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부의 치주조직상태가 자간전증과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에 미치는 영향

        하정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855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은 영유아 사망 등의 주요 원인으로 공중보건의 대표적인 문제 중 하나이며,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구성의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더욱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율은 약 10% 내외로 나타나며, 조산 혹은 저체중 영아의 경우, 호흡기계 질환, 심혈관계 이상, 간질, 심각한 학습 장애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자간전증은 임신 20주 이후에 고혈압과 함께 단백뇨가 나타나는 임신 특이성 질환으로 발병률이 약 2-8%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모체와 신생아의 질병 및 사망의 주요 원인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과 자간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으로는 현재까지 흡연, 음주, 약물남용, 산전관리의 소홀, 영양 및 호르몬 문제 등으로 보고된바 있으나, 감염이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어, 구강 내의 만성염증질환인 치주염이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과 자간전증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임부를 대상으로 임신기간 중 치주조직상태가 자간전증과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로써, 2009년 3월부터 2013년 6월까지의 연구기간 동안 서울대학교 병원 산과에 정밀초음파 수진을 위해 내원한 제태연령 21-24주 임부 중에서 본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임부를 대상으로 자기기입 설문조사 및 치주조직 검사, 치면열구액 채취를 수행하여,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 여부 및 자간전증 발생 여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주염에 이환되었을 때 자간전증이 발생할 위험이 5.2배 높게 나타났으나, 치주염과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2. Fusobacterium nucleatum의 양이 많은 경우, 조산할 위험이 4.2배, 저체중아를 출산할 위험이 2.9배, 자간전증이 발생할 위험이 3.9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orphyromonas gingivalis와 Tannerella forsythia의 양이 많은 경우, 자간전증이 발생할 위험이 각각 3.9배, 5.5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치주염에 이환된 상태이면서, P.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F. nucleatum, T. forsythia 및 Treponema denticola 치주병원균의 양이 많은 경우 자간전증이 발생할 위험비가 각각 6.5배, 5.9배, 9.0배, 12.2배, 7.6배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치주염에 이환된 상태가 아니지만 F. nucleatum의 양이 많은 경우, 저체중아를 출산할 위험이 3.3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신기간 중 치주염에 이환되어 있거나, 주요 치주병원균의 양이 많은 경우, 자간전증 발생과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기업 내 개인의 리더십 스타일과 조직문화 인식 관계 연구

        하정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이 현재 및 선호하는 조직문화 유형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직급,직종.직군,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이 연구결과는 조직 내 조직문화 인식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내부 갈등의 중요한 원인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조직 내 문화적 차이로 인한 심리적 갈등과 조직 불신을 최소화하고,올바른 방향으로 조직 문화를 발전시켜 나가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문화에 관한 문헌고찰과 국내 대기업 1곳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연구도구를 사용하여,직급,직종.직군간 조직문화 인식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조직문화 인식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결과,조직문화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직급간,직종.직군간 차이가 있었으며,리더십 스타일에 있어서는 선호하는 조직문화 인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직급에 따른 현재 및 선호하는 문화 유형 인식에 있어서 부서의 책임자인 ‘팀장’의 경우 다른 직급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팀장의 경우,다른 직급에 비해서 현재 문화로 관계 및 혁신문화를 응답하는 비율이 높고,위계문화는 낮았다.이러한 결과는 팀장은 부서를 책임지고,문화를 만들어가는 조직 내 중간 관리자로서 최근 조직 내 많이 요구되는 가치인 관계,혁신지향성은 과대평가하고,위계지향성은 과소평가한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결과는 팀장과 팀원들의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팀장은 현재를 만족스러운 팀 분위기로 평가하지만,실제로 팀원들은 불만이 쌓일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향후에는 팀장들이 자신들의 팀 문화를 제대로 인식하고,팀원들의 욕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과 상호 간 인식의 폭을 좁힐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둘째,개인에게 부여된 과업의 특성인 직종 및 직군에 따라서 조직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였다.직종 및 직군에 따른 현재 및 선호하는 조직문화 조사 결과,구매/물류,기획,영업/마케팅,사업장 관리 부문은 비교적 업무상 책임과 역할이 뚜렷하고,조직으로부터 부여된 목표와 성과가 명확하여,현재 및 선호 문화 유형에 있어서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반면 기술직,서비스,일반사무,자산시설관리 직군은 조직문화 인식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 전문성보다는 다양한 역할을 병행해서 수행해야 하는 직무의 경우에는 조직 방향성에 혼란이 많은 것으로 이해된다.셋째,개인의 행동성향인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선호하는 조직 문화 유형이 다를 수 있음을 부분적으로 증명하였다.기존 연구에서는 개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최고 경영자나 관리자들의 리더십 스타일에 따른 현재 조직문화 유형의 차이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본 연구를 통해서 선호하는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성향과의 관련성을 새롭게 제시하게 되었다.