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동류의식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과제

        함승수,박원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4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77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통일 후 남북한 동류의식 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지난 분단 시기 동안 남한과 북한은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 등 사회의 거의 모든 요소에서 이질화 되었다. 이질화 된 두 사회가 만나 통일의 과정에서 경험하게 될 다양한 사회 갈등을 고려할 때, 사회 통합의 문제는 더 이상 제도적 통합이나 경제적 통합의 하위 요소가 아니라 그 자체로 필수적 요소가 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를 위해 인간의 욕구가 사회 갈등의 조건이라는 ‘인간 욕구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 갈등의 형태를 분석했다. 사회의 갈등은 인간의 다양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부터 기인하며 이는 결국 동류의식을 형성하고자 하는 정체성의 갈등으로 확장된다. 사회적 갈등이 정체성 갈등으로 수렴된 통일 독일의 사례에 비추어 통일 한국 시대의 갈등은 곧 정체성 갈등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결론 및 제언 : 통일 후 사회의 갈등을 봉합해야 할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기독교교육의 공공성’과 ‘하나님 나라’ 개념에 대한 신학적 성찰로부터 도출하였다. 그리고 사회 통합의 구체적인 교육방안으로 시민과 제자로서의 이중 정체성에 대한 기독교교육을 통해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담론을 제시하는 동시에 신앙 공동체를 통한 재 사회화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xplore the Christian educational challenges of building a "Peer Consciousness" in North and South Korea after reunification. During the period of division,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came heterogeneous in almost all elements of society, including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Considering the various social conflicts that the two heterogeneous societies wil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the issue of social integration is no longer a side issue of institutional integration or economic integration, but has become an essential element in itself. This is why the Korean church and Christian scholars need to study in depth the social conflicts and integration issues that may arise before and after reunification. For the study, we analyzed the forms of social conflict based on the theory of ’‘Human Needs Theory’, which states that human needs are the conditions for social conflict. Social conflicts stem from the unfulfillment of various human needs, which in turn extend to identity conflicts that seek to form a sense of belonging. In light of the case of unified Germany, where social conflicts converged into identity conflicts, I predicted that conflicts in unified Korea will soon become identity conflicts.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that should suture the conflicts in the post-reunification society was derived from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concept of ’publicness of Christian education’ and ’kingdom of God’. As a concrete educational plan for social integration, I presented the discourse of love of God and love of neighbor through Christian education for dual identity as a citizen and disciple, and emphasized the need for re-socialization education through faith communities

      • KCI등재

        21대 국회 개정 사립학교법이 기독사학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함승수 한국교회법학회 2023 교회와 법 Vol.10 No.1

        In the face of rigorous challenges posed by laws and systems that curtail school autonomy, Christian schools find themselves in a difficult position, not only regarding education based on Christian educational philosophy but also in attempting to autonomously manage school operations. The 21st. National Assembly revised the Private School Act, which mandated the first written test for the appointment of new teachers in private schools and forcibly entrusted the authority to the superintendent of the city and province.* Visiting Professor, Soongsil University After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Act, those who wish to become teachers in private schools must take the first written test organized by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Moreover, they must be included in a certain multiple to be eligible for selection as teachers through the recruitment process of private schools. This entails two aspects of legal conflict: the "Written Test Regulation" and the "Forced Delegation of Authority to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t the City and Province Level." As a result, religious private schools, particularly Christian schools, suffer from the dilution of their founding ideals due to this legal clash. Especially for Christian schools, teachers are the most crucial factor, and limiting the appointment authority of teachers in Christian schools is equivalent to undermining the foundation of the school's existenc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schools should be able to explain the concepts of private school autonomy and the public nature of education in a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private school law, which restricts the right to appoint teachers, should actively establish a foundation for Christian schools to realize their original founding principles through legal responses such as "constitutional complaints," "amendment of enforcement ordinances," and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law."Members of Christian schools should feel a greater sense of responsibility, feeling the reality of private schools today, which have become the subject of doubt, distrust, and control. And Christian schools should take the lead in enhancing school transparency and playing the role of light and salt that can enhance the public nature of education.

