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연구 - 런던, 뉴욕, 베를린, 시드니, 서울 사례를 중심으로 -

        채진해,조경진,김승주,허윤경,황주영,Chae, Jin-Hae,Zoh, Kyung-Jin,Kim, Seung-Ju,Hoh, Yun Kyeong,Hwang, Ju-Young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2

        최근 도시정책에서 도시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되고 있다. 좋은 도시공원체계 확보를 위해서 공원정책 및 계획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세계 주요도시의 공원녹지 관련 계획의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적 차원에서의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운영체계 및 계획내용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연구대상지로는 영국 런던, 미국 뉴욕, 독일 베를린, 호주 시드니, 국내 서울을 선정하였고, 분석자료는 각 도시별 공원녹지 관련 기본계획 및 전략보고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은 운영체계와 계획내용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녹지계획을 관련자원과 연계된 오픈 스페이스 계획으로 수립함으로써 자원의 통합적 관리 및 형평성에 대한 실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둘째, 공원녹지계획이 초기의 양적 공급에서 질적가치의 향상으로 더 나아가 재활성화 및 재생에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셋째, '공급중심의 계획'에서 '수요에 기반한 평가' 모델로 전환함으로써 인구학적 변화, 트렌드 변화, 선호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계획 모델로 수립되고 있다. 넷째, 계획의 주체, 수립단계별 참여 기회 확대, 참여구성원의 다양화를 통해 수동적 참여에서 적극적 참여계획으로 전환되고 있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의 실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원녹지에 관한 새로운 인식변화를 적극 수용하고, 공원 거버넌스를 수용을 도입하며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유연한 계획접근이 필요하다. Recent trends in urban policies show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urban parks. Moreover the park policy and planning ar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e good urban park system. Comparative studies in the operational system and planning contents of the parks and green space plans of the major cities would be timely and meaningful.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mparative study in operational system and planning contents of the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t urban scale. Sites include London, New York, Berlin, Sydney and Seoul. Analyses are focused on the master plans and strategy reports of each city. Frameworks for analysis are divided into operational system and planning cont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ks and Green Space Plans as an open space planning linked to related resources would contribute to both integrated resources management and practice of the fairness. Second, evolution from quantity to quality of the parks and green space plan enhances revitalization and regeneration. Third, shift from the 'supply oriented plan' to 'need based plan' model provides flexible planning model to meet the demographic change, trend change, preference and use. Fourth, planning agents, enlarge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within each phase, diversified of the participants lead the changes from the passive participation to active one.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bility of the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 flexible planning strategy including social awareness changes and park governance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역사적 변천에 따른 서울과 베를린 근교 녹지 특징 비교

        채진해(Chae, Jin-Hae),허윤경(Hoh, Yun Kyeong),김성학(Kim, Seong Hak)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5

        서울과 베를린의 근교 녹지를 대상으로 역사적 변천 과정 및 특징을 도출하고 두 도시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도시의 발달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가치를 해석하고 정립하고자 하였다. 서울과 베를린의 근교 녹지는 지형적으로 도시 외곽에 위치하고 있으며 환상형의 모양으로 도시의 경계로서 및 남북생태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개발제한구역·항속림 계약과 같은 제도에 의해 규제되면서 도시의 생태자원을 보존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다. 마지막으로는 서울과 베를린의 근교 녹지는 공공 이용 문화 공간으로서 도시민들의 여가휴양을 위해 활용되어지고 있는 유사점이 있었다. 그러나, 서울은 산으로 베를린은 숲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지형적 차이가 있었으며 산림보호를 위해 서울은 공공이 주도하고, 베를린은 시민보호 운동으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는 그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교 녹지 활용 측면에서도 서울은 서울의 산을 하나의 둘레길로 연결하여 서울의 정체성을 수립하고자 한 것에 반해 베를린은 8개의 광역화 공원으로 구분하여 차별화 되게 조성하였으며 지역관광 및 경제활성화의 수단으로 활용하면셔 지역 문제 해결의 플랫폼으로서 활용코자 하였다. 종합해보면, 서울과 베를린의 근교 녹지는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의 목표를 위해 물리적·인지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y deriving historical transformation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and compar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ities in the suburb green areas of Seoul and Berlin, we interpreted and established the values that appear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ity. The suburban green areas of Seoul and Berlin are located outside the city and serve as the physical and ecological boundary of the city in a ring shape. In addition, it has preserved urban ecological resources while being regulated by systems such as zoning an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Lastly, the green areas in the suburbs of Seoul and Berlin have similarities that both were used for recreation by urban residents as public and cultural spaces. However, there was a topographical difference that Seoul was composed of mountains and Berlin was composed of forests. Also, forest conservation movement was led by the government in Seoul, while it began as a public movement in Berlin. In terms of the use of suburban green areas, Seoul established its identity by incorporating mountains into a single Dulle-gil, while Berlin divided its green areas into eight big parks and used as a means of regional tourism and economic revitalization. Taken together, it can be seen that the suburban green areas of Seoul and Berlin play a physical and cognitive role for the goal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