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산만의 단기 오염확산 특성

        한성대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0 硏究論文集 Vol.8 No.-

        2차원 단기 확산모델을 구성하여 마산만의 오염물질의 확산특성을 조사하였다. 확산모델의 기본입력으로 필요한 동수력학적 정보는 기 수행된 2차원 조석수치모델에서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확산모델로서 가상적인 오염물질을 만내 11개 지점에 순간 투입하여 평균대조와 평균소조시의 상황하에 오염물질이 단기적으로 확산·이동되는 과정을 산정하였다. 이의 초기결과가 제시되었으며, 추후 연구과제가 토의되었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마산만내의 오염물질의 장기적인 확산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In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pollutan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Masan Bay system utilizing two-dimensional short-term diffusion model. The hydrodynamic results from the two-dimensional numerical tidal model were used as basic input data for diffusion model. The diffusion model simulating the short-term pollutant transport was established and used to investigate the dispersal pattern of the hypothetical pollutant input under the mean spring and the mean neap tidal condition. The hypothetical condition was investigated by assuming instantaneous release of waste matter at 11 prospective source points in Masan Bay. Some of preliminary model results are presented and indication of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The objective of this initi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term pollutant diffusion process in Masan Bay.

      • 연안해수에서 부유사의 분산모형(I)

        한성대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8 硏究論文集 Vol.16 No.-

        연안해수에서 세립 부유사의 분사을 나타내기 위한 해석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은 공간과 조석시간의 함수로 준정사상태에서의 부유사농도를 예측하였다. 또한 연직 방향의 유입원 주변지역에서 부유사의 침전상태를 예측하였다. 모형에는 유사의 침강속도와 그 해역의 동수역학적 특성, 순수해류속도, 조류속도 및 분산계수 등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해석을 단순화하기 위해 우선은 파랑의 운동과 연직방향의 성층효과는 고려하지 않았다. 연직방향과 수평방향의 분포를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이 사용되었다. 순수 해류속도와 부유사의 침강속도는 연안해수에서 미세립자의 분산을 제어하는 아주 중요한 계수로 보여진다. 본 모형은 마산만에서 이루어진 준설에 추후 적용될 예정이다. A analytical model is propos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dispersion of fine suspended sediments in coastal waters. The model predicts the quasi-steady state sediment concentration as a function of space and tidal time. The model also predicts the deposition pattern in the region surrounding a vertical line source. It requires that the sediment settling velocities and the hydrodynamic features of the area, the net drift and the tidal velocities as well as the dispersion coefficients be known. Effects of wave action and vertical stratification are not considered. A technique permits a independent treatment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The net drift and the sediment settling velocity seem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the dispersion of fines in coastal waters. The model will be applied to a dredging situation in Masan bay.

      • 水晶灣의 潮汐과 擴散模型

        한성대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0 환경연구 Vol.12 No.-

        In this study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tidal movement and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Sujeong Bay system utilizing two dimensional numerical tidal model and diffusion model. The established model were used to simulate M₂ tide representing mean tide condition and then spring and neap tide conditions. A further mesh refinement of the numerical model of the Masan Bay was proceeded to develop a model of Sujeong Bay where a land reclamation scheme is concerned. In this paper, the models were further utilized to estimate the effect of land reclamation on water movement processes. Some of preliminary results of numerical experiments were presented discussed.

      • 鎭海灣의 長周期 擴散特性

        한성대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1 硏究論文集 Vol.9 No.-

        2차원 장기 확산모델을 구성하여 진해만의 확산특성을 조사하였다. 확산모델의 기본 입력으로 필요한 동수력학적 정보는 기 수행된 2차원 조석수치모델에서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전 해역에 보존농도를 초기 부여하여 6일간의 확산과정을 산정하였다. 이의 초기결과가 제시되었으며, 추후 연구과제가 토의되었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전해만내의 오염물질의 장기적인 확산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In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pollutant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Jinhe Bay system utilizing two-dimensional Long-Term Diffusion Transport Model. The hydrodynamic results from the two-dimensional numerical tidal model were used as basic input data for diffusion model. Conservative matter such as salinity that are initial released on whole bay system, and calculated the slowly varying diffusion process after 6 days, Some of preliminary model results presented and indication of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The objective of this initi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term pollutant diffusion process in Jinhe Bay.

      • 2002년 8월 낙동강 유역의 호우분석

        한성대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2003 硏究論文集 Vol.21 No.2

        낙동강 유역에서는 2002년 8월 홍수에 의해 많은 피해가 있었다. 당시의 기상과 호우자료를 수집하여, 호우의 시간적, 공간적 특성과 강우강도, 호우규모 등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2년 8월 4일 ~ 17일까지의 호우는 크게 3개의 독립호우로 분리할 수 있었다. 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과거의 호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규모의 호우였다. 중규모 면적에 집중되던 지난 10여 년간의 호우와는 달리 전국적인 규모로 계속된 호우였다. There was huge damage on the Nakdong river basin by the Aug, 2002 storm. In this paper, attempt to analysis of 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tensity and scale with forecast data at the Aug, 2002 storm. The whole storm has divided three independent storms for the 4th ~ 17th Aug, 2002. It was a relatively large scale storm as longer as duration with past. It was concentrated to the medium scale area during the past 10 years storms, but the 2002 storm was effected to the whole country.