      • KCI등재

        평화교육을 통한 기독교 통일교육 방향 연구

        함승수,황 철,송일섭,권형준,정대훈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2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통일 준비와 교육의 현재를 진단하며 기독교 평화 교육의 측면에서 한국교회의 통일 교육의 방향과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시작되었다. 평화와 통일이라는 단어가 어느 때보다 가깝게 느껴지는 시대가 되었지만, 한편 통일이라는 것이 생각만큼 요원한 일도 아니기 때문에, 통일 교육은 한국교회가 준비해야 할 시급한 사명 중 하나이다. 한국 교회의 통일 교육을 진단하기 위해 통일선교의 역사와 교육의 흐름을 고찰하고, 다양한 기관들의 통일교육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통일에 대한 신학적 토대를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대상과 연령에 따른 체계적이며 분명한 교육 커리큘럼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평화교육을 기반한 기독교 통일교육 방안을 비-인간화(De-humanization)된 개인들의 재-인간화(Re-humanization) 과정을 통해 모색하였다. 재 인간화된 개인들은 하나님과의 수직적인(Vertical) 관계를 기반으로 공동체와 사회 속에서 수평적인(Horizintal) 관계를 만들어 냄으로써 평화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는 의식화(Conscientization)와 프락시스(Praxis)를 통한 교육을 통해 평화 교육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하나님과 화평을 경험한 개인은 평화는 나와는 무관하며 특정한 사람들에 국한된 개념이라는 반(反) 평화적 인식에 대한 각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내 앞에 놓인 불의한 현실에 대한 냉철한 분석이 이루게 하는 의식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이 유발되고 다시 현실에 대한 진보된 각성을 가능하게 하는 반성을 통해 프락시스(Praxis)를 실천하는 평화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기독교 평화교육은 첫째, 기독교가 개인의 구원을 강조하는 공동체적 차원을 포함하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하며 둘째, 교육의 목표가 단순한 앎의 전달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통찰을 기반으로 통일이라는 변혁을 이루어 내는 실천으로 나가야 한다고 도전한다. 그러므로 ‘교육이 변혁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외침은 평화와 통일을 과제로 부여받은 한국교회에게 실제적인 도전과 이를 실행할 지침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church's preparation for unification and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Korean church's unification education in terms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It is a time when the words peace and unification feel closer than ever. At the same time, however, because education for reunification is a mission for the Korean church to prepare. In order to diagnose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Korean church, the history of unification mission and the flow of education wer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ological basis for unification needs to be firmly establish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and clear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the object and age. The study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peace educatio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humanization of de-humanized individuals. Rehumanized individuals can create peace by creating horizontal relationships in community and society based on their vertical relationship with God. Paulo Freire, in particular, saw that this peace education was possible through education through Conscientization and Praxis. The individual who experiences peace with God goes through a conscious process that starts with awakening the anti-peace perception that peace is irrelevant to me and confined to certain people, and that a cold analysis of the unjust reality before me is made. Afterwards, peace educ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process of practicing Praxis through reflection that enables concrete actions to overcome reality and enables advanced awakening to reality. In that sense, Christian peace education presupposes that Christianity should be an education that involves a community dimension beyond emphasizing the salvation of individuals. The goal of education is not just to convey knowledge, but also to practice the transformation of unification. The cry, “Education can be a means of transformation,” is a practical challenge and a guide for the Korean church, given peace and reunification as a challenge.

      • KCI등재

        한국 입시 위주 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과 제언

        함승수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8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7