연구결과,단일 조직 내 소수 응답비율을 나타낸 혁신,위계문화에서만동일한 가치를 추구하는 리더십스타일 유형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조직의 전체방향과 다르게 조직문화를 인식하고,선호하는 경우 개인의 성향,가치관이 더 반영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이는 조직 내 반문화형성의 중요한 원인을 발견한 것으로 해결책의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개인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조직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동일 조직(또는 부서)내의 구성원이라 해서 모두 같은 유형의 사람으로 취급해서는 안되며 개인의 조직 내 역할에 따라 현재 조직을다르게 인식하고,다른 방향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이러한 연구 결과 토대로 조직문화를 만들어 가는데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조직 관리자나 HRD 담당자들은 조직구성원의 개인적 성향과 조직 내 역할 등을 고려하여 서로 간의 차이를 이해시키고 발전적 방향으로 논의가 될 수 있도록 조직과 조직구성원의 다리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organizational members' perception of their current and preferre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depending on their ranks, job responsibilities & positions and leadership styles and thereby, determine the major causes for development of theintra-organizational conflicts into perceived difference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reupon,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minimization of the psychological conflicts and distrust of the organization due to differenc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rrect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literature about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reupon, sampled a large company in Korea for a questionnaire survey. A survey tool proven for its reliability andvalidity was used for the tabulation testing the differenc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depending on ranks, responsibilities & positions as well as for one-way ANOVA testing the differences of perceivedorganizational culture depending on the leadership styles.As a result, there was found differenc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depending on ranks and responsibilities & positions as well as on the leadership styles.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First, 'team leaders' had quite different perception of their current and preferre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than other ranks. More of them than others perceived that their current organizational culture was relational and innovative, while it was less hierarchial. Such results seemed to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because team leaders were middle managers responsible for their teams,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ey tended to overestimate the relational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required much recently, while underestimating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Such resultsmay represent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team leaders and members; team leaders tend to assess the current organizational culture as satisfactory, while team members may be dissatisfied withit.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leadership program whereby team leaders can recognize their team culture correctly and understand their team members' needs, while providingfor diverse opportunities to narrow the gap of perception between team leaders and members.Second,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differed depending on responsibilities & positions given to individual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current and preferredorganizational cultures depending on responsibilities & positions, it was found that such departments as purchasing/logistics, planning, operation/marketing and business center management were relatively clearly defined for their business responsibilities and roles with their goals and achievements apparently specified. Thus, there was narrower difference of perception of the current and preferredorganizational culture among those staff and employees working for such departments. In contrast, there was found wider difference of perception among engineers, service people and administrativeofficials, which suggests that those staff and employees obliged to perform diverse roles rather than a single professional role may beconfused about directionality of their organization.Third, this study proved partially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preferred might differ depending on individuals' behavioral tendencies or leadership styles. Preceding studies have focused mostly on