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시티 공간의 변화 분석

        한주형(Ju Hyung Han),이상호(Sang H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본 스마트시티의 개발초점은 점차 물리적 개발측면에서 공간적 개발측면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간적 개발의 주요적용 기술로는 환경기술(ET), 정보기술(ET), 그리고 환경기술과 정보기술이 융합된 환경·정보기술(ET+IT)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에 공간융합이 3가지의 기술들에 의해 변화 한다는 것은 아직까지 불투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공간(지구, 가로, 건물, 시설)의 융합 변화를 3가지 기술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연구 내용은 스마트시티에 융합된 환경기술, 정보기술, 환경·정보기술과 4개의 공간 사이의 융합 분포비율을 시기별(시기 1 : 1972~1999, 시기 2 : 2000~2009, 시기 3 : 2010~2017)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시티 1기의 공간적용개수와 융합 분포비율 합계는 지구(53개/43.0%)-건물(36개/29.1%)-가로(22개/17.9%)-시설(12개/10.0%) 순으로 높았다. 둘째, 스마트시티 2기의 공간 적용개수와 융합 분포비율 합계는 구(223개/32.4%)-건물(197개/28.6%)-가로(195개/28.3%)-시설(74개/14.8%) 순으로 높았다. 셋째, 3기에는 4개의 공간 위계 중, 지구(467개/33%)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1기, 2기와 다른점은 가로(384개/27.4%)가 건물(361개/25.8%)보다 높았으며, 그 뒤로 시설(188개/13.4%)의 융합되고 있다. 넷째, 스마트시티는 1기와 2기 모두 적용개수와 융합비율에서 지구-건물-가로-시설 순으로 높은 결과 값이 나왔으나, 개수평균에서는 건물-가로-지구-시설 순으로 높았다. 3기에는 적용개수와 융합비율이 지구-가로-건물-시설 순으로 높았으며, 개수평균은 1,2기와 동일하였다. 결과적으로 스마트시티 공간(지구, 가로, 건물, 시설)은 초창기에 도시의 거시적 공간(항만, 공원, 녹지, 유원지, 공공공지, 수도전기, 열 공급시설, 하천, 궤도, 운하)의 개발을 통해 변화 되었다. 이후 지구 공간중심 개발과 스마트시티를 구축하는 중요한 건물(내부, 외부, 사이)공간에 다양한 디바이스/기술이 융합되어 시민유입을 목표로 변화하게 되었다. 건물공간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으며, 향후 스마트시티 공간은 완료된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가로 공간으로 활성화 될 것이라 예상된다. The development focus of a smart city has been changed gradually from a physical development aspect to a space development aspect. In a space development aspect, the major application technologies are Environment Technology (ET),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it is unclear if the space convergence in a smart city has been changed by the 3 technologies. Therefore, specific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nvergence change of smart city 4 spaces (District, Street, Building, Facility) using the 3 technologies. The convergence distribution ratio according to the periods (period 1 : 1972~1999, period 2 : 2000~2009, period 3 : 2010~2017) among the spaces, ET (Environment Technology), IT (Information Technology), ET+IT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in a smart city were examined. The smart city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ict (53/43%) - Building (36/29.1%) - Street (22/17.9%) - Facility (12/10.0%)"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atio of conver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t Period 1 (1972~1999). The smart city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ict (223/32.4%) - Building (197/28.6%) - Street (195/28.3%) - Facility (74/14.8%)"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atio of conver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t Period 2 (2000~2009). At period 3, the District (467/33%) was also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street (384/27.4%) was higher than the building (361/25.8%) and facility (188/13.4%) in smart city space. Fourth, the smart city was high in the order of "District - Building - Street - Facility" in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atio of convergence (Technology Convergence) at Periods 1 (1972~1999) and 2 (2000~2009). In contrast, the average of number was high in the order of "Building - Street - District - Facility". At period 3(2010~2017),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the ratio of convergence was high "District - Street - Building - Facility"; the average of number was the same as in period 1 and 2. As a result, smart city space has been changed by the development of macroscopic urban spaces in the initial stage. Since then, district space-centric development and building space are confused with devices/technologies and changed for citizen inflow. The building space has evolved continually and smart city space will be expected to revitalize the street space connecting completed buildings.

