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보호사에 의한 노인의 신체억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송이(Song Iee Hong),박서영(Seo Young Park)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3

        2008년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된 이래로 요양보호사는 한국 노인 돌봄의 핵심 인력으로 성장해왔으나, 요양보호사에 의한 시설학대의 가파른 증가 속도는 초고령 사회의 돌봄 위기를 초래할 만큼 요양보호사의 역량과 자질이 위태롭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히 요양보호사의 직무 중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기능이 크게 저하된 노인들에게 사용되는 신체억제는 학대와의 경계가 매우 불분명하여 지속적인 인권침해 논란이 되어왔다. 이에 본 논문은 2017년 3,000여개의 재가노인복지시설 및 재가장기요양기관으로부터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여 3,859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억제 행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억제 인식, 신체억제 목격경험, 노인인권 침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요양보호사의 10.7%가 노인 대상자에게 신체억제를 수행한 적이 있었으며, 둘째, 요양보호사들이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행위의 빈도, 그들이 다른 요양보호사에 의해서 행해지는 신체억제행위의 목격빈도, 그리고 직접적으로 그들이 수행하는 신체억제 행위 사이에 개연성이 있었다. 셋째, 신체억제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을수록 신체억제 행동이 줄어들었고, 넷째, 다른 요양보호사들의 신체억제 행위를 목격한 경험이 있는 요양보호사가 신체억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노인의 성격 때문에 인권침해가 발생한다고 응답한 요양보호사들이 신체억제 경험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요양보호사의 신체억제 인식 및 인권의식이 낮거나 낮을 경향이 높은 요양원 환경에서 신체억제가 더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신체억제를 근절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서 요양보호사 개인 수준의 인식 개선에서 나아가 조직문화, 다시 말해 돌봄이라는 것이 인권에 기반한 케어문화 속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of 2008, licensed caregivers for older adult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in Korea. In contrast to such trends, their care capacity has been socially concerned about violation against human rights such as elder abuse including physical restraints. The distinction between physical restraints and physical abuse is ambiguous at care settings which has brought in hot debate on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caregivers’awareness of physical restraints and reasons of elder abuse and their witness of physical restraints are associated with their physical restraints on older adults. We used the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3,859 licensed caregivers working at about 3,000 day care centers across the nation in 2017. First, we found that 10.7% of caregivers performed restrictive interventions. Second, the awareness of physical restraints, witness of others’physical restraints, and their own physical restraints are related to each other. Lastly, logistic regressions confirmed that caregivers’poor awareness of physical restraints, more witness of physical restraints by other caregivers, and higher perception of victim’s personality problems mainly causing elder abuse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ir use of physical restrai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re environment insensitive to human rights might lead to elder abuse by over-utilizing physical restraints. Also, it is fundamental to develop professional care culture of licensed caregivers towards person-centered care.

      • KCI등재

        노인인권의식 척도 타당도 연구

        홍송이(Hong Song Iee),심혜인(Sim Hye In)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실시된 「노인인권실태조사」연구에서 사용한 노인인권의식 척도의 타당도를 검사함으로써, 이 척도가 노인복지서비스 내 노인인권의식에 대한 차별적 진단 도구로써 사용 가능한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주간·야간 재가서비스, 2018년 노인여가복지서비스(노인복지관 및 노인 일자리 지원기관), 2019년 방문요양·목욕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이용자, 시설장, 시설직원 및 요양보호사를 포함한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이차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3개년 동안 ‘자유권, 평등권, 사회권, 학대받지 않을 권리, 권리옹호’ 총 5개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조사한 19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결측치를 제외한 연구참여자, 21,469명을 대상으로 SPSS와 Mplu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확인적요인분석 모델 적합도 뿐만 아니라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도 적합한 수준으로 검증되었으며, Amo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동일성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권, 사회권, 평등권, 차별받지 않을 권리, 권리옹호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총 19개 노인인권척도가 취약한 노인을 포함한 인권침해가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 내 종사자들의 인권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사정도구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대규모 분석대상을 포괄함으로써 보다 보편적인 타당성이 담보되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검증한 것으로, 노인인권침해에 대한 제도적 현장 기제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진단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human right scale for older person could be used as a screening tool for the diagnosis of awareness on human rights among social welfare agency staffs and their service users. The human right scale consists of five domains with total 19 items: freedom, equality, social rights, rights not to be abused, and rights for advocacy. From 2017 to 2019.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ifferent social welfare agencies and then a total 21,469 data were analyzed except missingnes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via Mplus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ndardized return coefficient was above the reference value as suitable, and the concentration feasibility was secured through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 value. The whole results confirmed the verification level of measurement scale. These results suggest more active utilization of the human right scale for elder protection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against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 KCI등재

