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경기에서 지능인식모델을 이용하기 위한 대상체 인식오류 보상방법에 관한 연구

        한준수(Junsu Han),김종원(Jongw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5

        본 논문은 인공지능 모델의 하나인 YOLO(You Only Look Once) 인식모델 기반의 이미지 내 객체인식을 위한 활용 환경에서 딥 러닝 네트워크를 통한 고속 이동 대상체 인식의 가능성 향상과 생활 속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2차적인 정보의 가공을 통한 의미적 데이터 수집 방법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식모델에서 이동 대상체 인식오류는 카메라의 프레임 속도와 대상체의 이동속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미인식과 대상체와 인접한 환경에서의 유사물체가 존재로 인한 오인식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보상하는 데이터 수집 방법을 제안했다. 실제 유사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스포츠(테니스 경기)를 대상으로 획득된 이미지에서 오류의 원인요소를 비전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과 처리구조를 연구하여 유효한 2차적인 데이터 수집의 효과성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데이터 수집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일반인도 스마트폰 카메라의 간단한 촬영을 통해 스스로 건강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 및 건강관련 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가 가능함을 보였다. This paper improves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fast-moving objects through the YOLO (You Only Look Once) deep learning recognition model in an application environment for object recognition in images. The purpose was to study the method of collecting semantic data through processing. In the recognition model, the moving object recognition error was identified as unrecognized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ame rate of the camera and the moving speed of the object and a misrecognition due to the existence of a similar object in an environment adjacent to the object. To minimize the recognition errors by compensating for errors, such as unrecognized and misrecognized objects through the proposed data collection method, and applying vision processing technology for the causes of errors that may occur in images acquired for sports (tennis games) that can represent real similar environments. The effectiveness of effective secondary data collection was improved by research on methods and processing structures. Therefore, by applying the data collectio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ordinary people can collect and manage data to improve their health and athletic performance in the sports and health industry through the simple shooting of a smart-phone camera.

      • KCI등재

        신라 통일기 二節末幢의 창설과 병참 지원

        한준수(Han, Jun-s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7 No.-

        이절말당은 신라 23군호의 하나로서 병참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군단 명칭인 ‘節末’에 대한 어의 분석에 더하여 군사적 實在는 중국 삼국시대에서 확인된다. 吳 孫權이 軍糧을 담당하던 군관으로 ‘절도’를 두었는데, 唐에 이르러 병사를 지휘하는 節度使로 완성되었다. 절도가 군량을 담당하던 군관에 시원을 둔 것인데, 국가 성립기부터 나당 전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전투를 치렀던 신라에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신라 군사력의 토대로서 병참 조직이나 시스템은 운용되고 있었다. 사료에 보이는 輸를 비롯한 보급, 수송을 뜻하는 용어들은 輜重의 사례로서 당시 신라군의 병참 운용을 잘 보여준다. 특히 기병, 보병, 軍馬, 馬草 등의 관리는 체계적인 병참의 가능성을 짐작케 한다. 김춘추의 대당사행과 당제도입은 새로운 지배질서의 정립으로서 군사분야에 변화를 촉진시켰다. 병참 역시 그에 해당했는데, 당에서 숙위하던 병부 소속의 대감은 신라의 군제정비에 있어 긴요한 역할을 하였다. 여・제 정복 과정에서 나당연합군의 효율적 운용은 중요한 사항이었으므로 당군에 대응되는 신라군의 작전과 군단운용에 정비가 이루어졌다. 대규모의 전쟁에 소요되는 병력이나 물자의 효율적 보급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이절말당이 창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여・제 정복이 끝나고 나당 전쟁이 시작되면서 병참군단에 다시 변화가 이어졌다. 한강 유역의 서부 전선과 강원 지역의 동부 전선으로 전역이 확대되면서 신라군은 보다 효율적인 병참 운용이 요구되었다. 二罽幢과 二弓의 사례처럼 이절말당은 한산주절말과 우수주(하서주)절말로 분립되었다. 자녹의 금색이 한산주, 녹자의 금색이 우수주(하서주)에 각기 설치되어 전문적인 병참군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신라군의 승리에 근본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Yijeolmaldang(二節末幢) is believed to have served as a member of the 23 legions of Silla. Military reality is confirm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China. In Wu(吳) Country, Jeoldo(節度) were appointed as military officers who were in charge of military service, and it was completed as a Jeoldosa(節度使) officer in charge of soldiers during the Tang Dynasty. It appears to have been introduced to Silla, where numerous battles were fought from the founding of the state to the Silla-Tang War(羅唐戰爭). Kim Chun-chu"s visit to Tang and the introduction of the Tang’s system facilitated a change in the military sector by establishing a new ruling orde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Na-tang Allied Forces(羅唐聯合軍) was an important matter, so Silla army operations and corps operations were maintained in response to the Tang army. In the process, it is estimated that Yijeolmaldang(二節末幢) was created. As Silla-Tang War(羅唐戰爭) began, changes continued to be made to the corps in charge of military affairs. As the war expanded to the western front of the Han River basin and the eastern front of the Gangwon area, Silla demanded more efficient supply of the area. Yijeolmaldang(二節末幢) was divided into Hansanjujeolmal and Usuju(Haseoju)jeolmal. It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Silla"s victory, performing its role as a professional military unit.