difference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depending on individuals' demographic variables or top management's or managers' leadership styles, but this study sugg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preferred and organizational members' behavioral tendencies. After all, this study found that the innovative or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rarely perceived in the sampleorganization was highly related with the leadership styles pursuing the same values. Such finding may well be interpreted in such a way that many organizational members may recognize or prefer theirorganizational culture differently from their organizational direction, while their perceived or preferred organizational culture may reflect their personal traits or value systems. Such assumption may providefor an important clue to resolution of an anti-organizational culture.All in all, this study proved that diverse organizational cultures could be perceived depending on individuals' traits. So, it is not desirable to treat the members of the same organization (or department) uniform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they may perceive their organization differently, expecting it to change in different directions.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quired of organization managers or HRD personnels playing a core role in creat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ir organizational members' personal traits and intra-organizational roles and thereby, help them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the others' perception and discuss them in a positive way and thereby, play a role of bridge between their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하정은 차의과학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55

        Objectives: Pain management at terminal cancer stage has been more emphasized and opioid analgesics are the key medication. Newly introduced different formulations of opioid analgesics, changed perceptions of opioid analgesics preferred to narcotics, and updated clinical practice and reimbursement guidelines are expected to increase usage of opioid analgesics and to alter prescription patterns for cancer pain control. Meanwhile, increased volume of opioid analgesics being prescribed has contributed to develop adverse effects 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buse/misuse. Most opioid analgesics have been controlled as narcotics due to potential risk of serious adverse effects and addiction. However, there is still a concern of misuse and abuse of unused opioid analgesics due to lack of return and disposal guidelines. First of al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atterns of opioid analgesics use in major cancer patients during the last 6 months immediately before death. And then,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regarding the residual status of unused opioid analgesics after death. Methods: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Jan 2014-Dec 2015) form National Health Insurance Sharing Service were used. Among the cancer patients who died in 2015, the subjects included 10 cancer types (lung cancer, liver cancer, stomach cancer, colorectal cancer, pancreatic cancer, gall bladder & biliary duct cancer, breast cancer, prostate cancer, non-Hodgkin’s lymphoma, leukemia). Opioid analgesics including all narcotics prescribed and pharmacological opioid analgesics (buprenorphine, nalbuphine, pentazocin, tramadol) were included based on National Drug Formulary during study period. Opioid analgesics user was defined as the patient prescribed oral formulation ≥ 30 days or fentanyl patch ≥ 10 each during the last 6 months before death. In the analysis of unused opioid analgesics remaining, the remaining patients with opioid analgesics was defined as the patients whose end of the prescription period on the claim was longer than the date of death. Injectable opioid analgesics and fentanyl nasal spray were excluded in this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regarding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state of remaining opioid analgesic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factor affecting residual amount of opioid analgesics.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software version 9.4.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CHA University before study initiation. Result: A total 71,008 cancer patients died in 2005. Among them, 40,875 (57.6%) patients were opioid analgesics users. 