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이 사춘기 전 소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현상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편도아데노이드 비대에 의한 수면장애는 소아에서 성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성장의 변화를 수술 전의 환아의 성장지표 및 수술 후 시간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성장변화를 기술한 연구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환아의 수술 전 성장지표 및 수술 후의 기간에 따른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1998년부터 2007년까지 코골이 및 수면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여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을 받고 2차 성장 이전까지 신장과 몸무게에 대한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1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를 2007년에 발표된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표준편차를 점수로 표현한 Z-score로 변환하였다. 수술 전의 신장 및 체중, 체질량지수를 <25th percentile, 25~75th percentile, >75th percentile의 3군으로 나누고, 수술 후 추적관찰 기간에 따른 Z-score의 변화와 각 지수에서 그룹간의 차이를 선형혼합모델 (Linear mixed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전체 환자에 대한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룹 간의 비교에서 신장의 경우 <25th percentile 그룹은 Z-score가 1년에 0.155씩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p=0.009). 체중의 경우 25~75th percentile 그룹은Z-score가 1년에 0.119씩 증가하고 (p=0.010), >75th percentile 그룹에서는Z-score가 1년에 0.096씩 감소하였다 (p=0.039). 체질량지수의 경우는 전체적으로 기울기에 큰 변화가 없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각 군간 비교에서도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수면장애가 있는 환아에게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하면 신장이 <25th percentile 그룹의 Z-score가 증가한다. 또한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체중이 25~75th percentile 그룹의 Z-score는 증가하고, 체중>75th percentile 그룹의 Z-score는 감소한다. 특별히 키가 작은 아이나 성장장애가 있는 환아를 진료함에 있어서 편도아데노이드 비대로 인한 수면장애는 치료할 수 있는 질환으로 꼭 감별할 필요가 있다.

      • 아동간호단위와 성인간호단위의 간호사-간호사 및 간호사-의사 협력 비교

        현상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Nurse-Nurse Collaboration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in Pediatric Nursing Unit and Adult Nursing Unit. Concurrentl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fluencing factors—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and collaboration to promote collaborative practice. The current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ith participants of 124 pediatric unit nurses and 126 adult unit nurses who are working in a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1, 2022 to March 2, 2022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es’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Nurse-Nurse Collaboration,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tal mean scores of Nurse-Nurse Collaboration between Pediatric nursing unit and Adult nursing uni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subscale Coordination showed a statistically different mean score of 3.08 (standard deviation [SD] = 0.39) in Pediatric nursing unit and 2.86 (SD = 0.46), respectively. 2) Total mean scores of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in Pediatric nursing unit and Adult nursing unit were 3.46 (SD = 0.56) and 3.23 (SD = 0.71), respectively.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 = 3.095, p = .002). 3) In Nurse-Nurse Collabor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ediatric nursing un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job satisfaction (r = .297, p = .001) and subjective workload (r = .206, p = .022). Adult nursing un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gender (t = -2.127, p = .033), job satisfaction (r = .444, p<.001), and subjective workload (r = -.176, p = .049). 4) In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ediatric nursing un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type of nursing unit (F = 4.556, p = .012) and job satisfaction (r = .295, p = .001). Adult nursing un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otal career month (F = 3.877, p = .011) and job satisfaction (r = .373, p<.001). 5) In pediatric nursing unit, Nurse-Nurse Collabor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r = .341, p <.001) and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r = .271, p = .002). In adult nursing unit, Nurse-Nurse Collabor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r = .511, p<.001), and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r = .405, p<.001). 6) In pediatric nursing unit,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r = .190, p = .034). In adult nursing unit, Nurse-Nurse Collabor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r = .495, p<.001) and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r = .418, p<.001). 