      • KCI등재
      • KCI등재

        신라 통일기 新三千幢의 설치와 운용

        한준수(Han jun-su)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신라는 나당연합을 통해 백제·고구려를 멸망시킴으로써 삼국통일을 달성할 수 있었으나, 唐은 나당동맹을 통해 자신들의 팽창전략을 실현하고자 했기에 양국의 충돌은 피할 수 없었다. 신라가 옛 백제지역에 대한 지배를 확립하면서 충돌은 격화되었고, 한강 이북의 옛 고구려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강원 영서지역까지 전역이 확대되면서 戰勢가 악화됨에 따라 신라는 영서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하는 군단의 증설이 필요했다. 나당전쟁의 격화로 전역이 확대되면서 군사적 불확실성이 증폭되자 강원 영서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하는 신삼천당 3개 군단이 설치되었다. 우수주(춘천)는 예로부터 중요한 교통로상에 위치했으며, 나당전쟁 동안 신라 동부전선의 전진기지이자 교두보의 위상을 지니고 있었다. 교통로 후방인 내토군(제천)에도 신삼천당이 두어졌는데, 동부전선의 확산 저지와 영서로 방어를 위함이었다. 의림지가 위치한 내토군은 변방을 지키는 병사들을 위한 전방의 중요한 식량공급 기지였으며, 방어와 보급의 이중 기능을 담당했다. 내생군(영월)에도 두어졌는데, 나당전쟁의 공간확대와 더불어 시간확대가 영향을 미친 결과였다. 신라 동부전선의 방어를 위해 창설된 신삼천당은 편제와 운용에 있어 지리적 특성이 고려되었다. 신라 중고기 보병군단으로 존재했던 삼천당을 모범으로 하여 파생된 군단이었다. 병력구성에 있어서는 지휘관의 경우 왕경인과 지방민이 병용되었다. 현지 출신의 군관을 참모나 하급군관 등으로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작전수행을 할 수 있었으며, 일반병졸의 경우 지방민이 보다 더 활용되었다. 병졸의 충원방식은 자원병이 주축을 이루었는데, 전투력에 있어 적극성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신라 중고기부터 기능했던 삼천당을 기준으로 함과 동시에 진흥왕대 영역확장의 理想을 재현하려던 취지가 반영된 결과이기도 했다. Silla could attain the unification of three nations by destroying Baekje and Goguryeo through Silla-Tang coalition; however, Tang failed to avoid the collision of two nations as it meant to realize its own expansion strategies through Silla-Tang alliance. The collision got severer as Silla established its ruling over the old Baekje’s area, and this developed around the old Goguryeo’s area on the north of the Han River. But the war was extended even to Yeongseo of Gangwon, and it was transmitted to Silla as well; therefore, it was needed to increase corps that could guard the Yeongseo area. As military uncertainty increased in this way, three Shinsamcheondang corps were installed to guard Yeongseo of Gangwon. Woosuju(Chuncheon) had been located on the crucial traffic route from a long time ago, and it had its status as an advanced base and bridgehead of the eastern front in Silla during the Silla-Tang War. In Naetogun(Jecheon), the back of the traffic route, too, Shinsamcheondang was set, which was to prevent the extension of the eastern front and defend Yeongseo area. Naetogun where Uirimji was located was a crucial food supply base in the front for the soldiers guarding the frontier, and it played dual roles, defense and supply. It was set in Naesaenggun(Yeongwol), too, and it was the result of both spatial and temporal extension of the Silla-Tang War. In founding Shinsamcheondang to defend the eastern front of Silla,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in terms of organization and operation. It was the corps derived by taking as an example Samcheondang which had existed as an infantry corps during the medieval period of Silla. In the organization of the troops, both capital people and local people were appointed as commanders. Local military officers were used as advisors or subordinate military officers, so it was possible to launch operations more effectively. As general soldiers, local people were utilized more. In the modes of recruiting soldiers, volunteer soldiers were the most, which was because it was possible to secure aggressiveness in terms of fighting power by it. This was the result of the intention to take as the reference Samcheondang that had functioned from the medieval period of Silla and also realize the ideal of expanding the area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 KCI등재

