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芝峯 李 睟光의 目錄學 사상

        한만성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건지인문학 Vol.0 No.22

        This paper demonstrated that the 17 th century’s Lee Su-gwang has a bibliographical thought through the records of the list of names of books and authors in reserve left behind, and knowledge classification in “Ji-bong-yu-seol(芝峯類說)”. The characteristics of Ji-bong's bibliographical theory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directions. First, it is an independent patriotic thought that cherishes Dongkuk(東國) literature against Chinal. Second, it emphasizes the value of the novelist and embraces heresy ideology. Third, it is a time-saving idea to use and write abridgement edition and a summary book, and a book review.

      •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정보 활용능력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협력에 관한 연구

        한만성,Hahn, Mahn-So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는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 협력의 이론과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정보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구성과 관련된 통찰력을 얻고자 하였다. 우선 정보 활용능력이 가진 모호성과 다양한 개념을 통해 정보 활용능력 교육 또한 일률적인 지침이나 표준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음을 밝혔다. 또 다양한 정보 활용능력 교육 프로그램 가운데 글쓰기와의 연관성을 비중 있게 다룬 이론적 배경을 살펴 본 뒤, 실제로 글쓰기 교육을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연계하여 협력적으로 실행한 미국 유타 대학과 캐나다 윈저 대학의 사례 연구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상황에서 정보 활용능력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연계 또는 협력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erconnections that exist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ILI) and writing instruction to gain further insight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forming of Korean ILI program. First of all, as evidenced by the ambiguity and various concepts that are possessed by the information literacy, this paper clearly indicates that the ILI cannot be achieved with a standardized set of guidelines across the board. And then, after investigating into the theories which deal mainly with the relativity to writing amongst the various ILI programs, this paper introduces precedents of Utah University, USA and Windsor University, Canada which have carried out writing instruction by actually connecting it with the ILI. Finally, this paper sounds out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s or cooperation between writing and ILI within the scope of the Korean situation and suggests alternatives.

      • KCI등재

        교양교육으로서 정보활용능력 교육 위상 강화 방안

        한만성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4

        The major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whether the merging of Information Literacy and rhetoric will be able to have essential elements for being a general education subject in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 of rhetorical information literacy (RIL) is organized as follows. Situated literacy using heuristic method, process oriented literacy attaching importance to research, and literacy relevant to ubiquitous environment. So, it is argued that rhetorical information literate citizenry is essential for a modern democratic society. As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 can be various, for example, technology oriented instruction is needed to be compared. For the practical execution of the RILI program, ‘asking situated questions to discover problem’, ‘selecting and writing review of meta study books’, and ‘writing visiting report of library’, and ‘instruction of information ethics for democratic citizens’ have been proposed.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보활용능력과 수사학의 융합을 통해 정보활용능력 교육이 대학에서 필수적인 교양과목의 요건을 갖출 수 있는지를 논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의 성격을 1) 발견법을 이용한 상황적 활용능력, 2) 탐구를 중시하는 과정 중심 활용능력, 3) 편재성에 적합한 활용능력으로 정리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이 학제성을 띠는 민주시민의 핵심 교양이 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정보활용능력의 교육에는 기술 이용 중심의 방법도 있는 등 다양성이 존재하는 만큼 이 부분과의 비교가 필요하다. 수사학적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실제 프로그램으로는 ‘문제 발견을 위한 상황적 질문하기’, ‘학습론 책 선별해서 읽고 서평 쓰기’, ‘실제 도서관 탐방 보고서 쓰기’, ‘민주시민을 위한 정보윤리 교육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 관련 교양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 ‘우리 모두의 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알아차리기 -