        Aging-in-Place를 위한 노인복지정책의 비판적 이해: 싱가포르 사례연구

        홍송이 ( Hong Song-iee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1

        본 연구는 최근 노인복지정책에서 핵심 목표가 되고 있는 Aging-in-Place(AIP)의 관점에서 싱가포르 정부가 발표한 노인복지정책 개혁안 중 AIP를 정책 목표로 언급하고 있는 노인복지 정책 및 프로그램들을 소개하고, 그 구체적인 실행방안들의 핵심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AIP 정책들이 노후의 주거 정주성을 지원하기 위한 3개 영역(물리적 내부성, 사회적 내부성, 자서전적 내부성)과 생활수행 독립성을 지원하고 있는지에 관한 4가지 영역에 집중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정책대상은 주택 현금화 정책, 고령친화 환경 조성 정책, 지역사회 서비스 정책, 그리고 노후활동 지원 정책이다. 이 정책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책 자료집, 연구 보고서, 학술논문 등의 문헌자료와 정책결정자 인터뷰 보도 자료, 신문, 총리 독립기념일 연설문 등이 중요한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싱가포르의 AIP를 위한 핵심 노인복지 정책 및 프로그램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을 포함한 유사한 고령 사회문제를 겪고 있는 아시아 고령국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view of aging-in-place(AIP), this study introduced and critically reviewed the current aging policies and programs in Singapore. The target policies consisted of four domains: housing monetizing options, elder friendly environment policy, active aging programs, and community care services. In terms of how the AIP policies and programs support older adults` long-term stability of residence and independent function of daily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relevant government documents and reports, web sites, journal articles, policy makers` interview reports, newspapers, and Prime Minister`s national rally speeches. The analytical information suggests future directions on welfare expansion beyond residualizm, transfer from social investment-oriented approaches, infrastructure of 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s, integrated service networks and delivery systems, balance between direct support for older adults and indirect support through their families, multi-ethnic cultural sensitivity, and special AIP programs tailored for vulnerable targets uncaptured by the current welfare system. The findings could offer useful tips on aging-in-place for better designing aging policies and programs to other aging countries in Asia.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노인인권 인식에 관한 탐색적 고찰

