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시오갈피나무의 Eleutheroside E 및 Chlorogenic acid 성분함량

        오성진,허성두,안진권,이위영,박유헌,최명석 한국임학회 200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9 No.2

        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et Maxim,) Harms is a tree species tha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source for oriental folk medicine. It is known to contain both Eeleutheroside E and chlorogenic acid. These two compounds are believed to be effective elements in the tree.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levels of the two compounds from the plants collected from various locations in Korea to find out whether environment affected the quantity of both compounds in the tissue. When the plants growing in their natural habitats and those growing in plantations were compared, the level of the two compounds showed different pattern. In the case of chlorogenic acid in roots, the plants growing in plantations are found to contain higher levels than did those from natural habitats. On the other hand, higher levels of eleutheroside E were found in the plants from natural habitats. However, when the compounds in the stems were compared, the plants growing in the natural habitats contained higher level in both compounds than did those from plantations. Although the level of both compounds in the leaf tissue varied with the places from which they were originated, it appeared to be less than that found in roots or stems. There exists a tendency that the level of eleutheroside 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iameter of both roots and stems of the plants.

      • KCI등재

        잣나무림(林)과 물참나무림(林)에 있어서 Litter fall , 녹엽(綠葉)의 분해 및 양분동태(養分動態)

        한상섭,허성두 한국임학회 198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7 No.1

        32年生 잣나무造林地, 58年生 잣나무 造林地 그리고 萌芽에 의하여 更新된 33∼37年生 물참나무林의 litter fall의 量과 養分供給量, 그리고 綠葉의 分解에 따른 養分動態를 12개월간 調査하여 分析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年間 litter fall量은 32年生 잣나무林, 58年生 잣나무林 그리고 33∼37年生 물참나무林에서 각각 4.23, 3.22 ton/ha/yr이었다. 2. Litter fall은 9∼10月에 가장 많이 落下하였으며, 年間 litter fall 중 葉이 잣나무林에서 81∼85%, 물참나무에서 73%를 차지하였다. 3. 年間 litter fall에 의하여 1ha의 林地로 供給되는 養分量은 잣나무林에서 C 1.9∼2.3 ton, N 30∼37kg, P 2.2∼2.5kg, K 6.0∼6.2kg, Ca 23∼25kg, M 5.1∼5.6kg이었으며, 물참나무林에서는 C 1.4ton, N 31kg, P 0.9kg, K 6.7kg, Ca 21kg, Mg 5.0kg이었다. 4. litter bag에 의한 綠葉의 分解은 12개월 후 잣나무綠葉이 최초 무게의 64∼68%, 물참나무綠葉이 32%로 감소했다. 5. 綠葉의 分解에 따른 養分이 殘存率은 12개월후 C·N·P·K·Ca·Mg 등 모든 養分에 있어 잣나무綠葉이 물참나무綠葉보다 현저히 높았다.

      • KCI등재

        한국산 가문비나무 자생집단의 침엽특성 변이

        송정호,허성두,강규석,양병훈,이정주 한국자원식물학회 200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2 No.1

        가문비나무의 유전자원 보존 전략 수립을 위해 3개 집단의 지리적 위치에 따른 침엽의 7가지 형태적 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하고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침엽의 평균생장은 침엽길이 15.11 mm, 침엽폭 1.43 mm, 침엽두께 0.42 mm, 침엽길이/폭 10.9, 침엽폭/두께 3.6, 유관속과 수지구와의 거리 0.47, 기공열수 17.4개로 나타났다. Nested 분산분석 결과 유관속과 수지구와의 거리 특성을 제외한 6가지 양적특성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 내 개체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형질들은 총 분산 가운데 집단 내 개체 간 보다는 집단간 차지하는 비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7가지 양적특성들에 대한 집단간 유연관계는 거리지수 0.4에서 계방산집단이 지리산과 덕유산집단과는 별개의 상이한 그룹을 형성하였으며, 유집군의 유형은 제2주성분까지가 전체 변이의 100%를 설명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ographic variation to support a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plan of rare endemic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 Carriere. Three populations of P. jezoensis were analysed using multivariate analysis for 7 characteristics of needle morphology.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seven characters of needle were 15.11 mm (needle length), 1.43 mm (needle width), 0.42 mm (needle thickness), 10.9 (length / width of needle), 3.6 (width / thickness of needle), 0.47 mm (Distance between resin duct and vascular), 17.4 ea. (number of stomata row), respectively. Nested analysis showed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as well a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in 6 quantitative characters. In 5 of 7 characters, variance components among popul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Cluster analysis using complete linkage method showed two groups (Mt. Gyebang populations was genetically distinct from the other two populations) to Euclidean distance 0.4. Among principal components, primary 2 principal components appeared to be major variables because of the loading contribution of 100%. Key words - Picea jezoensis, needle, multivariate analysis, conservation