      • KCI등재

        도시농업의 이론, 패러다임 및 유형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주형(Han, Ju-Hyung),장동민(Chang, Dong-Mi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6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이론 구축과 패러다임?유형 간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농업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과정은 도시농업 정의의 트렌드와 유사 개념을 분석하고, 도시농업 이론 구축과 세부요소 그리고, 패러다임 유형과 관련요소를 통해 도시농업의 다원화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시농업의 정의는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트렌드는 생태환경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융합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둘째, 유사개념에서는 4개의 대표적인 사례가 있었으며, 대부분 도시농업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거나 연계되는 개념이었다. 셋째, 정의 트렌드와 유사개념 사례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이론을 생태환경주의, 인간사회주의, 첨단기술주의, 자본경제주의 등 4개의 대표 키워드로 정의된다. 넷째, 도시농업 패러다임은 1차 산업에서 5차 산업까지의 피드백 연계방식으로 개발되어 도시농업은 신(新)6차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다섯째, 도시농업의 유형분석을 통해 16개의 도시농업의 개발유형이 도출되었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농업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sustainable UAT(Urban Agriculture Theory) for organized development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digm and typology. As a study process, the definition trends and similar concepts of urban agriculture are analyzed the important factors for future to figure out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by using paradigm and typology analyses. The result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urban agriculture is divided to the 5 types and the trend has been changed with variety fusion acts to maintain eco-environmental community. Second, 4 similar cases are included and connected by urban agriculture. Third, the UAT with four major concepts is defined Eco-Environmentalism, Anthropo-Socialism, Hi-Technoism and Fund-Economism through definition trend and similar concept analyses. Forth, urban agriculture paradigm evolves through feed-back connecting from primary industries to 5th industries to new 6th industries. Fifth, 16 development types are extracted through urban agriculture typology and is suggested bas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s suggested b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digm Development Flow and Typology Development Flow.

      • KCI등재

        환경기술과 정보기술 관점에서 바라본 세계 스마트시티의 형태적 진화

        한주형(Ju-Hyung Han),이상호(Sang-H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6

        본 연구는 세계 스마트시티의 미래상을 위해 형태적 진화과정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과 방법은 스마트시티에 융합 된 환경기술과 정보기술을 4개 대륙과 우리나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연관성 분석과 시기별 디바이스/기술의 융합개수 분석을 하였다. 분석 자료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32개 스마트시티 사례이고, 시기는 4개의 범위 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기의 스마트시티는 환경의 보존, 기존도시의 고유형태 고수, 필요한 디바이스/기술을 충족하는 형태적 진화였다. 둘째, 2기의 스마트시티는 정보기술 중심 개발을 통한 형태적 진화였다. 셋째, 3기의 스마트시티는 정보기술의 고도화와 환경기술의 에너지생산 그리고 관련된 디바이스/기술이 융합된 형태적 진화였다. 넷째, 4기에는 모든 기술의 고도화 과정을 통해 융합, 소멸, 그리고 새로운 환경기술과 정보기술이 창조되는 형태적 진화였다. 결과적으로, 스마트시티의 형태적 진화는 환경기술과 정보기술 간의 차별적 개발이 아닌, 융합 형태의 유기적인 도시구조로 변화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반복적인 기술의 융합과정을 통해 스마트시티의 형태는 계속해서 진화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morphological evolution process for future vision of world smart cit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tudy was divided and compared by 4 continents and Korea focused on the convergence numbers of ET and IT in smart city and did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convergence number in device/technology by periods. The analysis materials were 32 cases of smart city in whole world and times were 4 periods. The results of study were listed below. First, the smart city in period 1 was morphological evolutions preserved environment and kept natural form of existing city and filled up device/technology. Second, the smart city in period 2 was morphological evolutions through ET-centric development. Third, the smart city in period 3 was morphological evolutions through advancement of ET and device/technology related to production of energy. Forth, the smart city in period 4 was morphological evolutions fusing, dissipating and creating new ET and IT through the advancement process of all technologies. In conclusion, morphological evolution of smart city will change systematic city structure of convergence form, not each discriminating development between ET and IT, and the forming of smart city will be evolved by repetitive convergence process of technologies continually.

      • KCI등재

        친환경 건축 · 도시인증제도 트렌드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표준인증제도 개발방향 분석 연구

        한주형(Han, Ju-Hyung),이상호(Lee, Sang-H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5