        본 연구는 한국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인 ‘입시 위주의 교육’을 극복하기 위해 입시 위주의 교육이 일어나게 된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독교적 제언을 바탕으로 입시위주 교육을 극복하기 위한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역할을 모색하는데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하여 학생들은 입학하는 학교에 따라 서열화 되고, 계층화되고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은 과도한 사교육 시장을 만들어 가계 경제에 악영향을 주며 공교육 현장을 위축시키고 있다. 이러한 개인적, 사회적 대가를 지불하면서 까지 한국사회에서 입시 위주의 교육이 해결되지 않고 오히려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의식 속에 내재된 입시에 대한 과도한 인식은 역사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고착화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통일신라시대의 과거제도로부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들어서 ‘숭문주의’ 사상과 ‘사농공상’의 사상, ‘입시 양명 주의’와 ‘가족주의’를 통해 나타났으며, 일제 강점기 시대를 거치면서 입시위주 교육의 문화가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었다. 이는 다시 임금과 구직의 차이를 일으키는 교육의 사회적 선발 기능의 강화를 통해 사회적 현상으로서 공고화 된다. 결국 교육은 입시라는 원죄로 말미암아 교육에 사회구조적인 문제가 투영된 수많은 비교육적 요소를 내포한 왜곡된 교육 문화를 가지게 된 것이다. 입시 위주의 교육은 교육의 목적을 왜곡하고 훼손할 뿐 아니라,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내용, 교수방법 등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입시위주의 교육의 이면에 작동하고 있는 높아지고자 하는 상향성의 욕구를 성경은 경계하라 이야기 한다.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입시를 교육의 수단으로 재 개념화하여 왜곡된 욕심이 교육에 투영되지 않도록 자각하고 참회해야 한다. 또한 입시위주의 교육이 학생들을 단편적으로 평가하여 일반화된 타자가 되게 함으로써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다양한 재능과 은사가 개발되는데 방해가 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하나님의 창조는 다양성을 추구하는 창조였으며 하나님 나라의 평가는 단순히 계량화된 수치로서 의미가 아니라, 합목적성에 기반을 둔 본질적인 평가임을 알아야 한다. 한국교회는 한국 사회의 저변에 깔려있는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며, 더 나아가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교육의 영역에서 선한 영향력을 끼칠 데 청지기로서의 사명을 감당한다 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and overcomes the historical and social factors of exam centered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overcome the chronic problem of Korean education. Because of the exam centered education system, students are seriated and ranked according to the schools they enter. The exam centered education system has created an excessive private education market, damaging the household economy and reducing public education. Why is the exam centered education system in Korean society getting worse without being resolved?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excessive perception of entrance exams embedded in Korean society's consciousness for a long time has been fixed for a long time in history. It start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emerged in earnest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t was strengthene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has been established as a social phenomenon by strengthening the social selection function of education that makes the difference between wages and jobs. In the end, the exam centered education system has led to distorted educational culture that contains many non-educational elements. Educational education focused on exam centered education system not only distorts and undermines the purpose of education, but also affects education courses, education assessments,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The Bible says that people should be wary of the desire for higher standards that are working behind such exam centered education system. The Korean church and Christians should recognize and repent that distorted greed is not reflected in education by re-conceptificating the entrance examination as a means of educ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that a exam centered education system is preventing students from developing various talents and gifts created by God by making them a generalized hitter. God's creation was the creation of diversit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assessment of the kingdom of God is not just a quantified figure but an essential assessment based on suitability for purpose. The Korean church is important in that it can bring about changes in the perception underlying Korean society. It is not until the Korean church made a change of behavior that it handled the role of faithful administrator well.

      • KCI등재

        Z세대를 위한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및 새로운 기독교교육 방향 제언

        함승수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7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Z세대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Z세대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안정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현세 지향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 느슨한 연대의식을 추구한다. Z세대들은 신앙적 토대가 약하며 일상에서 신앙 생활하는데 소극적이며, 코로나는 Z세대의 신앙을 더 약화시킨 요인이 되었다. Z세대들은 언택트 신앙생활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없으나 그 실효성에는 의문을 가지고 있다. 향후 신앙생활에 대해 확신이 없는 Z세대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독교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요구된다. ‘신앙형성’의 차원에서 ‘Z세대를 정향’해야 한다. ‘거대담론’ 중심의 기독교교육에서 벗어나 일상의 ‘미시적 주제’들을 활성화하며 시대 안에서 ‘복음을 변증’함으로서 ‘기독교교육의 현장’을 확장해야 한다. Z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기독교교육은 공동체적 교육(Community)을 추구하고, 언택트교육(Untact)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며, 기독교교육의 공공성(Public)을 증진시키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Z세대 통일인식 함양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성찰

