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재개발 지역 중·고령 이주민의 사회적 네트워크 해체와 평생교육요구

        현영섭(Hyun Young Sup) 한국평생교육학회 2012 평생교육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재개발 지역에서 타지역으로 이주한 주민의 사회적 네트워크 해체를 분석하고 사회적 네트워크 해체 과정에서 나타나는 평생교육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D도시의 재개발 지역에서 타지역으로 이주한 주민 2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조사와 질적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재개발 과정에서 타지역으로 이주하게 된 중·고령 성인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해체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구나 가까운 이웃과의 네트워크가 줄어들게 되었다. 이는 기존의 빈곤층과는 달리 빈곤에 대처하는 집단적 방법을 확보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대처하게 되는 신빈곤층의 특성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신빈곤층으로서 재개발 지역 주민은 집단적 대처 방법 중에 하나인 사회적 네트워크의 대부분이 이주를 통하여 와해되고 다시 회복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재개발 지역 이주민의 사회적 네트워크의 해체와 관련하여 평생교육 요구가 존재하였다. 이는 평생교육에 참여하겠다는 기본적인 요구와 함께 사회적 활동 또는 사회적 참여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를 맺기 위한 요구와 취업과 같은 일자리와 관련된 교육 요구가 존재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solution of social networks of the middle and old aged and poor emigrants from a redevelopment area and their needs for lifelong learning. Data collected from 20 emigrants at D city in Republic of Korea through networks survey and interview. Quantitative data through survey were analyzed by SPSS 12.0 for Win and Net-Miner 4.0. Qualitative data through interview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showing the needs for lifelong learning. The analyses of data showed that followings: 1) the middle and old aged emigrant from a urban redevelopment area experienced the dissolution of social networks. Especially the frequencies of the network with friends and neighbors were decreased. This dissolution of social networks may be understanded in the respect of loosing the ways to respond to the poverty situation. 2) there were the needs for lifelong learning of them. The needs were related with meeting others, finding some opportunities to work, and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Need for more studies about the new poor focused on social networks, development of programs having the more clear objective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new poor, positive studie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networks and the need for lifelong learning and so on.

      • KCI등재

        평생교육기관 경험과 참여지속의 관계에서 장소애착의 매개경로 탐색

        현영섭(Hyun, Young-Sup)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1

        평생교육기관은 평생학습의 장소로서 성인학습자에게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성인학습자는 평생교육기관에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고 자아정체성의 일부로 평생교육기관을 받아들이기도 한다. 이와 관련된 변수를 장소애착이라고 한다. 그러나 평생교육 분야에서 장소애착에 대한 연구를 발견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기관 경험을 학문적 경험, 사회적 경험, 공동체 경험으로 구체화하고, 평생교육기관 경험이 성인학습자의 참여지속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장소애착을 통하여 간접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포함하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개 평생교육기관의 강좌를 수강하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429개 설문지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소애착은 학문적 경험과 사회적 경험의 영향을 참여지속에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소애착은 자체로 참여지속에도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동체 경험의 경우, 장소애착을 통한 매개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이런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rganizations in lifelong learning and education supply adult learners with educational experiences(academic, social and community experiencee). These experiences can change learners' career, social relationships and so on. Because of these experiences and changes, adult learners are likely to accept the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as important and meaningful place in their life. Place attachment can be a variable that explain adult learners' familiarity with the organizations of lifelong education. And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place attachment could connect the special experiences in a specific place with the positive or negative evaluation of a place, revisiting to a place, participation on the programs at a place an so on.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about place attachment in the area of lifelong education.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s of place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long educational experiences and learners' persistence. For this purpose, researcher tested the SEM model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429 adult learners. SPSS 12.0 English version and AMOS 4.0 program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place attachment played a role as a mediated variable in 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ersistence. Also place attachment directly made an effect on adult learner's persistence. But community experience among lifelong educational experiences didn't make an effect on place attachment.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역량 분석