76.6% of opioid analgesics users were 60 ≥ year old and 63.7% were male. Opioid analgesics were predominantly prescribed at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91.2%) and in Hematology/Medical Oncology (42.8%). Pancreatic cancer showed the highest rate of opioid analgesic use during the last 6 months before death (73.3%). 71.7% used opioid analgesics within 1 month before death, and 96.5% within 3 months. The use of injectable opioid analgesics (only remifentanil) was very small (6.8%). There was no use of nalbuphine, pentazocine, and pethidine that are not recommended in chronic cancer pain control. Fentanyl including patch and oral formul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prescribed analgesic, followed by oxycodone, acetaminophen/tramadol, and oxycodone/naloxone. The number of remaining patients with opioid analgesics was 11,989 (29.3% of opioid analgesic users). 80% of them were ≥ 60 year old and 65% were male. Lung cancer was the most common (34.3%) cancer type. The median residual days of opioid analgesics per patient with interquartile range was 18 days (7, 38) and the median residual amount was 28 (9, 72) each. Short-acting opioid analgesics remained more than conventional and sustained-release oral formulation, and remained the least amount of external formulation. Weak opioid analgesics remained more than strong opioid analgesics. Based on 14,989 claims, the median number of days prescribed for opioid analgesics per claim was 42 days (28,73), the median residual days were 15 days (6,33), and the median residual amount was 24 (7,63) each. Breast cancer showed the longest prescription days with [56 (30,90)] and the most residual amount with [33 (10,93)]. On the contrary, leukemia had the shortest prescription days with [28 days (14,54)], and the least residual amount with [11.5 (4,32)]. The residual amou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ertiary general hospitals (OR 2.2, 95% CI 1.5-3.3) and general hospital (OR 2.0, 95% CI 1.3-2.9) than in the clinic. Hematology/Medical Oncology showed higher residual amount (OR 1.7, 95% CI 1.5-1.8) than other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Prescription days with 30-59 days (OR 5.2, 95% CI 4.3-6.4) and ≥ 60 days (OR 34.3, 95% CI 28.4-41.6) had higher residual amount than < 30 days. Therefore, prescription days affected on the residual amount the most significantly. Conclusion: We found that various opioid analgesics with oral or non-oral formulation were used especially fentanyl and oxycodone in the end of stage of cancer. Tramadol/acetaminophen also was frequently being used and remained with significant amount. In this regard, further consideration for appropriate management for tramadol is necessary. It was confirmed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opioid analgesics remained after death of cancer patients. If the remaining opioid analgesics are not returned or discarded adequately, there is a potential risk of serious adverse events from abuse/misuse and addiction. Therefore, a policy for the management of the remaining opioid analgesics should be established. Key words: Cancer pain, Opioid analgesics, Narcotics 배경 및 목적: 마약성 진통제는 암성 통증 조절을 위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한편으로는 탐닉과 중독의 우려 때문에 마약으로 분류되어 마약류 관리절차에 따라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 말기 암환자는 사망 전까지 암성 통증 조절을 위하여 의료용 마약을 지속적으로 투여받을 수밖에 없는데, 약제가 변경되거나 또는 사망으로 인해 잔여량이 발생하더라도 반납할 의무가 없고 반납기관도 제한적이며 그 절차도 까다로워 상당량의 의료용 마약이 회수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말기 암환자가 투여받는 의료용 마약은 대부분 강도가 높고 고용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통증조절 목적이외의 용도로 오·남용시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타인에게 노출시 중독의 우려가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기 암환자가 사망 전 6개월간 사용한 마약성 진통제의 성분 및 제형별, 암종별, 요양기관별, 진료과별 등에 따라 처방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후 사망한 암환자에게 투약 후 회수되지 않은 마약성 진통제의 종류와 잔여량을 추정하여 그 실태를 추정하고 잔여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잔여량 관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5년에 사망한 환자 중 10대암[폐암(C33-C34), 간암(C22), 위암(C16), 직결장암(C18-C21), 췌장암(C25), 담낭 및 기타 담도암(C23-C24), 유방암(C50), 비호지킨림프종(C82-84), 백혈병(C91-C95), 전립선암(C61)]에 해당하는 암종의 질병분류코드(주상병 및 모든 부상병)를 가지고 암성 통증 관리를 위하여 사망 전 6개월간 마약성 진통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마약성 진통제 지속사용자는 사망전 6개월간 경구형 마약성 진통제를 30일 이상 또는 fentanyl 패취를 10개 이상 투약한 환자로 정의하였다. 마약성 진통제는 2014-2015년에 급여등재목록에 수재된 의료용 마약과 약리기전상 마약성 진통제(buprenorphine, nalbuphine pentazocin, tramadol)를 포함하였다. 