        함승수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9

        본 연구는 통일을 마주하고 있는 Z세대들의 통일 의식 함양을 위한 기독교 통일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실효성 있는 기독교 통일교육을 준비하기 위해선 기존 통일교육의 한계를 이해하는 동시에 새로운 세대의 세계관과 가치관을 반영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1970년대로부터 본격화된 정부 차원에서의 통일교육이 오늘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변화를 겪어 왔는지 개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Z세대들의 세대적 특징과 이들의 통일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민족주의⦁경제편익⦁이데올로기’에 기반한 기존 통일교육의 한계를 지적하고, 삼위일체론의 신학적 근거를 토대로 Z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기독교 통일교육 방향을 Career develpoment(진로연계), Untact(교육방법), Process(과정)’이라는 단어를 통해 제언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for instilling a sense of unity among Generation Z. To prepare for effectiv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while simultaneously incorporating the worldview and values of the new generation. From this perspective, I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nges in government-level unification education,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1970s and continues to the present day. Additionally, I analyzed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and their perception of reunif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aim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grounded in "nationalism, economic benefits, and ideology." Drawing on the theological basis of the Trinity doctrine, I propose new directions for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tailored to Generation Z, using the keywords "Career Development," "Untact" and "Process."

      • KCI등재

        북한 '교육'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제언

        함승수,Ham, Seung su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2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1

        본 연구는 북한 '교육'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발전 방향을 제언하고자 시작되었다. 지난 77년의 분단 시기 동안 남북한은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 등 사회의 거의 모든 요소에서 이질화를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통일의 완성은 남북한의 이질감을 극복할 수 있는 사회적 통합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 북한 '교육' 연구의 필요성이 도출된다. 교육은 문화와 역사를 전수할 뿐 아니라 사회의 존속과 변혁 그리고 공동체성을 이끌어내는 기반을 마련하기 때문이다. 포괄적인 북한 '교육' 연구의 방향을 정립하는 것은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 한국교회와 기독교교육자들의 사명이라는 측면에서 북한 '교육' 연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칠 수 없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독교교육 영역에서의 '북한 연구'는 북한 지역 복음화를 위한 '북한 선교 연구'의 하위 연구로 치부되어 온 경향이 짙다. 현장에서는 교회에서 활용 할 수 있는 기독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지만, 통일 후 사회통합의 기반을 마련하고 통일 국가의 발전을 이끌어 갈 교육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거시적 차원에서의 연구 흔적은 찾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 '교육'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방향을 제언하고자 시작되었다. 연구를 위해 일차적으로 '북한 연구'의 동향과 쟁점을 세대별 구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최근 북한에 대한 연구가 연구 주제와 방법론에 있어 확장되고 있으며, 거시적 차원에서 국가차원의 정책과 체제에 대한 기존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최근의 연구들은 일상의 차원에서 북한의 모습을 조망하는 미시적 연구로 분화하고 있다는 특징을 발견하였다. 이후 '북한 교육 연구'의 주요한 흐름을 시계열적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다. 1970년대 본격적으로 시작된 북한 교육 연구를 태동기(70년대)-과도기(80년대)-도약기(90년대)-확장기(2000년대)-발전기(2010년 이후)로 나누었고, 각 시기별 연구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초기 북한 교육 연구 역시 국가의 정책적 측면에 이루어져 정치·사회적 연구물의 성격이 강했지만 최근 연구들은 그 주제와 내용이 다양해지고 있는 변화의 추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북한에 대한 연구 및 연구방법론의 주요한 역사적 흐름에 비추어 기독교교육 영역에서의 북한 교육 연구의 현안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1980년대 비로소 시작된 기독교교육영역에서의 북한 연구는 대다수의 연구의 방향이 '교회의 통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라는 공학적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한편 기독교학교를 비롯한 공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독교적 통일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개발 및 북한 사회를 복음화 하는데 필요한 북한 교육 자체에 대한 연구 활성화의 필요성을 발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교육 영역에서의 연구도 그 주제와 내용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변화라 평가할 수 있다. 북한연구와 북한 교육 연구의 동향과 그 쟁점을 바탕으로 한국교회와 기독교교육 영역에서 북한 연구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으로 '탈 이데올로기적 연구 토대 구축', '1차 연구 자료(Raw Data) 확보', '연구 주제 및 연구방법론의 활성화', '연구 역량 강화' 등 4가지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언하였다. 본 연구가 사회통합을 준비할 수 있는 다양한 후속