        본 연구는 환경기술, 정보기술, 환경?정보 융합기술 중심의 건축?도시 개발에 대한 거시적인 개발 트렌드를 파악하고, 환경기술 중심의 친환경 개발 표준인증제도에 관한 사례분석을 통해 발생?진화의 미시적 트렌드 분석을 목표로 한다. 환경기술은 친환경 개발과 에너지 개발로 그리고 정보기술은 에너지 절감과 광역네트워크 개발의 거시적 트렌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기술 중심의 친환경 개발 표준인증제도 선진사례 4개(영국 : BREEAM, 국제 : GBTOOL, 미국 : LEED, 한국 : GBCC)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표준인증제도는 새로운 개발 트렌드를 통해 진화(변화, 융합, 분리)되었다. 둘째, 표준인증제도는 진화과정을 통해 평가항목, 평가방법, 평가등급이 단순화 되었으며, 또한 각 국가는 경제성 창출과 제도의 운영?관리의 주도권 선점을 위해 다양한 이벤트 활동과 전략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셋째, 과거에 주도권 선점을 위한 진화과정이 초기에는 국제적인 개발 트렌드 이슈에서 시작된 반면 향후의 개발의 방향은 국가별 개발 트렌드와 이슈를 중심으로 진화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acroscopic trend, about building?city development in ET(Environment Technology), IT(Information Technology) and ET?IT and analyze to the microscopic trend through cases study of standard certification system about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in ET. As a study process, ET was divided in to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and Energy Development. And also, IT did Energy Saving and Wide-network Development. This study was focused on 4 cases about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in ET and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the standard certification systems repetitively appeared to the evolution process(Change, Fusion, Separation) through new development trend and various issues. Second, Simplification about Evaluation Items,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degrees through repeatable evolution process and also there were many changes about event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economic creation and initiative preoccupancy about operation and management in the world. Third, the evolution process for initiative preoccupancy began from international development trends and issues in times past but, may be going to evolve from each country development trend in the future.

      • KCI등재

        스마트시티 디바이스/기술과 아티팩트의 융합유형에 관한 연구

        한주형(Ju-Hyung Han),이상호(Sang-H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공간에 적용된 디바이스/기술과 아티팩트의 융합유형을 도출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연구 내용은 스마트시티에 적용된 환경기술(ET), 정보기술(IT), 환경·정보기술(ET+IT)의 융합 변화에 관한 심층 분석 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1개의 사례분석을 통해 디바이스/기술과 아티팩트를 아래와 같이 도출 하였다. 아티팩트는 총 92개, 디바이스/기술은 환경기술 중심에서 83개, 정보기술 중심에서 51개, 총 134개 디바이스/기술 이다. 둘째, 디바이스/기술과 아티팩트 간의 융합 변화는 7개 유형에 의해 진화하고 있다. 유형1, ‘ET중심의 진화형’ 은 1기(분리융합), 2기(ET중심융합), 3기(ET중심으로 IT성장과 ET+IT융합) 이다. 유형2, ‘ET+IT중심의 ET고도화형’은 1기(초기 ET+IT융합), 2기(ET 고도화, IT보조융합), 3기(ET 초고도화, IT보조융합) 이다. 유형3, ‘ET+IT 일체화형’은 1기(ET, IT 개별융합), 2기(ET+IT 혼합융합), 3기(ET+IT 일체화 융합) 이다. 유형4, ‘IT중심의 진화형’은 1기(IT중심으로 개발), 2기(IT중심의 고도화), 3기(IT중심의 초고도화) 이다. 유형5·6, ‘ET+IT 동반 고도화형’은 1기(ET+IT중심의 IT개발), 2기(ET+IT중심의 IT고도화), 3기(ET+IT중심의 IT초고도화) 이다. 유형7, ‘ET+IT중심의 IT고도화형’은 1기(초기 ET+IT융합), 2기(ET보조융합, IT고도화), 3기(ET 보조융합, IT초고도화) 이다. 본 결과는 향후 다양한 새로운 융합유형이 도출될 것이라 예상 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types of convergence types between devices/technology and artifact in smart city space. The main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in-depth analysis on the convergence change of ET, IT, and ET+IT in a smart city. First, the devices/technology and artifacts through 31 cases study are found out below. There are 92 artifacts and 134 devices/technologies (ET:83, IT:51). Second, the convergence change between devices/technology and artifacts is evolved by 7 types. Type 1, the Evolutionary ET type of ET-centric, is Period 1 (Separation fusion between ET and IT), Period 2 (ET-centric fusion), and Period 3 (Growth IT and ET+IT fusion of ET-centric). Type 2, the Advanced ET type of ET+IT-centric, is Period 1 (ET+IT fusion), Period 2 (Advanced ET of ET+IT-centric), and Period 3 (Hyper-advanced ET of ET+IT-centric). Type 3, the All-in-One type of ET+IT, is Period 1 (Separation fusion between ET and IT), Period 2 (Mixed fusion between ET and IT), and Period 3 (All-in-One fusion of ET and IT). Type 4, the Advanced type of IT-centric, is Period 1 (Development of IT-centric), Period 2 (Advanced IT-centric), and Period 3 (Hyper-advanced IT-centric). Types 5 and 6, the Advanced together type of ET+IT, is Period 1 (Developed IT of ET+IT-centric), Period 2 (Advanced IT of ET+IT-centric), and Period 3 (Hyper-advanced IT of ET+IT-centric). Type 7, the Advanced IT type of ET+IT-centric, is Period 1 (ET+IT fusion), Period 2 (Sub-fusion of ET, Advanced IT), and Period 3 (Sub-fusion of ET, Hyper-advanced IT). This study results are going to expect making new types of convergence through further study.