7) Factors that affect Nurse-Nurse Collaboration were confirmed job satisfaction (β= .271, p<.001), communication competence (β= .342, p<.001), and authentic leadership (β= .171, p=.003)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ing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1.1%. Pediatric nursing unit was not 8) Factors that affect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were confirmed unit type ICU (β= .162, p=.005), job satisfaction (β =.241, p<.001), communication competence (β= .265, p<.001), and authentic leadership (β= .180, p=.003)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ing 1, the explanatory power 25.5%. Pediatric nursing unit (β=.140, p=.011) was a factor increasing the explanatory power 1.9% additionally in modeling 2. In conclusion, the examination of Nurse-Nurse Collaboration an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in Pediatric and Adult uni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dditionally,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were verified partially as influencing factors of Collaboration. Based on this study, strategic plans can be set to promote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among healthcare worker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간호단위와 성인간호단위의 간호사-간호사 및 간호사-의사 협력 정도의 차이와 관련요인으로써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사가 인식한 간호관리자의 진성리더십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협력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의료인 간의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아동간호단위와 성인간호단위의 차별화된 방안 모색의 근거를 마련하고, 의료인 협력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S대학교병원에서 직접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 중 편의표출 된 아동간호단위 간호사 124명, 성인간호단위 간호사 126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비교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1월 11일부터 2022년 3월 2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구조화된 설문지 105문항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사가 인식한 수간호사의 진성리더십 정도, 간호사-간호사 협력, 간호사-의사 협력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χ2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간호단위와 성인간호단위의 간호사-간호사 협력의 결과는 총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부영역 ‘조정’에서 각각 3.08(±0.39)점, 2.86(±0.46)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576, p=.011). 2) 아동간호단위와 성인간호단위의 간호사-의사 협력은 하부영역을 포함한 총점에서 각각 3.49(±0.56)점, 3.23(±0.71)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095, p=.002).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간호사 협력의 차이는 아동간호단위의 경우 직무만족도(r=.297, p=.001), 주관적 업무량(r=.206, p=.022)과 관계가 있었고, 성인간호단위의 경우 성별(t=-2.127, p=.033), 직무만족도(r=.444, p<.001), 주관적 업무량(r=-.176, p=.049)과 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사 협력의 차이는 아동간호단위의 경우 근무부서(F=4.556, p=.012), 직무만족도(r=.295, p=.001)와 관계가 있었고, 성인간호단위의 경우 총 근무경력(F=3.877, p=.011), 직무만족도(r=.373, p=.001)와 관계가 있었다. 5) 간호사-간호사 협력은 아동간호단위에서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r=.341, p<.001), 간호사가 인식한 수간호사의 진성리더십(r=.271, p=.002)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성인간호단위에서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r=.511, p<.001), 간호사가 인식한 수간호사의 진성리더십(r=.40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간호사-의사 협력은 아동간호단위에서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r=.190, p=.034)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성인간호단위에서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r=.495, p<.001), 간호사가 인식한 수간호사의 진성리더십(r=.418,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7) 간호사-간호사 협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모델 1 중 근무만족도(β= .271, p<.001), 의사소통 능력(β= .342, p<.001), 진성리더십(β= .171, p=.003)으로 설명력 31.1%로 나타났으며, 모델 2에 투입한 아동간호단위는 영향요인이 아니었다(β=-.038, p=.478). 8) 간호사-의사 협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모델 1 중 근무부서 중환자실(β= .162, p=.005), 근무만족도(β =.241, p<.001), 의사소통 능력(β= .265, p<.001), 진성리더십(β= .180, p=.003)으로 설명력 25.5%로 나타났으며, 모델 2에 투입한 아동간호단위는 추가적인 1.9% 설명력을 증가시키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β=.140, p=.011). 본 연구 결과 간호사-간호사 협력과 간호사-의사 협력은 아동간호단위와 성인간호단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협력과의 관련요인과 영향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조직에 따른 협력의 정도는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추후 의료인 간의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안과 체계적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디자인사고 기반 창의혁신 조직의 유형에 관한 연구 : 팀과 리더 관점으로

        현상민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are currently living in the era of network where specialized information and various knowledge are intertwined. Because of that, almost every organization in today has to build an infrastructure that can surely support their continuous innovation in order to adapt to changes in the complex environment. Thus, creativity is accepted as an important criterion to gauge the innovation of present business organizations. Every organizational innovation is initiated by an individual members who are the basic unit of the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hat each members in the organization has to cultivate his/her own creativity for the growth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most importantly required is that the revealing of