      • KCI등재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그리스도의 삼중직과 성서의 3대 명령에 기초하여

        함승수(Seungsu Ham)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4

        한국 사회의 근대 교육을 이끌었던 중심에 사립학교가 있었고 사립학교의 중심에 기독교학교가 있었다. 기독교학교는 서구 근대교육이 이식되는 적극적인 통로였을 뿐 아니라, 민족정신의 중요한 거점으로 실력과 신앙을 겸비한 기독교적 인재를 양성하여 나라 발전의 화수분이 되어왔다. 그러나 오늘날 기독교학교는 평준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심각한 정체성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독교학교의 일반적 유형을 분석하고, 그리스도의 삼중직과 성서의 3대 명령을 통해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학교라 할 때 미션스쿨(Mission School)과 기독교학교(Christian School)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지만 미션스쿨이 복음화(evangelism)라는 성경의 지상명령을 이루기 위해 세워진 학교라면, 기독교학교는 제자화(discipleship)된 기독교적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서 전문화된 학교를 의미한다. 기독교학교의 의미는 ‘복음화’를 중요한 가치로 두는 ‘기독교’와 ‘전문성’을 중요한 가치로 두는 ‘학교’가 어떻게 조합되고, 어느 부분을 강조하는가에 따라 기독교학교의 의미와 유형이 보다 선명해진다. 그리스도의 삼중직(선지자, 왕, 제사장)과 성서의 3대 명령(창조명령, 대명령, 대위임령)은 오늘날 기독교학교의 정체성과 직무를 규정하는 주요한 신학적 틀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리스도의 삼중직과 성경의 3대 명령을 연결하여 핵심적 실천사항을 포함한 확장된 개념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온 세상을 창조하시는 ‘성부’ 하나님의 직무는 그리스도의 ‘왕적’ 직무이자 기독교 인재를 양성하는 기독교학교의 ‘사회발전’의 직무로 연결된다. 이는 곧 기독교학교를 향한 ‘창조명령’이다. 온 인류의 구원자 되시는 ‘성자’ 예수님은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무로 나타나며, 이는 다시 기독교학교의 ‘복음화’ 직무로 연결된다. 기독교학교를 향한 ‘대위임령’이다. 또한 중보 하시는 보혜사 ‘성령님’은 위로자 되시는 그리스도의 ‘선지자’의 직무로 이는 다시 ‘사회통합’을 이루는 기독교학교의 직무로 연결되는데, 이것이 기독교학교를 향한 ‘대명령’이다. 이렇듯 기독교학교는 왕으로서, 제사장으로서, 선지자로서 정체성과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창조명령과 대위임령 그리고 대명령으로 연결되어 사회발전과 복음화 및 사회통합을 이루는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을 드러낸다. Private schools were at the center of modern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Christian schools at the center of private schools. The Christian school has not only been an active channel for Western modern education to be transplanted, but it has also been a source of national development by cultivating Christian talent who combines talent and faith as an important base of national spirit. Today, however, Christian schools face a serious identity crisis. To overcome this, we analyze the general types of Christian schools and study the three roles of Christ and the three commands of the Bible to find out what the Christian schools are. Generally, Christian schools use mission schools and Christian schools in the same sense, but they say mission schools are schools for evangelism, and Christian schools are schools that cultivate disciplineed Christian talent. Christian schools have a clearer mean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words "Christian" and "School." The Christian school that this study is aimed at is a school that pursues both. The three roles of Christ and the three orders of the Bible can be a majorological framework that defines the identity and duties of today"s Christian schools. The Father God, who creates the whole world, leads to the role of the king of Christ. It is then linked to the role of a Christian school that trains Christian talent. This is a ‘The Creation Mandate’ for Christian schools. Jesus, the savior of all mankind, has the duties of the priest of Christ. This in turn leads to the evangelical role of Christian schools. It is ‘The Great Commission’ for Christian school. The Holy Spirit is the task of the consoling prophet of Christ, which in turn leads to the task of the Christian School for Social Integration, ‘The Great Commission’ for Christian schools. Christian schools have identity and role as kings, priests and prophets. It is linked to ‘The Creation Mandate,’ ‘The Great Commission,’ ‘The Great Commission’ revealing the identity of Christian schools for social development, social integration and evangelicalization.

