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연변지역 조선족과 한족 농촌주택의 현대적 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 중국사회정책변화에서 본 주택평면변화를 중심으로

        허성걸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농촌주택은 그 지방 고유의 자연적, 사회문화적 환경 등의 제반조건에 따라 농민들에 의해 축적된 생활의 지혜를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중국의 연변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주택 연구는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전통주택에 한정되고, 원형에서 공간의 성격을 파악하는 현상적인 연구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 관점을 달리하여 연변지역의 조선족과 한족농촌주택이 중국사회정책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여 현재의 주거공간으로 이용되느냐를 비교분석하는 것은 주거문화의 변화성과 지속성을 이해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농촌주택의 흐름을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정책을 주요 연구의 단면으로 설정하여 연변지역의 조선족과 한족의 이주정착기(1860-1940년대) 농촌주거 공간구성의 특징에서부터, 인민공사화 및 문화대혁명정책시기(1950-1970년대)를 비롯하여,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정책시기(1980-1990년대),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정책시기(2000년 이후)에 이르기까지 중국사회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기거양식이 변화되면서 주택의 공간구조에 미친 영향을 조사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 정착기 조선족은 남녀노소에 따라 출입, 취침, 식사, 단란이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반면, 한족은 집안의 위계에 따라 취침 공간이 분리 되며, 출입과 식사, 단란은 공동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농업을 바탕으로 한 조선족 주택은 몇 간의 살림방과 농업에 적합한 부속 공간들을 가지고 있으나, 한족은 광업노동 종사를 목표로 생존에 필요한 공간이외의 부속 공간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인민공사화 및 문화대혁명정책의 영향으로 공동축사운영제도가 도입됨으로 인해 조선족주택내의 부속공간인 외양간이 소멸되고 그 자리에 창고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도시 외교의 일부 주택은 벽돌구조가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농촌에 전기화된 정미소가 등장함으로 인해 주택내의 방앗간이 소멸되었다. 인민공사화와 문화대혁명은 소수민족을 한족화(漢族化) 하려는 정책이었기 때문에 한족에게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이 당시의 한족주택은 기본적인 식(食)과 주(住)의 기능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혁개방 및 계획생육정책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개인의 능력에 따라 신축주택을 짓을 수 있었으며, 새로운 재료와 기술 도입으로 인해 벽돌구조 주택이 일반화 되면서 툇마루가 소멸되었다. 또한 마을단위의 공동축사운영제도가 소멸됨으로 인해 주택지 내에 독립적으로 외양간을 건축한다. 평면구조는 방과 방 사이가 개방적으로 변하고, 침대, 싱크대, 가스레인지 등의 입식가구의 도입으로 일부 주택 내에서는 좌식+입식이라는 혼합적 기거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조선족이 적고 한족이 많은 마을에서의 조선족 주택에서 부분온돌을 설치하는 주택이 출현하였고, 한족이 적고 조선족이 많은 마을에서의 한족 주택에서는 전면을 온돌로 설치한 주택이 출현하였다. 그리고 계획생육 정책으로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조선족의 온돌방과 한족 내옥(內屋)의 칸수가 줄어든다. 사회주의 신 농촌건설시기에는 정부에서 농촌주거환경개선정책으로 보조금을 주면서 주택의 구조와 지붕을 벽돌과 기와로 개량을 함으로 인해 초가집이 대량 소멸되었다. 또한 농촌주택에서는 화장실, 욕실, 싱크대와 같은 현대화 시설이 일반화 되면서 주택내의 기거양식은 좌식과 입식을 함께 쓰는 좌·입 혼합(坐立混合)형태로 변화한다. 그리고 핵가족화가 진행되고 남녀평등을 주장하면서, 방은 개방적인 통간형의 주택이 일반화 된다. 한족의 주택에서는 내옥의 캉(부분온돌)을 넓게 꾸며 조선족 주택의 전면온돌방식을 따랐다. 이는 두 민족이 온돌방식의 변화와 상호 융합된 결과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 조선족과 한족의 시대별 중국정책변천에 따른 주택 변화를 정리해보면 주택평면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조선족은 중국 사회정책의 영향을 받으며 변화되어온 반면, 한족은 영향을 받지 않고 변화되었으며, 생존에서 생활의 단계를 거쳐 진화함과 동시에 생활방식의 필요에 따라 공간을 만들어 왔다. 이상과 같은 변화과정 이후에도 연변지역 조선족과 한족의 농촌주택은 계속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그 변화의 방향은 앞으로 더 기다려 보아야 확인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가 보다 체계적이고 일반화된 결론으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농촌주거의 사례조사와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