group creativity through the enhanced and expressed each members' creativity which naturally leading to their innovative behaviors in business innovation. Furthermore, we are living in the era of change where creative ideas have to continuously be produced by the convergence of various information and expertise. Because of this, expressing the creativity which relies on an individual is required too much ability to be an expert in the field. Therefore, we need to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group creativity that can produce creative ideas depending on deriving and combining bunch of ideas from a number of individuals who has various abilities in the group. There are three important principles by precedent studies. First, design and design thinking are equally important to achieve corporate innovation and group activity. Second, the horizontal structure of every aspects of organizations' culture is also important to achieve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Thirdly, the ability and leadership of key personnel is important to achieve innovation. By these important facts, we could find that there are correlation among design and thinking inspired by design, the ability and leadership of key personnel, and the structure of organiz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ceed with regarding to the aforementioned and based on precedent studies, it presents frameworks with regard to not only the definition but also the establishment of process of creative thinking, and distinguishing the type of innovative organization. Moreover, this study is supported by some case studies on the type of innovative organization. There are four different organization types can be defined by the previous case studies of innovative organization. The first type of organization is "Collaborative Organization with Outside Innovators". Manufacturing-oriented organization which has organizational limitation of production efficiency-oriented innovat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outside designers or innovators. The second type of organization consisted of "an Innovative Leader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Innovative leader who is responsible for the entire process to drive innovation holds gifted talent of creative and integrative thinking, and strong leadership; whereas the other, professional organization, is composed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The third type of organization consisted of "Editing-oriented l|Leader and Creative Organization". This organization has outstanding performance of editing and coordination among each creative members' various ideas and deliverables. The last type of organization is "Horizontal Creative Organization". They create a wide variety of business and service through group creativity by using horizontal communication method. This organization not only overcomes the limitation of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by system but also minimizes management and strong leadership. Also, it implements horizontal group creativity through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Each type and feature of these organization can be analyzed in pros and cons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riteria and classified the organization which has group creativity depending on the type of innovative organization, and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study is to provide immediate assistance to an organization transforming into the innovative one. 현재 우리는 전문화된 정보와 다양한 지식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네트워크의 시대에 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 대다수의 조직은 복잡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활동과 그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야만 한다. 따라서 창의성은 오늘날 기업조직의 혁신을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모든 조직혁신의 시작은 조직을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구성원 개인에 의해 시작된다. 조직의 성장을 위해서는 구성원 개인의 창의성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적극적인 창의성 발현을 통해 기업혁신에 필요한 조직적 혁신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집단 창의성을 발현하는 것 또한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우리는 다양한 정보와 전문지식의 융합에 의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해야만 하는 변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는 창의성의 발휘는 너무 많은 능력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창의성이 잘 발휘될 수 있는 집단에 대한 연구 즉, 다양한 능력을 갖춘 다수 개인들의 아이디어를 끌어내고 융합시켜 창의적 아이디어가 생산될 수 있는 집단창의성 조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선행연구에 의해 다음과 같이 3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는 기업의 혁신과 집단 창의성 발현을 위해 디자인과 디자인사고가 중요하다는 것. 두 번째는 조직에서 창의성 발현을 위해서는 수평적 조직문화와 구조가 중요하다는 것. 세 번째는 혁신을 위해서는 핵심 인재의 능력과 리더십이 중요하다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해 조직의 창의와 혁신을 위해서는 디자인 사고와 핵심인재의 리더십과 수평조직 문화 간의 상관관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의성 사고에 대한 정의와 함께 창의성 사고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혁신조직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혁신조직 유형에 대한 사례연구로 주장하고자 하는 내용을 뒷받침하였다. 