        신라하대 軍鎭세력의 대두와 율령질서의 이완

        한준수(Han, Jun-s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0 No.-

        신라는 성덕왕대 唐으로부터 지배를 공인받은 대동강 이남의 패강지역에 경덕왕대 14개 군현이 설치됨으로써 실질적인 영역지배가 이루어졌다. 패강진은 패강이남에서 예성강 이북에 이르는 한주 지역을 행정적으로 관리하며, 군사적 대치상태인 북쪽의 발해에 대비한 군사거점의 역할도 수행했다. 이러한 패강진은 기존 신라 지방통치 내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방식으로 군진세력의 태동이었다. 패강진의 운용을 통해 서북지역의 안정을 확보한 신라는 대외교역의 요충지로서 서남해안을 주목했다. 김헌창의 난 등으로 지방통치와 군사력의 정비가 필요했던 중앙정부는 현실적인 조치를 취하였다. 당에서 활동했던 장보고에게 청해진 설치를 허가하였는데, 半관영의 군진으로서 당의 번진체제와 비슷한 형태였다. 청해진이 번영을 누리자 군진이 증설되었는데 당성진의 설치가 그것이었다. 그런데 왕위계승전에 장보고와 청해진에 놓이게 되면서 상황이 변화했다. 중앙정부에 의해 장보고가 제거되면서 청해진도 혁파되었다. 군진 역시 통제가 강화되었는데, 혈구진의 설치가 이를 증명했다. 문성왕 이후 경문왕, 헌강왕대까지 소강상태를 맞았지만, 임시변통책으로 상황에 대처하였기에 체제붕괴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정강왕을 거쳐 진성여왕대 이르러 집권세력이 무능한 정치행태를 보이자 농민반란 등으로 반사회적 혼란과 분열이 폭발되었다. 군진세력은 골품제에 기반한 고대적 질서보다는 새로운 질서를 염원하며 반신라적 성향을 보였고, 마침내 중앙정부를 제치고 독자적 대외교섭을 전개하는 세력까지 등장했다. 결국 신라하대 지배체제 내부에서 성장했던 군진은 청해진 설치 이후 세력이 확대되었으나, 장보고의 난 이후 위축되었고 왕위계승전 등으로 정치체제가 이완되고 골품질서로 회귀함에 따라 이탈하기 시작했다. 골품제에 기초한 고대적 질서에 대하여 새로운 중세사회로의 이행 추구에 다름 아니었다.

      • KCI등재

        신라 통일기 三邊守幢의 성립과 의미

        한준수(Han, Jun-s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6 한국고대사탐구 Vol.22 No.-