처방기간 종료일과 사망일을 비교하여 사망일이 처방종료일보다 짧은 암환자를 마약성 진통제 잔여환자로 정의하였다. 잔여 환자를 대상으로 약제별 잔여일수와 잔여량을, 잔여 환자의 외래에서 발행된 잔여 명세서를 대상으로 암종별, 요양기관별, 진료과별, 처방일수, 잔여일수, 잔여량을 추정하였다. 잔여량 분석에서는 주사제형의 마약성 진통제와 fentanyl 나잘 스프레이는 제외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의 범주형 변수는 빈도 및 백분율로 제시하였으며, 연령 등의 연속형 변수는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사분위수, 합계 등을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마약성 진통제의 잔여량에 영향을 주는 변수와의 연관성은 회귀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값은 오즈비와 오즈비의 95% 신뢰구간으로 제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 software version 9.4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5년에 총 71,008명의 10대암 환자가 사망하였고, 이 중 40,875명(57.6%)이 마약성 진통제 지속사용자였으며 76.6%가 60세 이상, 63.7%가 남성이었다. 마약성 진통제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대부분 처방되었고(91.2%), 진료과중 혈액종양내과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었다(42.8%). 사망 이전 6개월간 마약성 진통제의 지속사용자 비율은 췌장암이 가장 높았다(73.3%). 사망한 암환자의 71.7%는 사망 1개월 전에 마약성 진통제가 사용되었고, 사망 이전 3개월간에는 96.5%의 암환자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였다. 주사제로 유일하게 remifentanil만 미미하게 사용되었으며(6.8%), 만성 암성 통증에서 사용이 제한되는 pethidine, nalbuphine, pentazocin의 사용은 전무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마약성 진통제는 fentanyl 패취였고, 다음으로 oxycodone, acetaminophen/tramadol, oxycodone/naloxone 경구제의 순이었다. 마약성 진통제 잔여환자는 11,989명이었으며, 이 중 폐암 환자가 가장 많았고(34.3%), 60세 이상의 환자는 9,576명(80%)이었다. 이들 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잔여일수의 중앙값(interquartile range)은 18일(7, 38), 잔여량의 중앙값은 28개(9, 72)이었다. 강도가 약한 마약성 진통제가 강한 마약성 진통제보다, 속효성 경구제가 일반 및 서방형 경구제보다 잔여량이 더 많았고, 외용제의 잔여량이 가장 적었다. 명세서당 마약성 진통제 처방일수 중앙값은 42일(28,73), 잔여일수 중앙값은 15일(6,33), 잔여량의 중앙값은 24개(7,63)였다. 처방전당 처방일수가 가장 긴[56일(30,90)] 유방암이 잔여량도 가장 많았고[33개(10,93)], 처방일수가 가장 짧은[28.5일(14.5,56)] 백혈병은 잔여량 또한 가장 적었다[11.5개(4,32)]. 잔여량은 의원보다 상급종합병원(오즈비 2.2, 95% CI 1.5-3.3), 종합병원(오즈비 2.0, 95% CI 1.3-2.9)이, 타 내과보다는 혈액종양내과가(오즈비 1.7, 95% CI 1.5-1.8)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1회 처방일수가 30일 미만인 경우보다 30-60일 미만일 때(오즈비 5.2, 95% CI 4.3-6.4), 60일 이상일 때(오즈비 34.3, 95% CI 28.4-41.6) 잔여량이 더 많이 발생하여 처방일수가 잔여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현황과 암성 통증 진료지침의 권고사항과 비교한 결과, 주사제의 사용이 거의 없었고 권고되지 않는 약제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 등이 확인되어 권고사항의 준수가 확인되었다. 또한 병용요법의 조합을 분석한 결과, 기저 통증 뿐만 아니라 돌발 통증 관리의 개념도 자리 잡아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말기 암환자가 처방받은 마약성 진통제가 사망 이후 미사용 상태로 상당량 남아있으며, 특히 처방일수가 길수록 잔여량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말기 암환자의 사망 이후 미사용되고 남아있는 마약성 진통제를 체계적으로 회수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이로 인한 약물 오·남용 및 중독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 음악을 이용한 학습장애 개선 방안 연구

        하정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학습장애는 정신적, 신체적, 정서적 장애가 주요원인이 아니면서 기본적인 심리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문제를 나타내어, 자신의 잠재적 학습능력을 성취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킨다. 주의집중, 지각, 기억 영역에서의 결함은 발달상의 학습장애를 일으키며 이와 같은 과정에 결함이 생기면 읽기, 쓰기, 사고하기, 산수 등의 영역에서 기대되는 학년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지각능력은 인간의 중요한 정신능력으로 모든 인지와 기억의 기본이 된다. 공간인식과 운동지각은 지각의 기본적 구성요소로써 이들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학업 성취를 높일 수 있는 준비를 마련하는 것이다. 음악의 본질적 특징에는 공간성과 운동성이 내제 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우리가 음악을 체험할 때 기본이 되는 선율 현상은 리듬, 박자, 음색 같은 차원들과 함께 순간순간 달라지며 소리 안에서 운동을 만들어 낸다. 또한 우리가 음악을 들으면서 음높이를 인식할 때 공간의식은 만들어지며 여기에 여러 요소가 결합되면서 그 의식은 확장된다. 그러므로 음악적 공간성과 운동성을 지각하는 연습은 아동의 지각능력의 일부인 공간인식과 운동지각을 촉진시키고, 이로써 학습의 기본적 심리과정의 향상을 가져와 학습장애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음악의 공간적 측면과 운동적 측면이 강조된 음악활동은 학습장애의 지각문제를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1 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문제제기, 목적 그리고 방법을 논하고 2 장은 본론으로 학습장애 아동들의 일반적 원인과 특성, 그리고 치료 교육에서 큰 주류를 이루는 지각문제를 다루고 나서, 이 지각능력을 발달시키는데 기본이 되는 공간지각과 운동지각이 음악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A major cause for learning disabilities is not a mental, physical or emotional disorder, but more than one disabilities that have occurred in the basic progress of mentality forbid the learner to display his potential learning ability. Defects in concentration, perception or memory bring disabilities to developmental learning and prohibit children from achieving expected ends in such areas as reading, writing, thinking and calculation. Perception is an important ability of human mind and is a foundation of human intellect or memory. Cognition of space and