혁신 조직을 사례를 통해 조직과 리더를 중심으로 4가지 조직유형으로 나눴는데 그 첫 번째는 ‘외부혁신가 협업 조직’으로써 제조 중심의 조직이 생산 효율 중심의 조직문화의 한계를 외부혁신가 또는 디자이너와 협력을 통해 혁신하는 조직유형이다. 두 번째는 ‘통합적사고 리더와 전문가 조직’으로 타고난 재능가인 리더 즉 창의적이며 통합적 사고력과 강한 리더십을 보유한 리더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조직유형이다. 혁신가 리더는 과정전체를 책임지며 혁신을 주도한다. 세 번째는 ‘조율가적 리더와 창의적 조직’은 뛰어난 창의적 팀원들과 그들의 생산하는 다양한 아이디어와 산출물을 뛰어난 편집과 조율을 통해 완성하는 조직 유형이다. 마지막 네 번째는 ‘수평적 창의 조직’으로 수평적인 소통 방식의 집단 창의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조직으로 관리와 소통의 한계를 시스템을 통해 극복하고 관리와 리더십을 최소화 하여 소통과 참여정신을 통한 수평적 집단 창의성을 구현하는 조직유형이다. 이 유형화 통해 각각의 유형의 특징과 장단점을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미는 집단창의성을 갖는 조직의 특성을 혁신조직 유형에 따라 기준을 정립하고 분류하였다는 점이며, 실무적 의미로는 실제 조직이 혁신적 조직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필요한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 Donepezil ionic liquid for enhancing solubility and skin permeability

        현상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도네페질은 경구투여시 위장관의 부작용 및 치매환자 특유의 낮은 복약순응도 문제를 가지고 있다. 피부 투과도가 좋지않은 도네페질은 투과 촉진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인체 피부에 독성 또는 자극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네페질 이온성 액체를 개발하고 경피 투여 가능한 효과적인 서방성 도네페질 패치 제제를 제형화하는 데 있다. 이온성 액체 스크리닝 연구를 위해, 다양한 코포머와 도네페질 혼합물을 30분간 유발 유봉으로 연마하였고 성상에 변화가 있는 DNP-ADI, DNP-ML, DNP-MA, DNP-SUC, DNP-TAR, DNP-VN의 6 가지 샘플이 관찰되었다. DSC 결과에 따르면 이온성 액체의 Tg는 DNP-VN을 제외하고는 실온 이하였다. 연한 노란색의 투명한 DNP-MA 혼합물은 IL 혼합물 중 -24.38 ℃의 가장 낮은 Tg 값과 1509µg/cm2의 가장 높은 피부 투과도를 가지고 있다. DNP-MA IL의 최적 비율을 찾기 위해 두 가지 물질을 다양한 몰비로 에탄올에 섞어 용매증발법으로 시료를 제조하였다. DNP-MA 이온성 액체 형성의 최적 몰비는 Tg 값 및 현미경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F4, 즉 0.2 : 0.8 몰비에 가까운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말론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피부 투과성이 증가하여 말론산이 피부 투과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냈다. 패치의 투명도, 투과성 및 피부 자극을 비교하기 위해 말론산 농도가 다른 DNP-MA IL 패치 (0 %, 1 %, 5 %, 10 %) 및 5%의 말산, 숙신산, 주석산 IL 패치를 준비했다. DNP 이온성 액체는 투명한 성상을 가지기 때문에 패치에 적용시 결정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패치 성상을 비교한 결과, 다량의 말론산을 사용할수록 결정 형성을 억제하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시각적으로 확인되었다. DNP-MA IL 패치 및 raw DNP 패치는 투과도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DNP-MA IL 패치에 대한 피부 투과 계수는 168시간동안 1.15 μg / cm2 / hr이였으며, raw DNP 패치보다 약 6 배 더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DNP IL 패치는 결정생성 억제효과와 개선된 피부투과도를 나타낸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기존 경구제형에 비해 더 나은 사용 편의성과 서방형 약물전달 효과를 기반으로 개선된 환자 복약순응도를 갖는 경피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Orally administered DNP has the side effects of GI tract and compliances problem of dementia patients. DNP has poor skin permeation, transdermal formulation of DNP is not available except for permeation enhancer which have toxicity or irritation to human sk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NP ionic liquid and formulate transdermally effective sustained release donepezil patch formulation. For the ionic liquid screening study, DNP mixtures with various coformers were ground with mortar and pestle for 30 min. 6 samples with visual changes were observed, those are DNP-ADI, DNP-ML, DNP-MA, DNP-SUC, DNP-TAR, DNP-VN. DSC results showed that Tg of the ionic liquids were below room temperature except for DNP-VN. The pale yellow transparent DNP-MA mixture has the lowest Tg value of -24.38℃ and the highest skin permeability of 1509µg/cm2 at 12 hours among IL mixtures. For investigating the optimal ratio of DNP-MA IL, samples with various molar ratio of two materials were prepared by solvent evaporation method. The optimum molar ratio of DNP-MA ionic liquid formation was predicted to be near F4, 0.2:0.8 molar ratio, by Tg and morphology with temperature control. Moreover, as the content of MA increased, the skin permeability increased, indicating that MA is capable of enhancing skin permeation. DNP IL patches with different coformers (ML, SUC, TAR) and MA concentrations (0%, 1%, 5%, 10%) were prepared to compare transparency. It exhibits the effect of suppressing crystal formation in the patch because DNP ionic liquid has an advantage of transparent appearanc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ppearance and morphology, patches are confirmed that the more malonic acid is used, the more effective to inhibit crystal formation. DNP-MA IL patches and the raw DNP patch showed a big difference in permeability. The skin permeability coefficients for 168 hours of DNP-MA IL patch is 1.15 µg/cm2/hr, 6 times higher than that of DNP raw patch which is 0.19 µg/cm2/h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DNP IL patch achieved the inhibition effect of crystal formation and enhanced solubility and permeability. This could be applied to further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with improved patient’s compliance and sustained release.