        신라는 당과의 군사적 동맹을 통해 삼국통일이라는 대업을 이룰 수 있었다. 하지만 장기간의 전란 끝에 도래한 평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삼국통일의 토대로 작용했던 나당 동맹이 근본적인 모순과 갈등에 의해 전쟁국면으로 전환되었다. 당에 맞서 신라가 항전을 시작한 것이다. 나당 간의 전쟁이 본격화 되면서 신라는 대응력을 강화해 나아갔다. 당군과 전투시 전역이 확대되거나 패퇴할 경우 신라본토까지 침략받아 자칫 국가의 존립까지 위협받을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당과 직접 대면하게 되는 한산주 우수주 하서주에 「한산변」ㆍ 「우수변」ㆍ 「하서변」 이라는 첨병부대를 신설하였다. 문무왕 후반기(668~673)에 3개 군단은 개별적으로 존재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산변」은 육상과 수상의 요충지인 임진강 유역 중성현(칠중성) 일대, 「우수변」 은 비열홀 전투(681)가 전개되었던 삭정군, 「하서변」은 진흥왕대 달홀주가 설치되었고 금강산이라는 자연지리적 요건을 겸비한 고성군으로 추정된다. 「삼변수당」이라는 군단 명칭은 나당 전쟁이 종료되고 국경이 확정되기 전까지 등장할 수 없는 표현으로서 전쟁이 지속되던 문무왕대까지는 사용이 어려웠다. 6정이나 5주서가 최종적으로 신문왕대 마지막 군단이 두어져 완성된 것처럼, 3개 군단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다가 신문왕대 군단통합이 진행되면서 「삼변수당」으로 完編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신문왕대 9주 체제가 완비되고 ‘통일신라’라는 실질적 영역화가 진전된 후 지방제도 정비를 바탕으로 완성된 군사조직이었다. Silla could realize a great achievement of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States through a military alliance with Tang. But the peace that came along after the long-lasting war did not last long. The Silla-Tang alliance that worked as the ground fo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States did reveal its fundamental contradiction and conflict, which led to the war situation after all. Against Tang, Silla began its fighting. As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became serious, Silla began to strengthen its power of confrontation. It is because the state’s existence itself might get threatened if the fight against Tang’s corps got extended or defeated, and it invaded even the mainland of Silla, too. In Hansanju Woosooju Haseoju which directly confronted Tang, it newly established advance guard units called 「Hansanbyeon」ㆍ「Woosoobyeon」ㆍ「Haseobyeon」 . The document says they were installed in the 10th year of King Sinmun’s reign, but it is thought that it was maintained in the latter period of King Munmu (668~673)’s reign. It is estimated that 「Hansanbyeon」 should be around Jungseonghyeon (Chiljungseong) in the basin of Imjin River, the strategic point of land and water, 「Woosoobyeon」 may be Sakjeong-gun where Biyeolhol Battle (681) developed, and 「Haseobyeon」 should be Goseong-gun where Dalholju was installed in King Jinheung’s reign and geographical conditions like Mountain Geumgang were favorably secured. The name of corps as 「Sambyeonsudang」 could not be used for sure before the war ended and the border was fixed, so it could not be used until King Munmu’s reign when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continued. As 6 jeong or 5 juseo was finally completed with the last corps installed in King Sinmun’s reign, about 「Sambyeonsudang」 , too, it is thought that the three corps existed individually, and then, the names became unified in King Sinmun’s reign. In King Sinmun’s reign, the 9-ju system was completed, and the corps integration was realized, and after the practical localization of ‘unified Silla’ proceeded, a military organization appeared based on the maintenance of local systems.