perception of movement are basic components of human perception, and to improve these is to establish a basis to heighten the efficiency of learning. When we experience music, the principal object of appreciation is the melodical phenomenon which varies every moment along with rhythm, meter or timbre and evokes certain movements with sound. When we listen to music and realize its pitch, our sense of space begins to form and keeps on expanding as other elements are being combined with it. Therefore, training children's perception of space and movement through music will surely promote their ability, improve the basic mental progress of learning, and help them to overcome their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aims at making the best use of musical activities in which spatial and movemental aspects are being emphasized to improve the perceptional problem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 attain this aim, the subjects, purpose and methods of study will be discussed in the first chapter, an introduction; and in the second chapter general causes for children's learning disabiliti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perceptional problems, the major object of therapeutic education will be investigated to clear out the fact that perception of space and movement, a foundation to develop children's perception, can be improved through music.

      • 딜레마 사례 분석을 통한 초등 사회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하정은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딜레마를 파악하고, 교사의 딜레마가 초등 사회과 수업전문성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사가 경험하는 딜레마의 사례를 분석하여 사회과 수업에 영향을 주는 환경과 수업 실행의 주체인 교사를 이해하고, 나아가 사회과 수업전문성 신장에 주는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학교의 지역적 특성과 상황, 교직 경력, 사회과 전공 배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5학년을 담당하고 있는 두 명의 초등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그들이 사회과 수업에서 경험하는 딜레마를 파악하기 위하여 5학년 1학기 경제 단원의 6차시 수업을 참여 관찰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두 교사는 사회 수업에서 다음과 같은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었다. 먼저, L교사는 교과서의 경제 개념을 일상적 용어로 가르칠 것인지 학문적 개념으로 가르칠 것인지에 관한 딜레마, 교육과정을 고려하다 보니 학생의 다양한 생각을 교육과정의 의도대로 수렴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오는 딜레마, 교사의 가치·신념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성과 관련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C교사는 사회 교과서에 나오는 개념·용어를 다루는 과정에서 농촌학교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면서 경험하는 딜레마, 그래프 해석에 관한 학생들의 수행 능력에 대한 교사의 낮은 기대로 인한 딜레마, 학생 중심의 활동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딜레마 사례에서 나타나는 딜레마의 상황과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연구 참여자는 공통적으로 사회 수업 내용과 학생 수준의 불일치로 인해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그들은 경제 단원에서 교과서에 나오는 학문적 개념을 그대로 가르치는 것과 학생들의 이해를 고려하여 일상적 용어로 바꾸어 설명하는 것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가에 대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특히, 농촌지역에서 근무하는 C교사는 학생들에게 사회 교과서의 용어를 자세히 가르치는 것이 진짜 사회 수업과는 거리가 멀다고 느껴져 불만족했으며, 용어를 자세히 가르치지 않으면 학생들이 교과서의 개념을 접할 기회를 제한하게 되어 학생들의 기초 학력 저하를 심화시키지 않을까 우려하였다. 둘째, L교사는 사회 교과서의 내용과 다른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딜레마와 사회 수업 시간에 사회 비판적 시각을 교육내용으로 삼아도 될지에 대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그의 수업에서 학생들은 경제 성장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한 교과서의 내용과 어긋나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따라 L교사는 그런 반응에 어떤 식으로 대응해야 할지가 난감해져 이를 딜레마 상황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교사가 가치·신념을 바탕으로 사회과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는 데 있어 교사의 자율성이 어느 수준까지 가능할지와 관련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딜레마는 학부모와 관리자가 교사의 가치·신념에 근거한 사회 수업 내용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근거를 요구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발생했는데, 이때 학부모와 관리자라는 존재는 교사가 지향하는 사회 수업의 실행을 꺼리게 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셋째, C교사는 사회과 활동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그는 재미있는 사회과 수업을 만들기 위해 활동 중심의 수업을 계획하였는데, 수업 과정에서 ‘재미’는 있지만 ‘의미’는 없는 수업이 되는 것 같아 이러한 상황을 딜레마로 인식하였다. C교사가 추구하는 활동 중심 사회과 수업의 기저에는 재미있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과 학부모, 관리자의 좋은 평판을 받고 싶은 마음이 자리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두 교사의 딜레마 사례가 초등 사회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 교사는 학생의 삶과 사회과 교육과정을 매개하는 과정에서 딜레마를 경험하고 조절함으로써 수업전문성을 신장한다. 