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 입소 영향 요인

        한은정(Han, EunJeong),황라일(Hwang, RahIl),이정석(Lee, JungSuk) 한국보건간호학회 2016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30 No.3

        Purpose: Ageing in place ma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rail elderly and decrease their costs of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using home care services in a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009 Satisfaction survey of Korean long-term care system’. The survey proceeded to use a sampling data based on region, level of long-term care need, and insurance type among the beneficiaries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09. The onset dates of institutionalization of 1,095 participants were ascertain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claim data. This study calculated the hazard ratio through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s: A total of 176 subjects who were institutionalized in nursing homes were included. There were higher risks in the group that included those who were 85 years and over, had dementia or fracture, used home-visit nursing service, and were not supported by direct fami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to supplement the home care service system and postpone nursing home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 KCI등재

        장기요양 급여이용행태별 가족부양자 부양특성 비교

        한은정(EunJeong Han),황라일(RahIl Hwang),박세영(SeYoung Park),이정석(JungSuk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3

        장기요양 노인과 가족의 삶의 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현황과 부양부담에 정책적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 급여이용 행태별로 가족부양자의 부양 현황과 부양부담을 조사하고 급여이용행태별 부양특성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2016 장기요양 등급인정자의 급여이용 행태별 부양실태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본 조사는 2016년 6월 ~ 7월 2개월간 총 2,603명의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부양 현황 및 우울, 건강행태, 스트레스, 부양부담감 등에 대해 훈련된 면접원의 일대일면접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재가급여 이용 그룹, 시설급여 이용 그룹, 가족수발 그룹(미이용), 요양병원 이용 그룹(미이용) 4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급여이용 행태별 부양현황 및 부양부담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급여 이용행태에 관계없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은 다른 가족구성원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었으나, 재가인 경우 다른 가족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는 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수발 및 요양병원 이용 그룹에서는 비용에 대한 부담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재가와 가족수발 그룹의 경우 시설 및 요양병원 그룹과 비교할 때, 가족부양자의 식사, 운동, 수면, 휴식 등 건강행태가 모두 열악한 수준이었고, 건강상태 악화 경험 비율이 높고, 주관적 건강수준 역시 낮게 나타났다. 더구나 가족부양자의 스트레스, 부양부담, 우울 또한 더 높은 수준이었고, 가족수발 그룹에서는 스트레스 경험 시 ‘그냥 참음’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기요양 급여이용행태별로 가족부양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부양 현황 및 부양부담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기요양 가족부양자 지원 정책 개발 시, 급여이용행태별 가족부양자의 부양특성의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compare differences in caregiving burdens among family members with the disabled elderly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We obtained the data from the project ‘2016 Survey on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Long-term Care Beneficiaries’, studied by the Institute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3 to July 17 2016, and the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f family caregivers’ characteristics and caregiving burdens. Total 2,603 family caregiv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y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utilization of long-term care(home care, institutional care, family care, and long-term care hospital services). As a result,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received help from other families. The group of home care reported relatively smaller help from other families. The groups of family care and long-term care hospital services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economic burden. The groups of home care and family care suffered from lack of healthy behaviors such as diet, exercise, and sleeping rest, and their subjective health level were low. And they also reported the higher levels of caregiving stress, depression, and caregiving burden, compared with the groups of institutional care and long-term care hospital services.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differences in caregiving burdens among family members by the type of benefits to develop family caregiver support programs.

      • KCI등재

        재가 장기요양 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영향요인

        한은정(Han, EunJeong),나영균(Na, YoungKyoon),이정석(Lee, JungSuk),권진희(Kwon, Jinh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5 한국사회정책 Vol.22 No.2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도 장기요양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위한 부양부담 완화 정책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도입 이후 가정에서 재가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며 수급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초점을 두고 부양부담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부양 부담 완화정책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권중돈(1994)의 부양부담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노인과 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사회적 활동제한, 가족관계의 부정적 변화, 심리적 부담,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건강상의 부담 등 여섯 가지 하위차원별로 부양부담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3월 기준으로 전국의 재가급여 이용자의 가족부양자 1,827명을 대상으로 방문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자료를 바탕으로 28개 항목 점수의 합을 전체 부양부담으로 정의하고, 전체 부양부담과 하위차원별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부양부담 점수는 140.0점 만점에 평균 90.5점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전체 부양부담의 영향요인과 6개 하위차원별로 각각의 영향요인에 서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수급자와의 관계’라는 요인은 전체 부양부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노인과 주부양자 관계의 부정적 변화’ 와 ‘재정 및 경제활동상의 부담’ 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완화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부양부담의 하위차원별로 각기 다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부양부담 완화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정책 입안자, 보험자, 재가 장기요양서비스 공급자 및 가족부양자들이 재가 장기요양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과 영향요인을 이해하고 제도를 개선해 나가는 데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has been rising as a social issue, it needs to develop the policies to alleviate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with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using the Stress Process Model developed by Pearlin(1990). Total 1,827 family caregivers with beneficiaries, who used the long-term care services in their home and community in March 2013, completed questionnaires. Family caregivers’ burden was measured by caregiver burden scale, developed by Kwon(1994). That is helpful in understanding families’ caregiving burden multi-dimensionally.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family caregivers’ burd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family caregivers got the average score 90.5 out of 140 on the total caregiving burden, which indicated a considerable burden. The influencing factors varied among the total and six dimensional burde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s needed to relieve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In conclusion, we suggest some strategies to relieve the caregiving burden for family member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policy-makers, the insurer, the long-term care providers and family caregivers in understanding the caregiving burden and influencing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