        현영섭 ( Hyun Young Sup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평생학습이 확산되면서 소규모 행정단위에서의 평생학습도 확대되고 있다. 이에 평생교육 전문가 확보를 위하여 평생학습 주민활동가 양성과정도 늘어났다. 그러나 주민활동가를 위한 양성교육은 개괄적이고 추상적인 과정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주민활동가의 역량 등 주민활동가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역량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4명의 평생학습 주민활동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역량 표현을 추출하고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역량 표현이 중심부와 주변부로 구분되었다. 중심부에는 2개의 역량군이 위치하였고, 주변부에는 8개의 역량군이 위치하였다. 둘째, 중심부에는 `지역과 학습자 대변인`, `대화와 발품`의 역량군이 있었다. 이 역량군은 주민활동가의 핵심적 역량요소로 고려될 수 있다. 셋째, 주변부에 위치하는 8개의 역량군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중심부의 역량과 밀접한 연결망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주변부의 역량 역시 주민활동가의 역량 요소로 고려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As lifelong learning spreads, lifelong learning also has been diffused at small scale local governments. And many local governments in Korea provided programs for citizen activists for lifelong learning. However, some researchers criticized the program for its abstractness and unreality. Based on these criticism,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competencies for their activitie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4 activists. Content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y indicator consisted of 2 parts, that is, the core and periphery. Second, the core contained `a spokesperson for region and learners` and `communication and legwork`. Third, the periphery contained of 8 groups of competencies. The 8 groups were `learning as lifelong education`, `residents-centered`, `use of regional resources`, `people first`, `recognition of diversity`, `dreaming and enjoying`, `local government`, and `cooperative associ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rpret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의 양성/자격/배치 방안에 대한 요구분석

        현영섭(Hyun, Young Sup),양세희(Yang, Se-Hee),배홍연(Bae, Hong-Ye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7 평생교육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 양성/자격/배치에 대한 평생교육 전문가의 요구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 양성, 자격, 배치에 대한 주요 사항을 설문지로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척도는 현재 상황 적합도와 향후 중요 도에 대한 Likert 5점으로 구성되었다. 평생교육 전문가 152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 다. 설문자료는 요구분석 절차에 따라 t 검정,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 LFF 방법으로 분석되었 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영역에서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실습, 평생교육방법, 평생 교육실천론에 대한 요구가 강하였다. 그리고 직무연수는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2-3년 주기의 의무교육으로 운영하는 방안의 요구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자격에서는 세 수준의 급수로 운영, 1급의 전문영역 운영, 국가평생교육진흥원과 광역시·도 평생교육진흥원에서 자격 운영 등의 요구가 강하였다. 마지막으로 배치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요구가 존재하는 항목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기존의 평생교육기관에 장애인 평생교육 전문가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 다는 점은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and workers’ needs for training/qualification/placement of experts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survey consisted with 41 items abo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training, qualification, and placement for the experts.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five Likert-type scales. Data were collected from 152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s and workers. Three methods (paired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formula, and Locus for Focus model: LFF model) were used for analyses of the data. Through these analy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items about training and curriculum, practicum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teaching methods for lifelong education, and practical field on lifelong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needs. Second, in the items about qualification, three-level system, professional sector for qualification, and National and cities & provinces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managing the qualification also showed the highest level of needs. Third, in the items about placement, there were no items showing the highest level. On the bases of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평생교육사의 배치기준 설정을 위한 적정인력 산정요인 및 산정기준 분석

        현영섭(Young-Sup Hy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3

        평생교육 전문가인 평생교육사 배치는 평생교육프로그램과 서비스의 질과 관련된다. 한국은 평생교육사를 기관에 1명 이상 배치하는 법적 배치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준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계속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사 배치 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평생교육사 산정기준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타당한 산정기준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2016년 평생교육통계」자료를 활용하여 평생교육사 적정인력 산정요인, 산정모형, 산정기준 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 적정인력 산정요인으로 학습자수, 프로그램수, 직원수가 포함되었다. 둘째, 평생교육사 배치규모 확대 및 평생교육기관간 추가 배치 편차 최소화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적절한 산정요인으로 학습자수가 선택되었다. 그리고 산정기준으로는 학습자수 500명마다 평생교육사 1명 이상 배치가 선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is related to the allocation of a lifelong educator.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Act requires all relevant institutions to have one or more lifelong educators in their centers. However,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insisted that this particular part of the law is not sufficient and adequate to real-life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timal staffing factors and standards for a lifelong educator. This study used the 2016 Stat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which wa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frequency analys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ptimal staffing factors for lifelong educators were the number of learners, programs, and employee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Second, the most optimal staffing factor was the number of learners. Third, the most optimal staffing standard was ‘over 1 lifelong educator per 500 learner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 자기주도학습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메타 연구