사회 수업 내용과 학생의 수준의 불일치, 사회과 교육과정 넘어서기에 대한 교사의 불안, 활동 중심 수업에서 학생의 소외 경험 등은 현실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사회과에서 가르쳐야 할 본질적인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한 교사의 수업성찰과 관련된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 둘째, 초등 사회과 교사는 자기반성(self-reflection)과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수업성찰의 과정에서 딜레마를 경험하고 조절함으로써 수업전문성을 신장한다. 교사는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 돌아보며 사회과 교사로서 자신의 역할과 관련한 딜레마를 경험하고 조절하며,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활동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수업과 관련된 딜레마를 인식하고 자신의 수업을 반성한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사회과 수업에서 경험하는 딜레마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과정이 사회과 수업전문성 신장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사회과 수업 딜레마와 수업전문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 대형서점 문화콘텐츠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도서 리커버 및 문화상품 개발을 중심으로

        하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소비문화가 감성적 측면으로 변화하였고, 문화콘텐츠가 활용된 상품에서 디자인이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브랜드와 유통업계가 문화콘텐츠 상품을 제작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출판 산업은 소비자의 아날로그적 감성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전략을 통해 종이책 판매를 위한 마케팅의 일환으로 도서콘텐츠를 활용한다. 리커버 디자인 전략과 굿즈 디자인 전략을 통해 소비자의 감성심리를 자극하고, 소장욕구와 구매 욕구를 상승시켜 판매까지 이어지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서점 문화콘텐츠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현재 대형서점에서 출판사와의 협업으로 도서의 리커버와 함께 굿즈의 단독 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교보문고의 <리-커버:K>, 예스24의 <리멤버북>, 알라딘의 <본투리드>로 각 프로모션이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서점들의 프로젝트 안에서 리커버와 굿즈의 디자인 전략이 이루어진 도서의 사례를 각 10개씩 총 30개로 정리해 선정하였다. 도서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의 요소를 연구하기 위해 시각적 연관성과 의미적 연관성을 분석하고, 디자인 컨셉을 통해 디자인의 의미를 연구하였다. 도서와 굿즈의 시각적 연관성을 함께 비교하기 위한 분석의 이론을 찾을 수 없어,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연관성을 도서와 굿즈의 사례를 비교분석 후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타이포그래피, 그래픽 모티프의 4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의미적 연결성은 도서콘텐츠와 굿즈가 어떻게 연결 되어 있는지 도서 속 문장의 인용, 주제와의 연결, 작가와 연결, 도서 속 내용에 등장하는 상품군 연결의 4가지로 정리하였다. 도서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콘텐츠와 굿즈의 의미적 연관성이 없는 사례는 도서와 굿즈의 시각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체적으로 시각적 연관성을 중심으로 통합적 디자인 성향을 보였고, 그중 의미적 연관성까지 있는 사례가 더 좋은 사례로 분석되었다. 시각적, 의미적 연관성이 모두 해당되는 대표적인 사례로 <교보문고 리커버:K>의 도서 끌림, <예스24 리멤버북>의 도서 말그릇, <알라딘 본투리드>의 프랑켄슈타인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콘텐츠가 굿즈로 제작되었을 때 일상의 경험을 제공하고, 희소성 있는 상품이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서콘텐츠를 시각적, 의미적으로 연결했을 때 콘텐츠 디자인의 확장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콘텐츠를 활용한 디자인의 시안을 진행하였고, 디자인 시안의 선호도 조사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문화콘텐츠의 활용과 굿즈 상품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Consumer culture has changed to emotional aspect, and design is becoming an important element in products where cultural contents are used. Brand and distribution industries produce cultural contents products and create value added. The publishing industry uses book contents as part of marketing for the sale of paper books through design strategies based on consumers' analog feelings. Through the Reckerber design strategy and the Goods design strategy, consumers are encouraged to feel emotions.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analyze the design elements of large bookstore cultural contents. Three bookstores were chosen to sell design books that were sold jointly with publishers and the products used in the contents of the book. were analyzed, and the meaning of design was studied through design concepts. No theory of analysis can be found to compare the visual associations of books and goods. In this study, we drew four elements of color, illustration, Typography, and graphic motif after comparing the visual associations of books and goods. A connection of meaning was organized into four ways of linking book contents to the goods, quoting story in the book, connecting to themes, connecting authors, and connecting product groups in the contents of the book. The analysis of design cases using book contents showed that there was a visual connection between the books and the goods that did not have a meaningful connection between content and goods. Generally, there was an integrated design bias centered on visual relevance, among which meaningful associations were analyzed as a better example. A typical example of visual and semantic associations was analyzed as a Book <Attraction of Kyobo> of The Kyobo Bookstore <Re-cover:K>, Book <A Bowl of word> of The Yes24 <remember book>, Book <Frankenstein> of The Aladdin <Bon to read> In this study, the book contents provided daily routine experience when they were made into goods and found that scarce products moved consumers ' minds.