      • KCI등재

        신라 통일기 三武幢의 설치와 麗濟 유민

        한준수(Han, Jun-s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30 No.-

        신라는 문무왕 15년(675) 나당 전쟁의 막바지에 상황이 악화되자 한강 하류 임진강 유역의 군사력을 증강하였다. 삼국의 주된 쟁패지역이었던 지역에 지역적 연고가 강한 백제인을 구성원으로 하는 군단을 신설한 것인데 바로 백금무당이었다. 백제인을 새로운 병력자원으로 삼아 군사력을 강화하였으며 결과는 긍정적이었다. 이후 9서당에 여제 유민을 대상으로 한 군단이 계속 증설되었던 사실은 이를 뒷받침한다. 삼무당의 군관조직을 보면 전투에 알맞은 전형적인 군단의 모습이었다. 고위관등이 아닌 중간층이라는 점은 활발하게 작전을 전개하기에 적합했다. 군관의 유형에서는 기병이 보완된 보병군단이라는 특징이 잘 드러난다. 소수의 기병 지휘관은 이를 보여준다. 백제인이 나당전쟁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였던 것은 자신들의 삶을 개척하려던 적극적 의지의 표현이었다. 백제는 소멸했지만 자신들의 공동체를 유지하며 생존 영역을 구축하고자 염원하였기 때문이었다. 삼국통일전쟁이 종식된 후 신라는 새로운 통치질서를 정립하려고 하였다. 장기간 총력전을 전개하였으므로 피폐해진 민생을 안정시키고, 군사적 기능에 편중된 정치질서도 전환해야만 했다. 신문왕은 권력기반의 제도적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무열·문무왕대 정책과 비교할 때 정치적 지향점은 비슷했을지라도 국왕권 강화의 측면에서 볼 때 그 강도는 차원이 달랐다. 9주제 실시 등 국가체제의 틀을 전면적으로 혁신하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여제 유민에 대한 신라화 정책도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다. 신문왕의 측근이 주요 거점에 파견되었던 것은 그러한 목적을 담고 있었으며, 「청주운천동사적비」의 三韓은 당시의 분위기를 잘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그에 대한 반발도 나타났다. 대문의 난이 그것으로 여제 유민의 고유한 정서와 질서를 지키고 싶어 했던 바람이었다. 결국 난은 진압되었는데 이는 신라 지배질서의 평시 체제로의 전환과 여제 유민의 신라화 정책 추진에 따른 불가피한 성장통이었다. 신문왕은 제도정비를 통해 왕권을 구조적으로 강화하려고 하였다. 국왕 중심으로 군사력을 재편하고, 일통삼국을 달성한 명실상부한 통일국가의 위상을 세우려 하였다. 나당 전쟁과 대문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활약한 여제 유민이 중앙군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군의 완성은 단순한 양적 확대에 그친 것이 아니라 직할군단의 체계화에 정치적 목적이 있었다. 시위군-근위군-친위군으로 시위부-구서당・삼무당-십정이 구축되었다 As the situation worsened at the end of the 15th year of King Munmu"s reign (675), Silla increased its military strength in the Imjingang River downstream of the Han River. It was a group of people from Baekje who had strong regional connections to the region, which was the main battlefield of the Three Kingdoms. By using the people of Baekje as a new source of military strength, the results were positive. The fact that an extension of the corps aimed at the emperors of the ruling party was subsequently established in Seodang proves this fact. Looking at Samudang"s military organization, it was a typical military force suitable for combat. The fact that it is a middle class, not a high-ranking official, was suitable for active operation. The type of military officer shows the character of the infantry corps supplemented by cavalry. A handful of cavalry commanders show this. It was an expression of an active will to explore their lives that the people of Baekje were outstanding in the war against the Silla-Tang. Although Baekje was extinct, it sought to maintain its community and establish a survival zone. After the end of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War, Silla sought to establish a new ruling order. As the war was fought for a long time, it had to stabilize the lives of the people and change the political order focusing on military functions. The king Shinmun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system based on power. Although the political orientation was similar compared to the policy of the military and the military, the intensity was different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Policies to overhaul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system were implemented,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9ju system. The Silla Dynasty"s policy on the emperors was also actively implemented. The king Shinmun’s close aide was sent to a major hub for that purpose, and the atmosphere of "Cheongju-uncheondong stela" is well illustrated. However, there was a backlash against him. The Daemun"s rebel was it"s wish to keep the people of Baekje and Goguryo unique feelings and order. In the end, the uprising was put under control, an inevitable growth headache caused by the transition to the peacetime system of Silla"s ruling order and the promotion of the policy of the emperors to Silla. The king Shinmun tried to systematically strengthen the kingdom by institutionalization. He tried to reorganize the military power around the king and establish the status of a unified nation in name and substance. Also, the completion of the Central Command was not just quantitative expansion but political goals in the organization of the direct military.

      • KCI등재

        차량차체 네트워크에서 CAN 신호 게이트웨이 설계

        한준수(Jun-Soo Han),강기호(Ki-Ho Kang)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0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6 No.6

        The automobile networks consist of the communication bus systems which become independent and heterogeneous each other. Most often, the CAN buses are implemented in a car in order to connect all the electronic control units in various ways. Thus, some gateways are necessary for exchanging the useful information between electronic control units on the buses. The automobile body networks group is divided into two kinds on a large scale, namely the low-speed bus and the high-speed bus. To interchange messages between the two, a CAN signal gateway i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a miniature scale. A network analyzer (called “Vehicle spy”) and an oscilloscope monitor network situation to confirm the due operation of CAN signal gateway. The efficiency of the designed gateway is evaluated. The more message thread increased, the more efficiency decreased.

