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왕절개분만 산모의 흡연여부에 따른 신생아 건강상태 비교

        허영미 ( Young Mi Huh ),한상숙 ( Sang Sook Ha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1

        본 연구는 임신 전부터 임신 3기까지 지속적으로 흡연한 임신부의 신생아와 흡연 경험이 없는 임신부 신생아의 출생체중, 출생신장, Apgar score, Sucking power와 소화 장애 등을 중심으로 임신부의 흡연이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논하고자 한다. 출생체중은 태아의 발육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좋은 지표인데 본 연구에서 신생아 출생체중은 흡연군 신생아(M=3,056 g)가 비흡연군(M=3,271 g)보다 유의하게 작았다. 이 결과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Kong 등(2005)의 연구에서 재태기간 중 흡연력이 있는 흡연 임부군과 비흡연 임부군 신생아들 간의 출생체중 비교에서 비흡연군이 높았다는 결과와 일치하며,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흡연 임신부 신생아의 경우 출생 시 체중이 감소했다는 보고(Andersenet al., 2009)와도 동일한 결과이다. England 등(2001)은 임신한 여성이 하루 10개비 이상 담배를 피우는 경우 태아의 체중은 평균200 g 정도 감소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흡연군은 임신기간 중 하루 흡연량이 5.8개비였고 두 군 간에 출생체중 차이는 215 g 정도였다. 이러한 결과는 흡연에 의해 발생한 일산화탄소가 태아와 모체의 헤모글로빈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니코틴이 혈관을 수축함으로서 태반의 혈류량을 감소시켜 임신생리에 의한 혈액량의 증가가 일어나지 못한 것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2009년 현재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동태 자료를 보면 출생아 수는 44만 4,189명이며 정상 출생체중 범위는 2,500 -4,000 g 정도인데 평균 출생체중은 3,220 g이다(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 ce, 2009). 본 연구에서 비흡연군은 3,271 g으로 평균 출생체중을 넘지만 흡연군 신생아는 3,056 g으로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신부의 흡연이 신생아의 출생체중 감소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생신장은 본 연구에서 흡연군 신생아(M= 49.07 cm)가 비흡연군(M=50.89 cm)보다 유의하게 작았다. 이러한 결과는 Kong 등(2005) 이 발표한 흡연 임부군과 비흡연 임부군 신생아들 간의 출생신장 비교에서 비흡연군 신생아가 높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이는 임신부의 흡연이 태아 혈관상(Fetal vascular bed)에서 내피질소산화물(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의 활동을 감소시키고, 혈관확장 용량의 감소에 의해 야기되는 태아발육을 지연시키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Adersen et al., 2009), 임신부의 흡연이 태아의 대퇴골 길이 성장을 감소시키는데 대퇴골 길이에 대한 더 큰 영향은 임신 증 흡연이 주로 말초조직에 영향을 미친다(Jaddoe et al., 2007)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생아의 정상신장 범위는 45-55 cm이며 정상치는 50 cm 정도이다(Yoo et al.,2008). 본 연구에서는 비흡연군 신생아는 50.89 cm로 평균치를 넘지만 흡연군 신생아는 49.07 cm로 평균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 두 군 신생아의 신장 차이가 1.8 cm 정도의 차이가 나는데 이 정도의 차이는 신생아에게서는 큰 차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임상에서 신생아의 발육상태를 보면 대체로 신장이 큰 신생아가 역시 체중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흡연 임부의 신생아가 비흡연군보다 출생 시 체중과 신장이 작았던 배경을 흡연 임부군의 임신 중 지속적인 흡연 상태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임신부의 흡연이 신생아의 출생신장 감소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e (2002)는 임신 중 흡연량은 태아의 체중에 반비례하며 발육 부전에 의한 사산도의 위험은 임신 중 흡연량과 임신부의 빈혈에 비례한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흡연 임신부들의 흡연 시작 연령은 평균 18.6세이며 임신기간 중 하루 흡연량은 평균 5.8개비였다. 흡연 임신부들은 친구의 권유로(51.9%) 흡연을 시작하여 59.3%는 금연을 시도해 본 적이 없고 66.7%는 가래와 기침으로 인한 호흡기 변화가 있음에도 계속 흡연하였고, 임신 중에도 술을 마실 때(51.9%)나 스트레스가 많을 때(48.1%)에 강한 흡연 욕구를 느껴 습관적으로(48.1%) 흡연을 했으며, 41.7%는 임신 전과 동일한 수량을 흡연했고 58.3%는 흡연량을 감량하면서 임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흡연하였다. Maloni (2001)는 자궁 내 태아발육부전과 저체중아 출생은 흡연 임신부가 임신 4개월이 되기 전에 금연하는 경우 예방할 수 있다고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임신 중에 금연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임이 확인되었기에 가임여성에 대한 조기 흡연예방 교육이사회적 관심과 국가적 차원에서 필히 실시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생아의 1분 Apgar score는 심박동, 호흡수, 근육 긴장도, 피부색, 자극에 대한 반응 등을 기초로 하여 소생술의 필요 여부를 빠르게 사정한다(Apgar, 1953). 