        심혜인(Hye-In, Sim),홍송이(Song-Iee, Hong) 한국경호경비학회 2020 시큐리티연구 Vol.- No.65

        노인 돌봄 서비스에서의 인권 문제는 주로 시설을 중심으로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노인 인구와 노인재가서비스 이용의 증가하는 추세와, 건강한 노인의 증가와 주체적인 삶을 강조하는 문화의 확산, 이에 따른 커뮤니티 케어의 중요성 강조 등의 변화로 인해 향후 재가 서비스 규모가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재가서비스에서의 노인인권에 대한 논의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설보다 재가서비스의 경우에는 노인 인권침해 및 학대 발생예방을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종사자의 노인인권 피해 또는 학대를 목격했을 때의 대응태도에 영향요인을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이 연구는 재가서비스 종사자의 노인인권 인식을 잠재프로파일(LPA)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노인 인권 피해 또는 학대 신고 태도에 미치는지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보건복지부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이 2017년에 조사한 주간·야간, 단기보호 서비스 시설장과 시설직원을 조사한 11,527개의 자료와 2019년에 조사한 방문요양, 방문목욕 서비스 시설장과 시설직원을 조사한 1,428개의 자료를 SPSS 25.0ver.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권인식의 집단을 구분하기 위하여 Mplus 7.0ver.을 활용하여 집단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재가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인 인권침해 및 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Human right issue in elderly care service has been discussed by mainly focusing on the facilitie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of in-home service will be continuously expanded in the future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use of in-home service, the increase of healthy elderly people, the spread of the culture that emphasizes independent life, and the emphasis on the important of community car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discussion on elderly human right in the in-home service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case of in-home service, not facilities, is necessary to make effort to prevent elderly human right violation and abuse. Therefore, this study requires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sponse attitude when witnessing any harms or abuse of elderly human rights by the employees. Additionally, the study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elderly human right recognition of in-home service employees on the attitude of reporting any harms or abuse of elderly people by dividing groups based on latent profile analysis (LPA). 11,527 data surveyed with the director and employees of day( night and short-term protection service facilities conducted in 2017 and 1,428 data surveyed with the director and employees of visiting nursing and visiting bathing service facilities conducted in 2019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Central Elder Protection Agency were us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25.0ver. In addition, Mplus 7.0ver. was used and group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groups of human rights recognition. The study tried to prepare policy-level suggestions to prevent elderly human rights violation and abuse that can be occurred in in-home service facilities based on these empirical studies.

      • KCI등재

        현장의 시각으로부터 구조화된 자활 개념 탐색 연구 : 자활사업 실무자의 이해를 중심으로

        최상미 ( Sangmi Choi ),홍송이 ( Song-iee Ho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3

        자활은 지난 이십년간 우리나라의 대표적 근로연계복지제도로 존재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에 대한 합의 없이 정책, 학계, 현장에서 제각기 이해되고 사용되어 왔다. 이는 최근 자활사업의 다양한 환경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서 자활의 정체성 위기를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활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현장 실무자들의 자활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반영하여 자활 개념 정립을 시도한다. 총 35명의 자활사업 실무자들에 대한 6번의 집단심층인터뷰를 통해 자활 개념에 대한 심층적인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자활사업 실무자들은 ‘취창업을 통한 노동 시장에의 편입’, ‘소득창출을 통한 수급 탈피’와 같은 정책 목적과 성과에 부응하기 위해 ‘경제적 측면의 성과’에 초점을 두고 정책지향적으로 자활을 이해하는 동시에 실천가의 관점을 반영하여 ‘이용자의 역량강화와 삶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자활을 이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자활실무자들이 근로기회 제공과 경제적 자립을 위한 과정으로서 경제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있는 동시에 정서적 역량강화와 동기부여, 근로장벽 극복과 같은 정서적 측면, 사회적 관계 형성과 회복을 통한 사회통합과 같은 사회적 측면, 그리고 삶의 회복과 주체적 삶을 위한 통합적 지원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자활에 대한 상반된 이해는 실천가들이 사회복지라는 직업적 미션과 성과지향적인 조직의 운영 사이에서 이용자의 역량강화 과정에 초점을 둘지, 아니면 단기적으로 성과평가를 위하여 취창업률과 탈수급률이라는 가시적 실적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등 현장의 혼란과 왜곡된 자활 운영을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결과이자 과정이며, 경제적, 정서적, 사회적, 일상생활 측면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자활을 이해할 필요성과 함께 이러한 자활의 특성을 반영한 실천 현장의 재설계의 필요성과 함의를 제안한다. A self-sufficiency service has worked as a typical workfare policy combined with public assistance in Korea since 2000. Despite of its long history, three core pillars in administrating the self-sufficiency service, policy, research, and practice, have respectively understood the meaning of self-sufficiency in terms of their own interests. As a result, the self-sufficiency service has recently faced with its own identity issues by showing failures to its environmental changes. The current situation makes it necessary to reconceptualize the definition of self-sufficiency by exploring its in-depth understanding perceived by service providers. Specifically, we analyzed practical reflections on 35 service providers’ experiences which were collected via focus group interviews for two hours. The study findings presented that service providers had two antithetical approaches towards self-sufficiency. While a dominant approach to self-sufficiency has been concentrated on improving clients’ economic outcomes such as employment, job retention, the escape from welfare trap, and increasing earnings and assets, the other approach has been extended to empower clients and achieve their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Yet, these contrary perspectives have led to suffer from their role confusions and identity crisis between the work-ready process and the employment-oriented outcomes. Specifically, they described self-sufficiency in terms of psychological, social, and integrated aspects. The psychological aspect included a process of developing inner strengths, intensifying job motivation, and coping with barriers of employment. The social aspect meant a path toward social integration through recovering human relationships. The integrated aspect covered more comprehensive support for their recovery of daily life and autonomy to make a decision for their own life. In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self-sufficiency should be more extensively considered as a stepwise process towards work-ready preparations beyond ultimate economic outcomes. Such an extended concept of self-sufficiency could contribute to restructuring the whole practice of self-sufficiency including organizational and program changes in the fields.

