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GC-1α유전자 다형성과 신체활동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신체구성, 혈압, 심폐체력의 비교

        강현식 ( H. S Kang ),조진경 ( J. K Choi ),하창덕 ( C. D Ha ),이신호 ( S. H Le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20대 건강한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PGC-1α유전자 다형(유전적) 및 PGC-1α 유전자 다형과 신체활동 수준(상중하)(유전적+환경적)에 따른 신체구성, 혈압 및 심폐체력의차이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대의 건강한 남녀 대학생 총 1286명을 대상으로 신체구성(신장, 체중, BMI, BF%, muscle, waist, WHR), 혈압 및 심폐체력을 측정하였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PGC-1a Gly482Ser을 분석하였다. 총 1286명을 대상으로 관찰된 PGC-1α 유전자다형의 빈도를 이용한 Hardy-Weinberg 평형성을 검정한 결과, 관찰된 PGC-1α 유전자 형질의 빈도는 기대(예측)빈도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국 20대 건강한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에 따른 신체구성, 혈압 및 심폐체력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과 신체활동 수준(상중하)에 따른 신체구성과 혈압은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중간 수준의 신체활동을 하는 집단에서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에 따른 심폐체력은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건강한 대학생의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은 신체구성, 혈압 그리고 심폐체력의 차이를 결정짓는 유전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PGC-1α Gly482Ser 유전자 다형과 신체활동 수준은 신체 구성과 혈압의 차이를 결정짓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 PGC-1a gene polymorphism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was associated with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CRF)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GC-1a gene were genotype in 1286 Korean college students by using the Real-Time Quantitative PCR with TaqMan detection chemistry, CRF was measured as the maximum volume of minute oxygen consumption during a graded treadmill testing, Body composition(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waist, WHR)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using our standardized protocols. Chi-square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Hardy-Weinberg equilibrium based on the genotype frequencies of the PGC-1a gene polymorphism in the study population, and its relative frequency were in the Hardy-Weinberg equilibrium.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 sample size(n=1286) of the current study represented the total population appropriately in terms of the PGC-1a genotype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 nd C RF was not s ignificantly d ifferent across the P G C-1a genotypes. Also,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ess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PGC-1a genotypes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but CRF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PGC-1a genotypes and middl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PGC-1a genotype is not associated with th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CRF in the korean college s tudents. Also, PGC-1a genotype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s not associated with th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in the korea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정상체중아동과 비만아동의 인슐린저항성지표 및 혈청 비스파틴 수준 비교

        강현식 ( H. S Kang ),하창덕 ( C. D Ha ),정영훈 ( Y,H Jung ),홍혜련 ( H. R. Ho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체중아동과 비만아동의 인슐린저항성지표 및 혈청 비스파틴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초등학교 12-13세 학생 총 220명(정상체중아동 183명, 비만아동 37명)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체계측과 7일간의 동작가속도계 착용을 통하여 신체활동 그리고 공복혈액을 이용하여 혈청 비스파틴과 인슐린저항성지표 등을 측정하여 두 집단 간의 평균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주중 2회 및 주말 1회 식이일지 작성을 이용하여 식단조사를 실시하고, Can-Pro(2.0)을 이용하여 식이섭취(탄수화물 섭취율, 지방 섭취율, 단백질 섭취율, 평균열량섭취 등)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상대로 비만아동은 정상체중아동에 비해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허리둘레, 허리-둔부 둘레비율,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만아동은 정상체중아동에 비해 인슐린, 호마지수, 렙틴, 비스파틴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만아동은 정상체중아동에 비해 1일 평균섭취열량이 유의하게 더 높고, 평균보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비만아동은 정상체중아동에 비해 고강도 운동시간이 더 낮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혈중 비스파민 수준에 대한 독립예측변인을 결정한 결과, 혈중 렙틴 (p =.003), 호마지수(p =.013), 고강도 신체활동(p <.001), 1일 평균열량섭취(p =.004)가 독립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만으로 인한 아동의 혈중 비스파틴 증가를 포함한 인슐린저항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식이조절과 고강도 신체활동을 동시에 포함하는 복합중재가 효과적일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sulin resistance markers and serum visfatin levels between normal weight and obese children. A total of 220 children (183 normal weight and 37 obese) aged 12-13 years were recruited from local elementary schools. Physical activities were objectively measured with an accelerometer for 7 consecutive days. Anthropometrics, blood pressure, lipids, glucose, insulin, and serum visfatin were measured following an overnight fast. Results showed:1) obese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Tanner scale(p =.004), body mass index(p <.001), percent body fat(p <.001), waist circumference(p <.001), waist-to-hip ratio(p <.001), systolic blood pressure(p <.001), and diastolic blood pressure(p <.001) than normal weight children; 2) obese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insulin(p <.001), homeostasis model of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p <.001), leptin(p <.001), and visfatin(p =.013) levels than normal weight children; and 3) obese children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 in physical activity than normal weight children. Multivariate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eptin(p =.003), HOMA-IR(p =.013), vigorous physical activity(p <.001), and caloric intake(p =.004)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erum visfatin levels in this study sampl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creased vigorous physical activity along with healthy diets should be major targets of lifestyle interventions against insulin resistance and elevated serum visfatin levels in obese children.

      • KCI등재

        아동의 PPARGC1A 유전자형(Gly482Ser)과 신체활동, 비만지표, 대사성위험인자와의 연관성

        안의수 ( E. S Ahn ),최규환 ( K. H Choi ),조진경 ( J. K Cho ),하창덕 ( C. D Ha ),강현식 ( H. S Ka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 coactivator-1α(PPARGC1A) 유전자의 Gly482Ser 단일염기다형성(SNP)이 아동의 비만지표와 대사성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경기도 지역 초등학생 283명(남=150, 여=133, 연령:8-1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PPARGC1A유전자 Gly482Ser SNP 분석은 TaqMan probe를 이용한 allelic discrimination assay법을 이용하였다. 측정변인으로는 신체활동량과 비만지표(체중, 신장,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엉덩이 둘레비율) 그리고 대사성위험인자(혈압,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인슐린, 호마지수)로 하였으며, Gly482Ser SNP(Gly482Gly, Gly482Ser, Ser482Ser)에 따른 모든 측정변인들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법과 bonferroni 사후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Ser482Ser 집단이 Gly482Gly 및 Gly482Ser 집단에 비해 체중(p =.016), 체지방율(p =.009), 엉덩이 둘레(p =.038) 그리고 체질량지수(p =.090)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PARGC1A 유전자의 Gly482Ser SNP 중 Ser482Ser 유전자형을 가진 아동은 비만에 대한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기에 비만 예방을 위한 더 많은 관리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 f the study was to inv estigate the genetic effect of the PPARGC1A gene on body fatness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n children.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of Gly482Ser(rs8192678) in the PPARGC1A gene was genotyped by using a Taqman assay in a total of 283 children (boys=150 & girls=133, aged 8 to 12 years) who were recruited from local elemental schools. Primary outcomes of the study included body composition parameters including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percent body fat and waist-to-hip ratio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cluding resting blood pressures,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asting glucose, insulin and homeostasis assessment model of insulin resistance(HOMA-IR). One-way ANOVA followed by bonferroni post-hoc tests was used to test an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and genotype at a statistical significance of p =.05. The Ser482Ser genotype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body weight (p =.016), percent body fat (p =.009), hip (p =.038) and body mass index (p =.090) than either the Gly482Gly or Gly482Ser genotyp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Ser482Ser genotype might play as a predisposed risk for obesity in Korean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