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highly scalable in content design when the contents of a book are visually and semantically link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a graphic design using book contents was condu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the design draft.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us utilize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future and manufacture the goods of the Goods.

      •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외로움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하정은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과 SNS중독경향성 간 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 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 제시, SNS중독경향성, 외로움,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34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 료 분석은 SPSS 25.0과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 관분석, 매개효과검증, 조절효과검증,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순서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외로움, SNS중독경향성은 서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 사회적 지지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외로움, SNS중독경향성과 각각 유의한 부 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로움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는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유의하 게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사회 적 지지를 통한 외로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절된 매개 효과가 부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지 수준이 평균 이 하일 때만 외로움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수 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종합해보면,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높을수록 외로움이 컸으며, 이는 SNS중독경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완벽주 의적 자기제시와 외로움이 높더라도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SNS중독경향성 을 완화시키는 데 사회적 지지의 역할이 중요하며, SNS중독경향성을 보 이는 대학생의 교육 및 치료장면에서 사회적 지지 자원을 활용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확인하고, SNS중독경향성의 예방 및 완화를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and SNS addiction tendency.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using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NS addiction tendency,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measures, and 343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in the order of boarding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modulated effect verification, and regulated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ha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In addition,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misfit correlation with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tendency, respectivel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loneliness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Third, afte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tendency,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tendency.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through social support was parti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was significant only whe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was below average, It was not significant at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In sum, the higher the perfectionist self-suggestion of college students, the greater the loneliness, This has been shown to increase SNS addiction tendency. However, even if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and loneliness were high, the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did not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As a result, the role of social support is important in alleviating SNS addiction trends, It suggests the need for intervention utilizing social support resources in the educational and treatment scen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tend to be addicted to S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and provides evidence for preparing intervention measures to help prevent and mitigate SNS addiction ten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