      • KCI등재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종사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자영 ( Kim Ja-young ),홍송이 ( Hong Song-iee ),한창근 ( Han Chang-keu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3

        본 연구는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종사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 정신보건센터협회에서 실시한 전국 정신건강증진센터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클라이언트 폭력경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1,429명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중 67.2%(961명)가 클라이언트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경험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클라이언트로부터 경험한 폭력경험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직무스트레스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종사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게 안전한 근무환경에 제공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이들의 이직의도를 완화시키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 내용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turnover intentions is mediated by job stress among communit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Data of a sample of 1,429 drawn from a study of nation-wide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s in 2013 was analyzed in order to verify both the direct and mediating effects between client violence, turnover intentions, and job stress. The study found that 67.2%(n=961) of the sample experienced client violences in the workplace. Furthermore, the experience of client violences had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and job stress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reduce the extent of job stres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nd to provide a safer work environment.

      • KCI등재

        은퇴 베이비부머의 소비패턴과 우울에 관한 연구

        박서영(Park, Seo-Young),홍송이(Hong, Song-Iee)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은퇴 베이비부머의 소비패턴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소비패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5차 자료를 활용하여 은퇴 베이비부머 420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은퇴 베이비부머의 소비패턴을 분석한 결과, 기초 생활중심형(26.9%), 균형소비생활형(29.3%), 사회생활중심형(18.3%), 여가생활중심형(18.5%), 교육비중심형 (7.0%)의 5가지 유형이 실증적으로 구조화되었다. 그리고 우울과 관련된 인구사회적 요인, 건강상태, 가족관계, 사회관계, 경제상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소비패턴과 우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소비패턴과 우울 사이의 유의 미한 상관관계가 증명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육비중심형 소비패턴보다 기초생활중심형 소비패턴의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없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신체기능에 제한이 있는 경우, 장애진단을 받은 경우,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여가활동에 만족하지 않을수록, 주관적 경제상 태가 부정적일수록 우울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베이비부머를 표적집단으로 한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 기획 실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은퇴 후 바람직한 소비패턴을 유지할 수 있는 은퇴 전 소비교 육의 필요성 및 사례관리 현장에서의 노후 소비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structure the patterns of baby boomer retirees’consumption and their effects on depression in later life. Using the 5th wave of Korea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in 2013, of baby boomers born in 1955 to 1963, we analyzed those who were completely retired(n=420). The Latent Profile Analysis(LPA) classified the empirical patterns of consumption and t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zed the effect of consumption patterns on depression among these baby boomer retirees. The LPA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mption patterns consist of five groups: (1) Basic life-oriented class(26.9%), (2) Balanced consumption class(29.3%), (3) Social life-oriented class(18.3%), (4) Leisure-oriented class(18.5%), and (5) Education-oriented class(7.0%). Baby boomer retirees’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their consumption patterns. Specifically, the basic life-oriented class showed significantly lower depression than the education-oriented class. Other correlates such as higher education, having no spouse, lower subjective health, greater limitations in physical functions, having a diagnosed disability, having fewer children, higher dis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and lower self-perceived economic statu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gerontological policy and practice for baby boomer retirees in Korea. In light of vulnerable retirement preparation, social services specialized for baby boomers should consider financial education for revamping consumption scale beyond asset management and long-term case management of pre and post retirement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