      • Geochemical study for paleoproductivity reconstruction in Northwest Pacific and North Atlantic Ocean : 北西太平洋及び北大西洋における古生産力の復元のための地球化學的硏究

        현상민 東京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7615

        해양에 있어서 생물학적 생산력의 복원은 지구의 환경변화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 된다. 본 학위논문의 목적은 고생물생산의 복원을 위해서 생물기원 추적자와 연관된 퇴적물중의 바륨(Ba)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바륨을 이용한 고생물생산의 복원에 있다. 북서태평양과 북대서양의 반원양성 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분석이 이러한 연구를 위해 사용되었다. 북서태평양의 여러 주상시료 퇴적물(St. 4, St. 6, St. 20)에 대한 상세한 조사와 주요원소 및 미량원소에 대한 지화학적인 연구결과는 이들 퇴적물간의 조성변화가 크게 변하지 않음을 밝혔으며 이는 그 퇴적물의 기원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음을 지시한다. 유기물(organic matters), 탄산염(carbonate) 및 생물기원 opal과 같은 생물기원 추적자(함량변화)는 빙기(glacial period)와 간빙기간(interglacial period)의 일관된 변화로 특징 지울 수 있다. 즉, 빙기에 감소하고 간빙기에 증가한다. 이러한 사실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빙기동안의 증가된 육상기원 퇴적물의 유입에 기인한다고 해석되었다. 연속적인 화학분석(selective leaching)의 결과 퇴적물에 포함되어 있는 바륨은 육상기원물질의 양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탄산염을 제거한 퇴적물 속의 바륨과 탄산염함량과의 강한 정의상관(positive relationship)은 대부분의 탄산염제거 바륨이 불용성의 미세한 중정석(barite-생물기원 바륨)으로 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Gingele 와 Dahmke(1992)가 제시한 수식을 이용하여 생물기원 바륨이 계산되었고 다시 각각의 값은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건조밀도 및 퇴적속도)을 이용하여 질량퇴적속도(mass accumulation rate)로 전환하였다. 그 결과 생물기원 바륨과 탄산염의 강한 상관은 탄산염이 중정석의 주요 운반 기작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중정석이 용해(dissolution)에 강하다는 성질을 고려한다면, 본 논문은 여기서 생물기원 바륨의 질량퇴적속도는 빈영양 해양에 있어서 생물기원 탄산염의 최초 표층생산력을 지시하는 대리원소(proxy elements)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했다. 북대서양에 있어서는 국제심해굴삭계획에서 얻어진 site 907과 983의 퇴적물에 대하여 생물기원 추적자에 대한 바륨의 타당성을 보다 긴 지질학적 시간 스케일에 있어서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Site 907퇴적물은 중기 중생대(약 1500만년 정도)까지, site 983은 약 120만년까지의 시간적 범위에서 분석되었다. 화학적 분석결과는 북서태평양의 퇴적물에 나타난 것과 같은 불용성 중정석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한 생물기원 바륨과 탄산염의 변화에 대한 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탄산염이 생물기원 바륨의 잠재적 운반 자로서의 가능성이 북대서양에서 확인되었다. 북서태평양의 퇴적물에서 행해진 것과 같은 동일한 방법적 접근방법이 site 983 퇴적물에도 수행되었는데 그 결과 탄산염의 120만년간에 걸친 주기적인 변화는 기후변동과 관련된 해양의 생물생산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논문은 북서태평양과 북대서양에 대한 지구화학적, 고해양학적 연구 결과, 생물기원 바륨은 비교적 짧은 빙기-간빙기의 시간범주는 물론 보다 장주기에 걸친 지질학적인 시간 스케일에 대해서도 탄산염의 용해와 고생물생산의 복원에 대한 추적자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기후변화를 포함하는 지구환경변화의 해석에 공헌하리라 해석되었다.

