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만족도 및 평가도에 관한 연구

        최미경(Mi-Kyeong Choi),전예숙(Ye-Sook Jun),홍원주(Won-Joo Hong),김순경(Soon-Kyung Kim),김동희(Dong-Hee Kim),김애정(Ae-Jung Kim),강명화(Myung-Hwa Kang),김미현(Mi-Hy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2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에 대한 만족도와 평가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찾아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자 중 대학 2학년생이 155명(67.7%), 대학교 3학년생이 14명(6.1%), 4학년생이 60명(26.2%)이었으며, 남학생은 14명(6.1%), 여학생은 215명(93.9%)이었고, 실습기관은 학교급식소 89명(38.9%), 사업체급식소 107명(46.7%), 병원급식소 33명(14.4%)이었다. 실습기간은 1주가 16명(7.0%), 2주가 192명(83.8%), 3~4주가 21명(9.2%)으로 2주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다. 실습 만족도는 실습지원비(1.90±1.18)와 실습기관의 위치(2.93±1.29) 항목에서 낮았으며, 실습기관의 종류(3.76±0.88)와 실습기관의 실습관리자(3.63±1.05)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실습 평가도는 실습에 대한 사전 준비 및 계획(3.27±0.74)과 현장실습이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었다(3.61±1.02)는 항목에서 낮았으며, 실습과제의 수행(4.06±0.82)과 근무의 성실성(4.02±0.75)에 대한 평가도는 높았다. 실습기관의 종류와 관리 유형에 따른 현장실습 만족도에서 병원급식소가 학교급식소나 사업체 급식소에 비해 실습기관의 분위기, 실습비,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학과 교수의 지도 항목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p<0.05, p<0.05, p<0.05), 직영업체가 위탁업체보다 실습기관의 종류 등 총 7개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현장실습 평가도는 학교급식소가 병원급식소에 비해 ‘나는 실습생으로서 성실히 근무하였다’와 ‘실습에 필요한 내용을 사전에 준비하고 계획하였다’는 항목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p<0.05), 직영과 위탁의 관리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현장실습 지역과 거주지가 일치한 실습생이 일치하지 않은 실습생보다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항목의 만족도(p<0.05)와 ‘실습장소의 정리정돈과 관리에 힘썼다’, ‘조리원들과 친밀해지고 신뢰받게 되었다’는 항목의 평가도(p<0.05, p<0.01)가 유의하게 높았다. 현장실습 기관과 취업 희망기관이 일치한 실습생이 일치하지 않은 실습생보다 실습기관의 종류, 위치 등 총 8개 항목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실습 평가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현장실습 기간, 실습비, 실습 만족도와 평가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실습기간은 실습기관의 분위기,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항목의 만족도와 정의 상관관계(p<0.05, p<0.05)를 보인 반면, ‘부과된 과제를 수행하는데 최선을 다했다’는 평가도와는 부의 상관(p<0.05)을 보였다. 실습기관으로부터 받은 실습비는 실습지원비, 실습생에 대한 대우 및 처우, 학과 교수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p<0.001, p<0.05, p<0.05) 및 ‘나는 실습생으로서 성실히 근무했다’ 등 총 5개 항목의 평가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실습 만족도와 평가도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정의 상관을 보여 실습 만족도가 높을수록 평가도도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식품영양학과 현장실습생들은 실습지원비와 실습기관의 위치면에서 만족도가 낮고 현장실습업무 수행상 실습에 대한 사전 준비와 계획이 부족하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학교나 사업체 급식소, 직영업체, 실습기관이 거주지역에 있거나 취업 희망기관과 일치할 경우 실습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실습기관이 거주지역에 있거나 취업 희망기관과 일치할 경우에는 현장실습업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품영양학과의 현장실습이 매우 중요한 시점에서 이와 같은 요인들을 고려하여 현장실습의 효율을 높이고 체계화시켜 나가기 위한 학교, 실습기관, 정부 차원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satisfaction and evaluation degree of students’ spot-practice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d to investigate relating factors to them for development of spot-practice programme. The survey fo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to 229 students finished internship. Proportions of the students were 93.9% for senior, 93.9% for female. Proportions of spot-practice facilities were 38.9%, 46.7%, and 14.4% for school, business & industry, and hospital respectively. The major part of subjects (83.8%) took part in spot-practice during 2 weeks. The satisfaction scores to spot-practice were the lowest for pay, and the highest for a kind of spot-practice facilities. The evaluation scores were the lowest for ‘I made a plan and prepared my work in advanced’, and the highest for ‘I did my best for doing my work’. The satisfaction score in hospit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school or business & industry. The satisfaction score in self-operated foodservi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act managed on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aluation scores by foodsevice employment type. In the case of coincidence of area in spot-practice and residence, or facilities of spot-practice and job desired, the satisfaction and evalua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s. The period of spot-practi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scores for atmosphere of spot-practice facilities, service and treatment for spot-practice student,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valuation score for ‘I did my best for doing my work’. The spot-practice pay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and evaluation scores for various items. In conclusion, various factors are related to satisfaction and evaluation degree of spot-practice students, and consist concern and support from college & university, foodservice institution, and government for systematic spot-practice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