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부재에 높은 DCR을 만족하는 단면을 산정한 후 고유주기, 밑면전단력과 층간변위를 산출하였다. 그 후, 역량스펙트럼법을 통해 1.2배의 설계지진(DE)과 최대고려지진(MCE)에 대한 성능점을 산정하고, STF 시스템의 항복여부 및 소성힌지의 분포를 파악하여 구조기준에서 제시한 목표성능수준을 만족하는지 살펴보았다. 평가 결과, 모든 시스템이 해당 목표성능수준을 만족하였으며, 시스템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따져보았을 때, PR10이나 VR10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Staggered Truss Frame(STF) system while changing a shape of truss. The model of this project is a office building of ten floors with Pratt, Howe, Warren, K and Vierendeel truss system applied on each model. Next step is to select the section of elements which satisfy the highest demand capacity ratio by structure design considering gravity load, earthquake load and wind load and then calculate natural period, base shear and story drifts. On the basis of these values, Capacity Spectrum Method(CSM) shows the plastic behavior of STF system such as performance point of Design Earthquake(DE) and Maximum Considered Earthquake(MCE), yield state, plastic hinge etc. to be compared with other truss systems. As a result, Vierendeel STF system especially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strength and stiffness to the corresponding earthquake and all the models for each truss shape fulfilled the target performance level.

      • KCI등재

        링크의 초과강도 예측에 의한 편심가새골조의 역량설계

        홍윤수,유은종,Hong, Yunsu,Yu, Eunjo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1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4 No.5

        편심가새골조(EBF)의 역량설계법에 의하면, 링크가 완전항복 및 변형경화 상태일 때 기둥, 링크외부보, 가새(비소산 부재)는 탄성거동해야 한다. 현행 AISC 341은 역량설계에 필요한 변형도경화계수(SHF)를 1.25로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로 건물이 고층 규모일수록 모든 링크가 이처럼 동등한 수준의 초과강도에 도달할 가능성은 매우 낮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링크의 SHF를 정밀하게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역량설계법의 목적을 달성하면서 구조물량을 절감하고자 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선형해석을 2회 수행하여 SHF를 예측하고, 이를 비선형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비선형 해석에 의한 응답을 분석하여 구조물의 한계상태에서 비소산 부재들의 항복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방법으로 설계된 구조물은 링크의 SHF를 정확히 예측함으로 인해 물량이 큰 폭으로 절감되었으며, 비소산 부재들도 모두 탄성상태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the capacity design of eccentrically braced frames (EBFs), non-dissipative members such as columns, link-exterior beams, and braces must remain within the elastic region when a fully-yielded and strain-hardened link transmits force to them. The current AISC 341 standard suggests a strain-hardening factor (SHF) of 1.25 for a link under capacity design, regardless of its properties. However, all the links in an EBF are not likely to yield simultaneously to the extent to which the overstrength corresponding to 1.25 times their expected strength is attained, especially for high-rise buildings. Considering this phenomenon, a technique to predict the SHF of links at the limit state of the structure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exact prediction of the links' SHF could save structural quantities dramatically while achieving the principle of capacity design.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technique, SHF values predicted by conducting linear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ose evaluated by nonlinear analysis. Furthermore, the maximum demand-to-capacity ratios of the non-dissipative members were calculated to verify whether they would remain elastic at the limit state of the structure. Consequently, EBFs designed by the proposed method showed substantially economical quantities through the exact prediction of the SHFs, and the intention of capacity design was successfully achieved.

      • 혈액투석 중 동영상을 이용한 운동요법이 혈액투석환자의 심리적 웰빙, 우울 및 혈액화학지표에 미치는 효과

        안경순(Ahn, Kyung-soon),홍윤수(Hong, Yon-Soo),조영제(Cho, Young-Je),손명희(Son, Myung-Hee),신영희(Shin, Yeong Hee)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5 계명간호과학 Vol.19 No.1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xercise guided by video taped program during hemodialysis 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blood chemicals of the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failure. Method: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31) received 15-20 minutes of low-intensity exercise guided by video during hemodialysis, 3 times a week for 8 weeks, and usual care. The control group (n=31) received usual care only. The main outcome measures include Wellbeing Picture Scale, CES-D, and blood chemical indices. Results: After an 8-week intervention,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noted in both Wellbeing Picture Scale scores (t=-2.09, p=.048) and CES-D scores (t=2.77, p=.009) and serum K level(t=-2.57, p=.016). Conclusion: A low-intensity exercise guided by video during hemodalysis is a complementary, safe, and effective clinical treatment mod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임상 연구 :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으로 인한 투석도관 제거와 관련된 위험인자