      • KCI등재

        고로쇠나무 11개 자연집단의 잎의 형질 변이 분석

        송정호,허성두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4 No.5

        고로쇠나무 11개 자연집단의 잎의 14가지 형태적 특성에 대한 변이분석을 실시하였다. Nested 분산분석 결과 14가지 양적특성들 모두에서 집단간 및 집단 내 개체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형질들에서 총 분산 가운데 집단 내 개체 간 차지하는 비율이 집단간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간 분화정도를 알아보고 형질간 상호비교를 위하여 표준화시킨 Dij값은 엽신장/엽병장(0.90), 상열편폭(0.85) 및 엽신장과 중열편폭(0.83) 특성들이 다른 형질들에 비해 이탈정도가 큰 형질들로 나타났다. 또한 14가지 형태적 특성에 대한 전체평균 Dij값은 광양(1.36)과 청양(1.30) 집단이 집단분화가 가장 큰 값을 보인반면 울주(0.30)와 정선(0.44) 집단이 가장 작은 값을 보여 조사된 집단들 중 울주와 정선집단이 고로쇠나무 잎의 형태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평균집단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was examined in 11 natural populations of 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in Korea. Nested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opulations as well a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in all 14 quantitative characters. In all the leaf characters, variance component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among populations.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the ration of Blade length to Petiole length (0.90), Uower lobe width (0.85), Blade length (0.83), and Middle lobe width (0.83) showed the relative high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differentiation (Dij) among populations. Of the ten populations, Gwangyang (1.36) and Cheongyang (1.30) were highly differentiated based on the total mean Dij of fourteen morphological characters, while Ulju (0.30) and Jeongseon (0.44) were scarcely differentiated.

      • KCI등재

        잣나무 채종원에서 구과 착과수에 따른 구과 및 종자특성

        김인식,허성두 한국자원식물학회 201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e abundance and cone/seed characteristics to improve seed quality and seed orchard management of Pinus koraiensi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P. koraiensis seed orchards at Chungju in 2007. That year was a rich year of cone harvest and the average number of cone per tree was 2.5 times much than that of normal year. We collected the cones from all trees in the sample plot of the seed orchard and investigated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cone length, cone width and cone weight. According to cone abundance per tree,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eight classes and analysed by cone analysis method. There is a decreasing tendency of number of fertile scale, seed potential, percent of filled seeds, seed weight per cone and seed efficiency, when the cone number per tree is increased. Additio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to seed orchards management of P. koraiensi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잣나무의 구과 착과량에 따른 구과 및 종자특성의 변화 양상을 구명함으로써 잣나무 채종원의 효율적관리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7년충주 소재 잣나무 채종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전체조사목 중 96.3%가 착과되었으며 본 당 구과수는 평균27.4개였다. 본 당 구과 착과수에 따라 8개의 계급으로 나누어 분석을 했는데, 구과 착과수가 많아질수록 구과길이,구과폭, 구과무게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과착과수가 많아질수록 임성인편수, 종자생산능력, 충실종자율, 종자무게, 종자효율은 감소하고 둘째해 고사배주율은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종자결실이 풍년으로 구과가 다량 착과되는 해에는 평년에 비해 종자의 균일성 및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특히, 잣나무는 구과와 종자의 크기가 크고 무거울수록 포지와 조림지에서의 생장이 좋다는 보고가 있는 점을감안할 때, 결실 풍년으로 인해 종자의 평균적인 크기와 무게가 감소되는 경우 향후 조림지에서의 유묘생장도 저조할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결실이 풍년인 해에는 착과량을 인위적으로 적정수준으로 조절하거나 종자 정선 시 평년 수준의 종자크기 또는 무게를가진 것들을 선별하여 공급하는 방안 등 다각적인 대처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