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신자와의 심리적 거리감이 이모티콘 사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권희진(주저자) ( Kwon Hee Jin ),우주(공동저자) ( Yu Zhou ),허정윤(공동저자) ( Heo Jeong Yun ),허정윤(교신저자) ( Heo Jeong Yu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폰의 확산과 함께 주요 의사소통 방식이 대면 의사소통에서 비대면 의사소통으로 이동한 현대 사회에서 카카오톡, 라인, 위챗 등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의사소통 중 맥락정보의 보완을 위해 사용하는 이모티콘의 사용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수신자와의 심리적 거리감에 따른 메신저 상에서의 사용 이모티콘의 유형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았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적 거리감에 대한 정의와 이모티콘의 유형별 구분 기준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후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관계 등에 따라 수신자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거리감을 측정하고, 표현 가능한 이모티콘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단한 이모티콘의 디자인을 통해 심리적 거리감이 상대적으로 먼 상사와의 관계에서의 이모티콘 사용 유형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신자와의 관계에 기반을 둔 심리적 거리감에 대해 이모티콘 유형의 사용 행태가 달라지고, 그에 따른 적합한 이모티콘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servation of this study is the range of communication between person and person is extended by mobile society, and through mobile messengers such as Kakao Talk, Line, and Wechat, we identified the type of emoticon listening device that people use while communicating. First, we classified the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n we looked at how the emoticons are distinguished by type and their definitions. The following survey measured the psychological distance felt by the recipien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relationships, and learned about the expressible emotic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onducted an additional study of simple emoticon patterns to see if other emoticon options were possible in a relationship with a company with many limitations regarding the use of psychological distance. The study suggests that for the psychological distance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receivers, the behavior of the type of emoticon should vary and that appropriate emoticon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ly.

      • KCI등재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활용한 사용자 참여적 박물관 서비스 개발

        이지윤(주저자) ( Lee Ji Yoon(주저자) ),허정윤(교신저자) ( Heo Jeong Yun(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6

        박물관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이 결합된 대표적인 제3의 공간으로 관람객의 능동적 관람 행태로의 변화와 함께 관람객과의 상호소통적인 전시 경험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사용자 참여적 박물관이란 관람객이 주도적으로 관람 과정을 이끌어가며 정보의 의미와 가치를 깨달을 수 있도록 하고 보다 다각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잊히지 않는 전시 경험을 선사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Io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실제 데이터에 기반한 맥락적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시도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IoT 기술을 활용하여 박물관 내에서 관람객이 적극적으로 전시에 참여할 방안에 대한 구체화한 서비스 개발 과정을 연구하였다. 박물관 전시 관람에 관한 사용자 경험 연구를 위해 전시 관람의 총체적인 경험 과정을 데이터 흐름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서비스 블루프린트 모형을 적용하였다.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터치 포인트를 정의하고 각종 기회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제안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하여 콘텐츠 탐색, 공유 및 거래 기능을 중심으로 세 가지 유형의 사용자 참여적 미래 박물관 관람 서비스 모델을 설계하였다. IoT 기술이 적용된 사용자 참여적 박물관 관람 서비스는 기존의 일방적인 서비스 제공 양식에서 벗어나 대중과의 집중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박물관의 목적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관람객의 몰입도와 관심도를 지속해서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useum being a representative third space combining public and private areas, with the role change of visitors, the importance of interactive exhibition experiences with visitors has been emphasized in various ways. User participatory museums provide unforgettable experience by allowing visitors to actively engage with the value of the works. Also, due to advance in IoT technologies, attempts to provide new experiences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with actual data are increasing.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service development process of user-participated service for IoT applied museums. A service blueprint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flow was applied to explore an entire experience process of museum exhibition. This allowed to define various touch points around data and discover new opportunities. Furthermore, three user-participated service models for future museum have been designed using the proposed data-based service blueprint. User-participated museum that adopted IoT technology is expected to achieve its purpose more efficiently by creating intensive interaction with the public and continuously increase the level or immersion and interest of visitors leaving the existing one-sided service provision format.

      • KCI등재

        전기자동차 운전자를 위한 대시보드 디자인 연구 - Hyundai Ioniq EV와 Toyota의 Prius를 중심으로 -

        유채문(주저자) ( Yoo Chae Moon(주저자) ),권희진(공동저자) ( Kwon Hee Jin(공동저자) ),허정윤(교신저자) ( Heo Jeong Yun(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6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과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전기 자동차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그 중, 운전자에게 자동차의 현재 상태를 전달하고, 주행과 차량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시보드의 역할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잔량에 대한 민감함 등으로 인해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와는 운전 방식이 크게 달라졌지만 대시보드는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현재까지의 자동차 대시보드는 주행의 편의를 목적으로 하여 정작 운전자에게 필요한 적정의 정보량과 전달되는 디스플레이 별 정보 배치 가이드라인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계기판은 자동차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 및 안전관련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중점으로 한 연구는 더욱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시보드에 초점을 맞추어 전기자동차 운전자에 적합한 정보 제공을 위한 대시보드 디자인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Increasing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s, the propagation of electric cars is spreading through out the world. A dashboard be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electric cars, it communicates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with the driver and provides necessary information for driving and managing the vehicle. Although the sensitivity of the remaining battery has significantly changed the way electric cars operate compared to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vehicles, the dashboard is still designed in a similar way. Up to now, dashboard design is mainly focused on facilitating driving and has not been clearly provided with guidelines for display layout of each specific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delivered to drivers with appropriate amount. Further studies on this are considered necessary since the dashboard delivers safety-related information to the driver.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dashboard and proposes design of the dashboard that is suitable for electric car dri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