      • KCI등재

        생태 군도도시 개발을 위한 계획기법·목적의 연관성 분석

        한주형(Han, Ju-Hyung),장동민(Chang, Dong-M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0

        본 연구는 군도개발을 위한 물리적 계획기법의 개발현황을 파악하고 계획기법과 개발목적 간의 연관성 분석 을 통해 지속가능한 생태 군도도시 개발전략을 구축하는데 목표를 둔다. 첫째, 국내·외 사례의 비교분석에서는 친환 경적으로 개발된 유럽사례가 환경론적 측면에서 다양한 개발테마에 맞게 적용되고 과학도시, 관광도시, 상업도시, 생 태도시로서의 아이덴티티를 갖고 개발되고 있음의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국내사례는 인간중심의 관광도시 개발에만 집중하는 단기적 개발기법 적용이 대부분이었으며, 섬 내에 살고 있는 거주민들의 개발 지식정보 습득과 이해가 미비 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개발에 장애가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보다 체계적인 물리적 계획기법의 적용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한 계획기법을 계획목적을 중심으로 연관성 분석 실시하여 각 사례별 적용여부 및 개발동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개발목적에 따른 컨텐츠와 물리적 계획기법 들이 다각적 측면에서 개발해야 하고 또한, 현지주민은 지속적인 정보지식 공유와 외부인과의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서비스 컨텐츠, 관련 인프라 확충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make sustainable and future-oriented eco-archipelagic city through developed trend of analysis physical design method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sign method and development purpose for archipelagic development. First, EU cases had variety developed thema and identity such as science city, leisure and resort city, commercial city, ecology city in environmental theory aspects but, Korean cases have plenty of problems such as focused development of leisure and resort city for fund profit, imperfected native people’s developed knowledge learning and understanding and figure out that they will not make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or islands of archipelagic. Second, as a in-depth analysis, the application of methods and developed trend were figured out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al design methods and development purpose through result(physical design methods) of case studies. As a result, contents and design methods from development purposes have to develop by multilateral aspects and also, native resident will have to require infrastructure expansion about service contents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sustainable information sharing.

      • KCI등재

        환경기술과 정보기술 기반의 미래도시 공간 메커니즘과 알고리즘 분석

        한주형(Ju-Hyung Han),이상호(Sang-Ho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정보기술과 환경기술의 미래도시 메커니즘(Mechanism) 구조와 그에 따른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새로운 도시의 공간을 창출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과 정보기술의 개발트렌드는 친환경개발, 에너지개발,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광역네트워크 개발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다. 둘째, 사례 상암DMC는 한국전쟁부터 1978년까지 친환경과 환경 보호적 측면에서 개발이 진행되었다. 광역네트워크 개발은 1990년부터 2000년 사이에 급속하게 진화되었다. 그러나 2010년 이후 도시공간은 다시 환경과 정보의 융합에 의해 공간이 개발되고 있다. 상암DMC의 과거 개발 트렌드는 개인적인 환경기술 개발이 중심이 되었다. 현재에는 공공의 정보기술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일부는 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준 융합개발의 트렌드를 갖고 있다. 그러나, 미래시대의 융합은 통합적 융합개발이 될 것이라 예측한다. 셋째, 메커니즘 구조는 생성, 소멸 그리고 융합과정에 의해 발전된다. 그 생성은 불충분한 부분으로부터 보충화 될 것이다. 소멸은 불충분한 부분의 융합과정에 의해서 함축화 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융합은 생성과 소멸의 기준이 될 것이다. 결국 새로운 창조 도시공간은 환경과 정보기술 중심의 메커니즘 기호화 패턴 구조에 의해 계속해서 형성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reate a new urban space through mechanism structure and algorism analysis between IT and 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trends of ET·IT are classified into 4 types, "Eco-Friendly Development", "Energy Prod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Energy Sav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Wide Area IT Network Development", which are found to be constantly evolving. Second, Sang-Am DMC developed through the environmentally protective and eco-friendly aspects of ET from the Korean War to 1978. Wide area IT networks developed rapidly from 1990 to 2000. However, in 2010, urban spaces began to develop by the fusion of the Environment and Information. The fusion of Environment and Information in the development trends in the past is referred to as "Individual Development", that in the present is referred to as "Semi-fusion Development" and that in the future will be referred to as "Total Fusion Development". Third, the mechanism structure of DMC has evolved through creation, extinction and fusion processes. The creation process will serve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cies of the existing systems, the extinction process will be the compactification of the fusion process, and the fusion process will be the standard for creation and extinction. Finally, the future of new innovative urban and architectural spaces will be forged by the mechanism symbolization patterns of IT·E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