      • KCI등재후보

        신라 중대 國學의 설치와 운용

        한준수(Han, Jun-s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4 한국고대사탐구 Vol.17 No.-

        국학은 신라의 최고 교육기관으로서 유교 경전과 사상을 교육하여 유교적 소양을 갖춘 관료의 양성을 담당했던 국가기관이다. 신라에 있어 교육과 정치의 두 측면에서 핵심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국가체제 정비와 발전에 공헌했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지금까지 진행된 국학의 연구는 설립시기와 교육생에 대하여 주로 관심이 집중되었고, 최근에 인재선발이나 교육과정 등으로 시야가 확대되어 질적 측면에서 연구가 진전되었다. 본고에서는 국학의 성립과정으로서 수용에 중점을 두고 어떠한 과정을 거치며 신라 사회에 안착할 수 있었는지 살폈으며,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김춘추는 비담의 난을 전후로 한 시기에 계속되던 대내외적 위기를 극복하고자 대당외교를 전개하였다. 당의 대외적 팽창욕구와 신라의 위기탈출 전략은 나당동맹으로 이어졌다. 외형적인 신라의 적극적 접근에 대한 당의 내면적인 적극적 호응이었다. 김춘추의 외교력을 통해 유교질서의 광범위한 수용이 전격적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대당사행을 통해 唐制의 효율성을 확인한 김춘추는 개혁에 착수하였다. 의관제를 정비하고 아홀 규정도 강화하였고, 하정례를 시행하여 군신간 위계질서를 명확히 하였다. 좌이방부를 설치한 후, 율령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관료질서와 밀접한 국학을 설치되었다. 국학의 설치는 공적인 교육기구의 창설로서 유교 교육의 체계화에 기여하였다. 셋째, 삼국통일 이후 신문왕은 통치질서의 개편을 시도하였다. 위화부령 2인을 설치하고, 관료양성을 담당하던 국학 역시 정비하였다. 교육과정과 운영은 당의 국자감을 토대로 했는데, 당제를 참고하면서도 주체적인 제도운용을 하였다. 국학 기능의 정립 후 관료질서가 보다 강화하였다. 관료전 지급은 관료화 한 진골귀족의 모습을 반영한 조치로 신라중대 율령체제의 확립을 상징했다. 결론적으로 국학은 김춘추의 대당사행 과정 속에서 시작된 당제 도입의 일부였으며, 설치와 운용에 있어 신라적 현실에 맞추어 변화가 있었고, 제도운영의 결과 신라중대의 관료질서 형성과 율령체제의 확립에 이바지했으며, 관료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Gukhak(國學), a state institution of higher of the Silla kingdom, took charge of training would-be government officials with Confucian classics and thoughts. It has attracted scholarly attention in that it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kingdom’s governance system in the two important aspects of education and politics. Studies about Gukhak until now have mostly concentrated on its foundation years and on its students and recently have expanded on their coverage of its selection system and curriculums. Studies have so far focused on the fact Gukhak was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Silla’s hierarchy and bureaucratic system and taken little notice of its acceptance process. Now, it would be reasonable to examine first backgrounds of its acceptance for the sake of deep understanding about its role proper. Accordingly, this study put emphasis on the acceptance itself and examined how it could be rooted firmly in the Silla dynasty. First, Kim chun-chu made diplomatic efforts toward Tang(唐) China to deal with the crises which had been constant around Bidam(毗曇)’s revolt. The two states formed an alliance for respective purposes, foreign expansion policy for the Tang dynasty and crises exit strategy for the Silla kingdom. That was consequently Tang’s internal active response to Silla’s external active approach. Kim chun-chu(金春秋)’s diplomatic efforts brought an extensive acceptance of Confucian systems. Second, Kim chun-chu considered the efficiency of Tang systems during his visit there and initiated reforms back at home. He prepared the Chinese clothes system, considered Ahol(牙笏) regulations, and solidified the hierarchy between the sovereign and subjects by holding the meeting of Hajeongrye(賀正禮). After Jwaibangbu(左理方府) had been installed, Gukhak was founded to strengthen the statute(律令) system because it was believed to be develop the system of Confucianism education. Third, king sinmun(神文王) attempted to recognize the ruling system after the unification. He placed two officials in Wihwabu(位和府) and reformed Gukhak responsible for training government officials. Its curriculums and regulations were basically borrowed as well. The systemized Gukhak build up the state bureaucracy. Gwanryojeon(官僚田) reflects the firm status of the Jingol(眞骨) class and represents the established statute system in the middle perid of Silla dynasty. In conclusion, Gukhak was at first part of imported Tang systems by Kim chun-chu during his diplomatic visit to the Tang dynasty, then was reformed in its status management according to realities of the Silla society. It played a crucial role during the middle Silla period in the formation of the bureaucracy, the codification of statute, and bureaucratic policies for the nobl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