      • 漢江의 洪水追跡 : 高安一人道橋間을 中心으로

        韓成大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84 硏究論文集 Vol.2 No.-

        洪水追跡은 洪水調節問題를 解決하고 洪水豫報를 適切히 遂行하는데 必要로 하는 重要한 技法이다. 本 硏究에서는 漢江의 上流 高安과 下流 人道橋 사이의 약 34.3㎞를 1975년∼1979년까지 5개 洪水位記錄을 利用하여 M-C法과 VPD法으로 解析하였으며, 그 結果를 實測値와 比較 檢討 하였다. 그 結果 豫測値의 誤差는 다음과 같다. M-C 法 VPD 法 平均流量 : -1.15%∼-16.9% 平均流量 : -0.54%∼-17.61% 尖頭流量 : -2.53%∼-14.5% 尖頭流量 : 2.48%∼-11.6% 그러나 1978년도의 供水를 제외하고는 平均流量에 대한 誤差는 다음과 같다. M-C法 : -1.15%∼-8.04% VPD法 : -0.54%∼-3.89% Flood routing is an important technique necessary for the complete solution of a floodcontrol problem and for the satisfactory operation of a flood-prediction service. For such purpose, flood routing is recognized as a procedure required in order to determine the hydrograph at one point on a stream from the known hydrograph at an upstream section point.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flood records during 1975∼1979 period were used for flood routing between Koan and Indokyo reach(about 34.3㎞) in the Han river using the M-c(Muskingum-Cunge) method and the VPD (Variable Parameter Diffusion)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error predicted from both methods are as follow; M-C method Average discharge: -1.15%∼-16.9% Peak discharge : -2.53%∼-14.5% VPD method Averge discharge : -0.54%∼-17.61% Peak discharge : 2.48%∼-11.6% But error predicted for average discharge except flooding of 1978 are as follows; M-C method: -1.15%∼-8.04%. VPD method: -0.54%∼-3.48%

      • 포화, 불포화지반의 침투류 해석(I)

        한성대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8 硏究論文集 Vol.16 No.-

        최근 수문학적 해석분야 중에서도 정상, 비정상 침투류해석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정상, 비정상 침투류 해석에 이용되고 있는 몇 몇 이론의 적용 범위 및 적용한계 그리고 입력 변수의 결정은 해석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상-비정상 침투류 해석에 있어서 정확한 이론의 전개, 해석 조건에 부합하는 실험식 및 경험식의 적요 그리고 적절한 입력의 변수를 부여하는 것이 정상-비정상 침투류 해석의 관건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반의 정상-비정상 침투류 해석을 수행하기 의해 채택된 기본 이론을 전개하고 수문학적 각종 조건의 변화에 따른 해석이론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steady and unsteady seepage analysis is getting more importance in hydrological analysi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basic theory and the application limit of the theory. Therefore, the analysis of steady and unsteady problem depends on the choice of proper parameters and empirical equations. Firstly, this paper presented a basic theory which can be used to solve steady and unsteady seepage problem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ground. Then the theory was developed to incorporate the varing hydrological conditions.

      • 一點法에 의한 感潮河川의 流量算定

        韓成大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86 硏究論文集 Vol.4 No.-

        本 硏究의 解析的 方法은 淡水와 海水가 混合하는 潮汐河口에 있어서, 斷面의 幾何學的 形狀과 河床의 粗度係數, 水面水位를 旣知의 값으로 하여, 斷面의 한 地點에서 時間에 따른 速度를 觀測하여 流量을 算定하는 方法이 提示되었으며, 이를 蟾津江河口인 光陽灣入口의 蟾津橋에서 觀測한 資料와 비교하였다. An analytic method is presented here to allow a conversion of the velocity at any point in the cross section to the corresponding discharge through the same section, given the geometry and the bed roughness of the cross section and the water surface elevation in a nonstratified tidal entrance or water way. For a given section, the bed roughness is essentially derived from a single set of cross sectional velocity measurements. Application of the method is discussed in terms of data obtained at the Seomjin Bridge in the vicinity of Kwangyang Bay, on the Seomjin River Estuary.

      • 통영해만의 M₂조석

        한성대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1991 환경연구 Vol.13 No.-

        In this study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tidal movement of Tongyoung Bay system utilizing two dimensional numberical tidal model. Mesh resolution of the finite difference grid systems are 150m each grid size(64×92, total 5,888 grids) for Tongyoung Bay. The established model were used to simulate M₂ tide representing mean tlid condiition. The comput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limited coastal observation and were in good agreement. The simulated results of tidal flow pattern from the models in the form of tidal ellipses are rectilinear and reversible flow. Some of preliminary results of numerical experiments were presented discussed.

      • 露梁海峽으로 연결된 光陽灣과 晋州灣의 平均潮流 流動

        한성대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5 硏究論文集 Vol.13 No.-

        노량해협으로 연결된 광양만과 진주만을 하나의 통합적인 수치모형으로 하여, 이 해역을 비교적 세격자체계인 250m 간격으로 61,000개(305x200)의 유한차분 격자망으로 구성하였다. 수치모형은 우선 연구해역에서의 평균조석에 대한 유동현상을 재현하였다. 계산결과는 기왕의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만족할 만한 검증이 이루어 졌다. 본 연구결과는 연구해역에 대한 평균조석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가 되리라고 판단된다. 조석주기에 따른 조류성분과 항류자료, 해수의 순환특성은 오염물의 장·단기 확산해석을 평가하는 데 기본입력 자료가 될 것이다. Movement of the mean tidal current at Kwangyang Bay and Chinju Bay, which are connected into Noryang channel, was evaluated using a 2-dimensional numerical tidal model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se bay areas were divided into 61,000 finite difference grids (305x200). The results obtained by the numerical model were found satisfactory compared with the real observations.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d in understanding the mean tidal current movement at these bay areas. They c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study of pollutant transport in these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