        현영섭(Hyun, Young-Sup)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1

        자기주도학습은 평생교육 분야의 오랜 연구 주제였다. 1970년대에 Guglielmino에 의해 자기주도학습 측정도구가 개발되었고 양적 연구 적용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Guglielmino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논란이 진행되었다. 한국에서도 자기주도학습 측정도구의 신뢰도나 타당도에 대한 논의나 개별 연구들에서 이를 검증하는 과정이 강조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수집ㆍ분석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의 동향과 관련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6개 학술DB에서 논문검색을 실시하여 2008년 이후 60편의 논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최근 자기주도학습 측정도구를 사용하는 논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공계열, 평생교육, 일반교육학, 경영학 등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게재되고 있었다. 그리고 주로 사용되는 도구는 Guglielmino 도구나 이를 수정ㆍ보완한 도구들이었다. 신뢰도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최근에 와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측정문항수에 의하여 신뢰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의 경우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지 않거나 실시하여도 분석결과를 정확하게 제시하지 않는 논문이 다수 존재하였다. 그리고 타당도 분석결과에서 다수의 문항이 탈락되거나 추출된 요인이 당초의 도구와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any researchers not only in the ares of lifelong education but also other fields were interested in Self-directed Learning(SDL) and tried to develop scales for SDL and applied to their quantitative studies. Especially, at 1977, Guglielmino develope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DLRS) and many researchers applied the scale to their studies. But the discussions abou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DLRS spread out and nowadays still continued. In Korea, some researchers had used SDLRS for their studies but they didn't rigorously test or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DL instruments used in Korean articles. This study searched 887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2008 and 2013 from 6 academic DBs and finally examined 60 articles. according to 20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were chosen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on meta studi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findings were as in the followings: First, the mean of Cronbach's α coefficients of 60 articles was .8605. And the number of items had a positive relations with Cronbach's α coefficients. Second, majority of among 60 articles didn't test the validity of SDL scale or didn't reported the results. Also in some articles 3~35 items of SDL scale were exclud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validity.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conclusion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학술지 논문의 평생교육참여와 독립변수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공통방법변량편의 수준 분석

        현영섭(Hyun, Young-Sup),신은경(Shin, Eun-Ky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1

        평생교육참여는 평생교육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였다. 특히 최근에 와서 평생교육참여에 대한 국내 양적 연구는 꾸준하게 증가하였고, 국가 수준에서의 양적 자료 축적과 활용도 활발해졌다. 하지만 평생교육참여에 대한 양적연구의 증가에 따라 측정의 다양성, 동일측정방법의 적용 등 공통방법변량편의 발생의 원인 역시 함께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목적을 국내 평생교육참여 연구의 공통방법변량편의 수준을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평생교육참여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85편을 수집하고 812개의 상관계수를 확보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공통방법변량편의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표시변수방법(MVT)과 방법쌍비교법(MMP)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MVT 분석결과에 따르면, 평생교육참여 연구에서 심각한 수준 아니지만, 예의주시해야 할 수준의 공통방법변량편의가 발생하였다. 둘째, 독립변수 범주 간의 MVT 분석결과를 비교하면, 교육프로그램 특성의 공통방법변량편의의 수준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MP 분석결과, 측정방법에 따라서 공통방법변량편의 수준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대한 결론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as a core issue and consciously had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Especially, quantitative studies had increased in Korea and the nationwide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of the quantitative date about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were very active. But as the studies increase, the causes of Common Method Variance Boas (CMVB) in the studies also increased.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evel of CMVB in the studies related with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or this purpose, 85 articles and 812 correlational coefficients were collected. And MVT and MMP were used to perform the analyses of CMVB. The results were like this: first, MVT results showed that the CMVB was of considerable level, which could generate overestimation in correlational coefficients. Second, comparing the MVT result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level of CMVB i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 was higher than other categories. Third, according to MMP results, the differences between measurement types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supported the CMVB caused by measurement types. Based on these results, conclusions and limits were suggested.