      • Effect of clarithromycin on rhinovirus infection in murine model

        현상민 University of Ulsan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Background: Rhinoviruses (RV) cause common cold, pneumonia, and the majority of acute exacerbations of asthma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nfortunately, treatments for rhinovirus infection are inadequate. Evidence suggests that macrolide antibiotics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viral effec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 vivo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macrolide antibiotics on RV infection.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rithromycin (CM) on RV infection in a mouse model with controls. Methods: CM (3.0 mg/kg) and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were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to BALB/c mice at 9 AM and 3 PM on the first day to the CM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RV infection was induced by intranasal instillation of strain RV1b (5 × 106 TICD50/ml) to both groups immediately after the second drug challenge on the first day. Subsequently, CM and PBS were administered once daily. Control and CM mice were sacrificed on days 0, 1, 2, and 4 after RV infection. The concentrations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6,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2, and keratinocyte chemoattractant (KC) were measured in nasal lavage fluid. The RV1b-infected areas of control and CM mice were identified using immunofluorescence. Results: The production of KC, MIP-2, and IL-6 by both groups increased after 24 h and subsequently decreased.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nasal mucosa of both groups on days 1 and 2 revealed abundant RV1b staining, which was distributed between the epithelium and the lamina propria. In the CM group, the RV1b-infected per unit are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mice at 24 h, 48 h, and 96 h. Conclusions: Although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decrease of RV infection in the CM group, the anti-RV1b effect of CM was not reflected by cytokine secretion. 배경: 리노바이러스는 상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이며, 폐렴이나 폐쇄성 폐질환, 천식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원인 바이러스이지만 아직까지 정립된 치료방법은 없다. Macrolide 항생제가 항 염증 작용과 항 바이러스 효과가 있어 리노바이러스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지만 그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동물실험은 없었다. 목적: 리노바이러스를 감염시킨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클래리스로마이신 (CM)을 먹인 치료군과 인산완충식염수를 먹인 대조군을 비교 분석하여 클래리스로마이신의 효과를 알아 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CM (3.0mg/kg)과 인산완충식염수 (phosphate-buffered saline, PBS)를 2회 (오전 9시, 오후 3시)에 걸쳐 실험 첫날 치료 군과 대조 군에 각각 먹였다. 리노바이러스의 감염은 두군 모두 2번째 약을 먹인 직후에 비강을 통해 감염시켰다 (5x106 TICD50/ml). 이후 CM과 PBS는 하루 1회 먹였으며 두 군 모두 리노바이러스 감염 당일, 1일째, 2일째, 4일째 비강 세척액을 얻고 해부하였다. 비강 세척 액에서 IL-6, MIP-2, KC를 측정하였다.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비강조직의 리노바이러스의 감염 정도와 면적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치료 군과 대조군 모두 감염 1일째 IL-6, MIP-2, KC와 같은 염증 사이토카인이 증가하였고, 감염 2일째에 다시 감소하였으나 두 군간의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면역형광염색에서 감염 1일째, 2일 째 두 군 모두에서 리노바이러스가 비강상피에서부터 점막 고유 층까지 고르게 퍼져 있었으며. 치료 군에서 감염 1일째, 2일째, 4일째 비강상피와 점막 고유 층의 리노바이러스의 감염 면적이 대조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사이토카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CM은 비강상피와 점막 고유 층에서 리노바이러스의 감염면적을 줄인다는 것을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