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년 정책에 대한 비판적 소고

        한건환(Gun-hwan Han) 한국융합코칭학회 2023 융합코칭저널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청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청년 정책의 안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청년기본법이 제정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국내에서 실시한 청년 정책의 출발과 흐름을 분석하고, 국내 청년정책 연구자들이 제안하는 다양한 대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현재 우리나라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책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 생애 발달 관점의 연구 필요성’ 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청년 정책에서 다루어지는 청년의 개념은 매우 모호하다. 이 연령 범위에 해당하는 청년들의 신체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은 매우 이질적지만 아직 청년 정책을 다룬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체계적 연구들이 미진한 상태이다. 발달적 관점으로 청년 정책을 살펴보았을 때, 한국 청년을 위한 정책은 단순히 청년만을 대상으로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영유아기와 아동기에 대한 분석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그들이 자라온 환경적 특성까지도 함께 분석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며 중년, 장년, 노년에 관한 연구까지도 포함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청년들이 향후 중년, 장년, 노년이 되었을 때 현재 청년 정책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정확하게 분석함으로써 미래의 청년을 위한 정책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코칭 분야 등 다양한 융합분야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청년 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청년의 범위에 해당하는 개인들을 대상으로 발달 맥락적 관점에서 장기적인 연구들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stabilise youth policies that are being implemented to address various issues of youth that are currently the subject of social concer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ses the development of youth policies in Korea since the enactment of the Youth Basic Law and examines various alternatives proposed by Korean youth policy researchers to suggest the need for youth research from a life-span development perspective, which is required for the sustainability of youth policies for young people in Korea. Currently, the concept of youth in youth policy is very vagu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in this age range are very heterogeneou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them in the field of youth policy. In order to understand youth policy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we need to analyse their infancy and childhood. Not only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which they grew up should be analysed, but also their middle, old age, and old age, which are equivalent to adults today. It is only when young people reach middle, old, and old age that we will be able to see how current youth policies are affecting them.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various convergence fields such as coaching. Therefore, if youth policies are to be successful, they will need to be supported by long-term, developmentally contextualised studies of individuals across the youth spectru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대한 매개된 조절모형 검증: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전담인력지지의 조절효과

        정명선 ( Chung Myung-sun ),한건환 ( Han Gun-hwan ),이경준 ( Lee Kyong-j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본 연구는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전담인력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를 통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활동보조인 249명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전담인력지지,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에 관해 측정하였고, SPSS 18.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담인력지지는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스트레스가 전담인력지지와 상호작용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감정노동과 전담인력지지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되면서, 본 연구의 매개된 조절모형이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해 논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diated moderation of job stress through social support from coordinators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A total of 249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answered a questionnaire including measures of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from coordinator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s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SPSS PROCESS macro.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rist, job stress turned out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social support from coordinators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erms of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whereas, the influence of job stress interacting with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ed moderation) was supported.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정명선(Myung-Sun Chung),이경준(Kyong-Jun Lee),한건환(Gun-Hwan 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0

        본 연구는 활동보조인의 사회적 지지, 자기조절,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특히 사회적 지지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총 330명의 활동보조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자기조절, 직무스트레스에 관해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중 276 사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PASW) 18.0과 SPSS용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동시입력방식의 조절회귀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및 자기조절은 직무스트레스의 감소에 기여하였다. 둘째, 자기조절은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절효과의 세 가지 기능 중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의 관리를 위해서는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현장에서 사회적 지지와 같은 외적 자원 외에도 자기조절과 같은 내적 자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on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in terms of their effects of on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We surveyed 330 personal assistants for the disabled and asked them what they thought about social support, self-regulation, and job stress. Among them, a total of 276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MMS) through the simultaneous-entry method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using SPSS (PASW) 18.0 and PROCESS Macro for SPS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nd self-regulation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job stress. Second, self-regulation turned out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and enhanc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decrease of job stress.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This study suggests that besides external resources such as social support, internal resources such as self-regulation are necessary in order to manage job stress in the field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disab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