      • KCI등재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활동 요구분석

        현영섭(Hyun Young Sup)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활동 요구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차 개방형 설문으로 현재 하고 있는 활동과 앞으로 하고 싶은 활동에 대한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2차 설문을 이론적 배경과 1차 설문을 토대로 58개 활동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2차 설문은 현재 활동 수준과 향후 원하는 활동 수준을 Likert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1차 설문에는 31명, 2차 설문에는 15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1차 설문자료는 질적 자료이기 때문에 내용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2차 설문 자료는 종속 2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LFF 모델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민활동가는 프로그램 계획 개발 운영 영역에 대한 활동 요구가 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역사회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특화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등의 활동이었다. 그리고 다른 영역에서 요구 수준이 강한 활동은 학습상담,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지원, 지자체 평생교육기관 운영 모니터링, 지자체 평생교육사업 모니터링 등 이었다. 요구가 높은 주민활동가 활동 항목은 1차 설문과 2차 설문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needs for their activitie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lifelong learning activists at 2 times. At first tim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31 activists by a open questionnaire. And at second,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activists by a questionnaire with 5 Likert scale style. Second survey was constituted by 58 items which were chosen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qualitative data analyses. And about each item activis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 'The level of acting or participating at the activities at now' and 'The level of wanting to participate at the activities for the future'. Content analysis was used for qualitative data. And 3 methods(paired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formula, and Locus for Focus model: LFF model) were used for analysis of quantitative data. Through these analyses, the findings were as in the followings: First, program planning and development for solving regional problems showed highest level of needs by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Second, just simple activities such as, cleaning for class, management of learner, casting instructors, and so on showed lowest level of needs. Third, counseling for learners, supporting the coordinator incubating program, monitoring lifelong learning program and institutes also showed highest level of needs. On the bases of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팀원 간 신뢰와 혁신을 위한 지원이 창의적 성격과 원전이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현영섭 ( Young Sup Hyu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1 HRD연구 Vol.13 No.1

        최근 기업은 창의적 직무수행과 팀제 운영을 중심으로 조직운영방식을 전환하고 있다. 이는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상황특성이 변화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HRD영역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운영방식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창의적 성격, 팀원 간 신뢰, 혁신을 위한 지원, 원전이에 초점을 두고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원전이의 경우에는 학습한 내용을 보다 다양한 직무와 상황에서 변형하여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하여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성격과 원전이 간의 관계에 팀원 간 신뢰 및 혁신을 위한 지원의 상호작용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케팅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국내 IT기업의 조직원 152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계수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한 상호작용분석, 관계유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의적 성격이 원전이에 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팀원 간 신뢰가 높을수록 이 두 변수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나서 팀원 간 신뢰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분석되었다. 반면에 혁신을 위한 지원의 경우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원전이와 같이 학습된 지식을 창의적으로 변형하여 활용하는 수준이 개인의 창의적 성격 및 팀원 간의 신뢰수준에 의하여 영향받을 수 있다는 점을 시시하였다. Recently, many companies transformed their managerial rules from hierarchical to creative and team-based. These changes has made some influences on the academic and practical field of HRD. Especially learning transfer can be an main point influenced by those changes because organizational situations have been the main factors determining learning transf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ve effects of team trust and supports for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far transfer. Data were collected from 152 members of a Korean IT company. To address the purpos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process for analyzing the interactive effects: interactive effects analyse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pattern analyses suggested by Cohen & Cohen(1983) and Aiken & West(1991). The findings were as followings: (1) Creative personalty had the positive effect on far transfer. (2) Team trust had the interac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far transfer. (3) Supports for innovation didn`t had the interac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far transfer. Finall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