신생아의 Apgar 점수를 채점할 때 외관상 보이는 신생아의 피부색은 심혈관계 문제를 반영할 수 있고(Yoo et al.,2008), 신생아의 심박동과 호흡수는 임신부의 흡연이 태아에게 만성적인 저산소증을 가져와 중추신경계 발달에 장해를 주고 심폐활동 조절에 이상을 초래함으로써 신생아의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치는(Choi & Lee, 2005) 것과 관련이 있고, 신생아의 근육 긴장도는 임신부의 흡연이 심폐능력의 저하뿐만 아니라 심폐에서 산소공급을 받아 근육에서 지속적인 수축을 일으키는 근지구력에도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Kim et al., 2008) 것과 연관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1분 Apgar 점수는 흡연군 신생아(M=7.79)가 비흡연군(M= 8.27)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이 결과는 Gu (1997)의 흡연하는 임신부의 경우 태어난 신생아의 Apgar 점수가 낮은 수치를 보였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Andersen 등(2009)은 비흡연자, 흡연자와 과거흡연자 산모 신생아의 Apgar 점수 비교에서 세 그룹의 점수가 차이가 없다고 보고함으로써 본 연구와는 상반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반복 연구를 통하여 재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Jung (1992)의 연구에서는 출생 때 체중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신생아 Apgar 점수가 높았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흡연군 신생아에 비해 체중이 높았던 비흡연군의 1분 Apgar 점수가 더 높았다.이는 흡연 임신부 신생아가 자궁 내에서 산소공급과 영양의 부족으로 Apgar 점수가 낮았던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임신부의 흡연이 신생아의 Apgar 점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생아의 Sucking power는 흡철반사에 의해 입을 벌려 젖꼭지를 빠는 힘이며 신생아는 젖을 찾고(rooting), 빨고(sucking), 삼키는 것(swallowing)과 같은 수유를 촉진하는 반사를 갖고 태어난다. 또 만삭아는 생후 몇 시간 이내에 더욱 오랫동안 효과적으로 빠는 연습을 시도하며, 신생아의 신체사정에서 아기가 수유할 준비가 되었다는 생리적인 증거들은 정상범위 내의 활력징후, 자연스러운 호흡; 개방된 콧구멍과 청색증 없음, 활발한 장음, 복부팽만 없음 등이다 (Yoo et al., 2008). 본 연구에서 신생아의 Sucking power는 흡인력 정도를 Likert 척도로 점수화하여 3일 동안 측정하였는데 3일간 모두 비흡연군의 Sucking power가 더 양호하였다. 이 결과는 Park (1974)의 연구에서 Sucking power는 Apgar 점수가 높은 군(score 8 to 10)과 출생체중이 큰 쪽이 양호하였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체중과 Apgar 점수에서 흡연군보다 높았던 비흡연군 신생아가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더 양호하였기에 비흡연 임부 신생아의 Sucking power가 더 양호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신생아의 소화 장애는 복부팽만 증상이 나타나는 여부에 기준을 두어 3일 동안 관찰하였다. 신생아기에는 단백질과 간단한 탄수화물을 소화, 흡수하여 대사시키며 지방을 유화시킬 수 있으며 탄수화물, 지방과 단백질 등을 소화하는 능력은 효소에 의해 조절된다(Yoo et al., 2008). 이러한 신생아의 소화와 관련하여 복부팽만 증상을 관찰한 결과 출생 후 첫째 날과 셋째 날에는 복부팽만 증상이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둘째 날에는 흡연군 신생아(8명, 15.4%)가 비흡연군(2명, 2.7%)보다 복부팽만 증상이 더 많이 나타나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는 현재 미국에서 신생아 중에 배앓이 증세로 심하게 우는 신생아가 20% 정도인데 흡연 임신부의 신생아는 배앓이 증세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런 현상의 원인은 혈액 내에서 소화와 관련된 장단백질 수치를 증가시키는 니코틴일 가능성이 높고 장단백질 수치가 높아지면 고통스러운 복통이 유발된다. 이는 또한 12,000명 이상의 신생아 중에서 흡연 임신부의 신생아는 비흡연 임신부의 신생아들에 비해 배앓이 증세를 가질 가능성이 높고, 간접흡연에 노출된 신생아 역시 배앓이 증세를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한 Shenassa와 Brown (2004)의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볼 때 임신부의 흡연이 신생아의 소화 장애에 영향을 미쳐 복부팽만을 유발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을 요약하면 임신부의 흡연이 신생아의 출생체중과 출생신장의 감소를 초래하고 Apgar score와 Sucking power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소화 장애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4개 여성병원에서의 대상자 자료 수집인 만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eonatal birth weight, birth height, Apgar scores, sucking power, and digestion dif-ficulties between smoking and non-smoking women following cesarean birth.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moking on the neonatal health status in pregnant women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s and nonsmoking practice protocols for pregnant women with smoking. Methods: A comparative survey design was used. Fifty-four newborn infants of pregnant women with smoking and seventy-four newborn infants of pregnant women with non-smoki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cores of neonatal birth weight, birth height, Apgar scores, sucking power, and digestion diffi culties were asses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 15.0 program. Results: Smoking in pregnant women leads to the decrease of birth weight (F=4.75, p=.030) and birth height (F=14.19, p<.001), negative effects on the Apgar scores (F=36.02, p<.001) and sucking power (t=-4.26~-5.60, p<.001), and digestion diffi culties (χ²=6.72, p=.010) of neonates.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moking in pregnant women leads to the decrease of fetus development. These findings would be utilized for the development of not only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s but also prenatal education programs for pregnant women.

      • SSCI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