        한만성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s for all’ related to public libraries as much as possible, design the learning content, and finally to demonstrate whether the contents meet the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 of universities. The public library is a study hall for multi-literacy, a common place for lifelong learning without discrimination, a place for experiencing digital sharing culture, a place for practicing public architectural design for community regeneration, a workshop for the maker movement and finally, a hub for forming local communities. In short, it has all the characteristics appropriate to being a commons. This subject titled “Sharing Culture and Local Libraries” is designed and composed with various literacy understanding, information ethics of information literac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ublic consciousness, cooperative spirit and computer utilization ability,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integrated perspective. In a situation where the regional and public crises are increasing, this kind of general education subject about public library,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library and further enhancing the local community togetherness spirit by spreading the value of the library widely to students and inducing them to actually experience various library services.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가진 ‘우리 모두의 장(공통장)’의 특성을 최대한 발견한 학습 구성요소 설계 및 대학의 일반교양 과목 요건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 구성이다.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문해력 향상의 연습장이자, 디지털 공유문화의 체험장, 차별 없는 모두의 학습장, 메이커 운동의 작업장 그리고 지역공동체 형성의 거점으로서 ‘우리 모두의 장’의 성격을 두루 갖추고 있다. 연구자는 다양한 문해력 이해, 정보활용능력의 정보윤리, 공동체 의식 및 다문화 이해, 공공의식과 협동정신 및 컴퓨터 활용능력, 학제적 지식 및 통합적 안목과 시각 등을 학습 구성요소로 설계하고 ‘공유문화와 지역도서관’이라는 명칭의 과목을 개설하였다. 이러한 공공도서관 관련 융합 교양 교과는 지역 및 공공성의 위기가 증대되는 상황에서 공공도서관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널리 확산하고 실제로 다양한 도서관 서비스를 체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지역도서관의 인지도 및 이용률 향상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주역(周易)≫ 혁괘(革卦)를 이용한 동양고전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 거점 국립대학의 한 교재를 중심으로 -

        한만성 ( Han Mahnsoung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1

        이 논문은 인문학의 다양한 분과 연구를 ≪周易≫과 목록학을 방법론 삼아 통합하고자 하였다. 대학 인문 교양 교육용 교재에 실린 동양편 여섯 작품에 관한 목록학적 성과를 요약하였고, ≪周易≫ 주역의 “革”괘를 적용하여 혁신의 의미를 읽어내고자 시도하였다. ≪道德經≫에서는 ≪藝文志≫와 ≪經籍志≫의 저록을 비교 분석하였다. ≪史記≫에서는 130편을 선별하여 교육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古文眞寶≫는 조선시대에 전범으로 읽혔던 ≪詳說古文眞寶大全≫ 판본의 문제들을 요약하였다. ≪마음≫에서는 소세키가 어떻게 동양 고전의 세례를 받아 근대문학을 개척하였는지 ≪蒙求≫의 영향을 제시하여 논증하였다. ≪아Q정전≫의 루쉰은 고전 작품의 창의적 읽기와 쓰기로서 혁신의 화신으로 재확인되었다. ≪가람시조집≫에서는 가람이 고전을 발굴하고 조직해 낸 서지학자로서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integrate the study of various branches of humanities with “I-ching(周易)” and “bibliography” as a methodology. In the six installments of the Asian Classics, which was published in the textbook for the reading of the liberal arts at the university, efforts were made to summarize the bibliographical achievement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innovation by applying the “Hyuk(革)” code. The Do-deok-gyeong(道德經) was used to compare the lists of Ye-mun-ji(藝文志) and Gyeong-jeok-ji(經籍志). The sa-gi(史記) was selected to discuss the need for a screening list of 130 episodes. The Go-mun-jin-bo(古文眞寶) summarizes the issue of Sang-seol-go-mun-jin-bo-daejeon(詳說古文眞寶大全), a version that was read mainly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standard. In “The Mind,” the influence of Mong-gu(蒙求) was given as an example of how Soseki pioneered the path of modern literature under the baptism of classics. It was reaffirmed that Lu Xun of “The True Story of Ah Q” was the embodiment of innovation that demonstrated the innovative reading of classical literature in practice. In “GARAM collection of sijo poems” the focus was on Garam as a bibliographer who excavated and organized the classics.