        장미현 ( Mi Hyun Jang ),황은아 ( Eun Ah Hwang ),김정은 ( Jung Eun Kim ),최고 ( Go Choi ),한승엽 ( Seung Yeup Han ),박성배 ( Sung Bae Park ),홍윤수 ( Yoon Soo Hong ),이금희 ( Keum Hee Lee ),김현철 ( Hyun Chul Kim ) 대한신장학회 201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9 No.3

        목적: 복막투석액 교환방법의 개선을 포함한 복막투석 수기의 발전으로 최근 복막염의 빈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복막염은 여전히 복막투석환자의 사망과 복막투석도관 제거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남아 있다. 저자들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에서 복막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중 복막염으로 도관을 제거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도관 제거와 관련된 위험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에서 새로 복막투석치료를 시작한 환자들 중 6개월 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8년간의 연구기간 동안 복막투석치료를 새로이 시작한 621명의 환자 중 378명 (60.9%)이 복막염을 경험하였고, 이들 환자에게서 총 917회의 복막염이 발생하였으며 80회 (8.7%)에서 복막염으로 복막투석도관을 제거하였다. 도관제거 환자군 (n=80)과 도관유지 환자군 (n=298) 사이의 연령, 남녀비, 원인 신 질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복막염 횟수는 도관 유지군에서 0.67 회/환자-연, 도관 제거군에서 1.11 회/환자-연으로 도관 제거군에서 유의하게 복막염의 빈도가 높았다 (p=0.029). 도관제거 복막염군 (n=80)은 도관유지 복막염군 (n=837)에 비해 복막염 발생시까지의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으며 (30.4±21.5개월 vs. 20.6±18.4개월, p<0.000), 복막염 발생 당시 혈청 알부민치가 유의하게 낮았고 (2.9±0.5 vs. 3.0±0.5 g/dL, p=0.009), CRP는 유의하게 높았다 (11.9±9.9 vs. 6.2±6.3 mg/dL, p<0.000). 또한 배액 내의 백혈구수가 100/mm3개 이상 지속되었던 날이 유의하게 길었다 (8.5±5.2 vs. 3.5±2.7일, p<0.000). 복막염이 발생된 원인별로는 도관제거 복막염군에서 출구감염의 동반율이 높았으며 (5.0% vs. 1.4%, p=0.043), 복강내 질환의 동반율 또한 유의하게 높았다 (6.3% vs 0.2%, p<0.000). 도관제거 복막염군에서 진균에 의한 복막염의 비율은 도관유지 복막염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26.4% vs. 0%, p<0.000), 2종류 이상의 균이 배양된 환자 비율도 유의하게 높았다 (12.6% vs 3.2%, p=0.002). 도관제거와 관련된 위험인자의 다변량 분석에서는 배액 내의 백혈구수가 100 개/mm3 이상 지속된 기간, 배양된 균수가 2개 이상일 경우가 도관제거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 결론: 복막투석환자에서 복막염이 발생할 경우 도관제거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는 배액 내의 백혈구수가 100 개/mm3 이상 지속된 기간 및 복합 균주감염일 경우가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Purpose: Peritoneal dialysis (PD) catheter removal is regarded as an important index of patient morbid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actors influencing catheter loss following peritonitis in PD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917 episodes of peritonitis in 621 new CAPD patients from Jan 2001 to Feb. 2009 in Dongsan Medical center. Episodes requiring PD catheter removal were compared by both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ith those in which PD catheters were preserved. Results: When peritonitis episodes requiring PD catheter removal (n=80) were compared to catheter preserved peritonitis episodes (n=837), the incidence of PD catheter loss increased as the duration on PD preceding the peritonitis were longer (p<0.000). Also, PD catheter removal was more likely to occur after peritonitis episodes with low serum albumin level (p=0.009) and high serum CRP level (p< 0.000), those with long duration of PD effluent leukocyte count remaining above 100/mm3 (p<0.000), those with concomitant exit site/tunnel infection (p=0.043), and those with presence of abdominal pathology (p<0.000). The microbiological determinants of PD catheter loss included two or more bacteria cultured (p=0.002) and fungi (p<0.000).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duration of PD effluent leukocyte count remaining above 100/mL and the number of organism cultured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of PD catheter removal in peritonitis episodes. Conclusion: Duration of PD effluent leukocyte count remaining above 100/mm3, and the number of organisms cultured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atheter removal following periton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