      • KCI등재후보

        사립학교법 개정에 대한 신학적 고찰: 사회적 삼위일체론에 근거한 교육 공공성과 사립학교 자율성의 재개념화

        함승수 ( Seungsoo Ham ) 한국교회법학회 2021 교회와 법 Vol.7 No.2

        한국 사회의 근대 교육을 이끌었던 중심에 사립학교가 있었고 사립학교의 중심에 기독교학교가 있었다. 기독교학교는 서구 근대교육이 이식되는 적극적인 통로였을 뿐 아니라, 민족정신의 중요한 거점으로 실력과 신앙을 겸비한 기독교적 인재를 양성하여 나라발전의 화수분이 되어왔다. 그러나 오늘날 기독교학교는 평준화 정책 등의 영향으로 심각한 정체성 위기에 직면해 있다. 기독교 건학이념을 구현할 수 없는 기독교학교는 상상할 수 없다. 그러나 평준화 정책 이후 사립학교의 자율성을 제한하는 교육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되어 오늘날 건학이념을 구현할 기독교학교의 자율성은 상당히 훼손되어 있다. 특히 현 정부에서는 교육의 공공성 증진과 투명성 강화를 목적으로 사립학교들을 공영화 시키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고, 21대 국회에서는 이를 뒷 받침하는 사립학교법 개정안을 발의하여 처리하고 있다. 일방적인 사학 공영화 정책을 바라보며 과연 이 땅에 기독교학교는 존립할 수 있는지 근본적으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의 정상화를 위한 존립기반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기독교학교를 포함한 사립학교의 위기는 교육 공공성과 사립학교 자율성이 상호 대립적으로 개념화 되어 있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재개념화 할 수 있는 동력을 신학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에서 찾으려 하였다. 사회적 삼위일체론은 국가와 학교의 직선적 위계구조를 극복하고, 다양성 안의 일치 원리를 통해 공공성과 자율성을 상호 보완적으로 재개념화 할 수 있는 공동체의 원형이 되기 때문이다. 한국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은 다음세대들이 학교에서도 기독교 가치관에 따라 교육 받을 수 있도록 체계적이며, 전문적인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 그래서 이번 사립학교법 개정으로 촉발된 기독교학교에 대한 관심과 위기의식은 오히려 이 땅에 기독교학교의 정체성이 회복되고 온전한 기독교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토대가 될 수 있길 소망한다. Private schools were at the center of modern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Christian schools at the center of private schools. The Christian school has not only been an active channel for Western modern education to be transplanted, but it has also been a source of national development by cultivating Christian talent who combines talent and faith as an important base of national spirit. Today, however, Christian schools face a serious identity crisis. It is impossible to imagine a Christian school that cannot implement the founding philosophy of Christianity. After the Equalization Policy, education policies that limit the autonomy of private schools have been continuously implemented, and the autonomy of Christian schools that will realize the founding ideology today is considerably undermined. In particular, the current government is promoting a policy of making private schools public school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publicity and enhancing transparency in education. The 21st National Assembly has proposed and is processing amendments to the Private School Act to support this. Looking at the unilateral private school policy, I am fundamentally worried about whether Christian schools can exist in this land. This study was initiated to seek a foundation for the normalization of Christian schools. The crisis in private schools, including Christian schools, was recognized as starting with the conflicting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publicness and private school autonomy, and sought to find the power to re-conceptualize it in the 'Social Trinity theory' of theology. This is because social trinity theory is the archetype of a community that can overcome the unilateral hierarchy of the state and schools and mutually reinvent public and autonomy through the principle of 'Unity in Diversity'.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schools should be able to respond systematically and professionally so that the next generation can be educated in accordance with Christian values in schools. I hope that the interest and sense of crisis in Christian schools triggered by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Act will serve as a new foundation for the restoration of the identity of Christian schools and full Christian education on the 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