      • KCI등재

        『성호사설류선(星湖僿說類選)』의 판본 문제와 정보 선별 및 지식 분류

        한만성 ( Han Mahn-so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1 No.-

        『星湖僿說』의 그늘에 가려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던 『星湖僿說類選』을 정보 선별과 분류에 주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星湖僿說』 성호문고본과 『星湖僿說類選』의 20세기 印本인 朝鮮古書刊行會本, 文光書林本 그리고 朝鮮古書刊行會本의 底本으로 추정되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淨書本 ‘한古朝91-1’本을 함께 校勘하였다. 順菴이 『星湖僿說』이라는 방대한 지식의 보고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건져내어 『星湖僿說類選』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그 과정에서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많은 수의 『星湖僿說』 조목이 합성, 細註 附記 등으로 『星湖僿說類選』에 편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順菴의 선택과 편집은 의미 중복 항목의 합성, 제목 변경, 동류 취합 등 근대적인 분류 원리에 따라 繕寫 작업만 최소 5년 이상 걸릴 정도로 신중하고 치밀하고 이루어졌다. 筆記의 성격이 강한 『星湖僿說』에 잠재하던 類書의 특성을 발현한 『星湖僿說類選』은 星湖學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지식 역사 연구에서 『星湖僿說』 못지않은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text "Seong-Ho-Sa-Seol-Lyu-Seon(星湖僿說類選)" was focused on in terms of knowledge classification as it had mostly been shadowed by its original "Seong-Ho-Sa-Seol(星湖僿說)". The "Seong-Ho-Sa-Seol-Lyu-Seon" transcript of the Korea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printed editions of Japanese colonial era was compared and analyzed. An Jeong-bok’s process of restor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reconstructing it with "Seong-Ho-Sa-Seol-Lyu-Seon" was traced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re items from "Seong-Ho-Sa-Seol" were incorporated into "Seong-Ho-Sa-Seol-Lyu-Seon" than previously known. The elaborate selection and editing of Sun-Am(順菴), such as synthesis, title change, and collection of similar items depending on modern classification principles, had lasted for at least five years. It was concluded that "Seong-Ho-Sa-Seol-Lyu-Seon" should be considered to be as important as "Seong-Ho-Sa-Seol" in East Asian knowledge history as well as the study of Seong-Ho(星湖).

      • KCI등재후보

        대중적 인문고전독법과 동양고전읽기 교육

        한만성 ( Mahn Soung Han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건지인문학 Vol.15 No.-

        In this paper, three public figures` reading methods of classics are analysed. While Ko Mi-Sook delineates a reading method for ``unemployed people``, Suh Kyung-sik describes one for the ``minorities``. Shin Young-Bok`s Asian classical reading for ``growing forests`` is also discus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reading, Ko recommends the recitation of traditional learning. Suh raises the incorrect translation problems, particularly of poetry. Transcription of classics is found to be a good way of classical learning, such as Shin`s calligraphic work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to enhance the condition of humanities in universities, it is recommended that the Chinese characters` public education, including elementary schools must be further reinforced.

      • KCI등재

        정보활용능력 일반교양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서울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이광휘,한만성 한국비블리아학회 202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1 No.2

        This study reports a case where some university libraries played a major role in opening and educat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s a general liberal arts course. The librarian of the university library, who was also the speaker of this study, participated in the overall operation, including the conducting of two classes lectures during the second semester as a professor. It also analyzed a survey of 43 students from 27 departm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and 44 from 25 departments in the second semester to assess the pre- and post-education effects on the courses.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were obtained in both semesters. This study, which aimed at providing materials for librarians at university libraries raises the need for liberal arts education that integrates information and media literacy, is expected to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or improv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programs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정보활용능력을 대학 일반교양과목으로 개설하고 교육하는 데 주요 역할을 한 대학도서관의 사례를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저자이기도 한 대학도서관 사서는 교수자로서 2학기 동안 2개 반의 강의를 실행하는 등 전반적인 운영에 참여하였다. 또 강좌에 대한 교육 전후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019년 1학기 27개 학과 43명, 2학기 25개 학과 4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학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참고할 수 있는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 이 연구는 정보활용능력과 미디어 활용능력을 통합한 교양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향후 정보활용교육 방안 개선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