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기 뇌성마비아동의 음운처리과정 특성에 따른 단어재인 훈련 효과

        하가영(Ga Young Ha),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배경 및 목적: 본 논문은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단어재인에 나타난 음운처리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에게 음운처리 과제유형에 따른 읽기훈련을 실시하여 단어재인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분석하여 읽기발달에 좀 더 효과적인 음운처리 훈련방법을 살펴보았다. 방법: 학령기뇌성마비아동들의 단어재인에 나타난 음운처리과정의 특성을 보고자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뇌성마비 아동과 일반아동 각 20명에게 음운인식과 음운작업기억 과제를 평가하여 집단간의 차이와 단어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효과적인 음운처리 훈련방법을 알아보고자 뇌성마비아동 20명 중 10명씩 배정하여 각각 12회기의 음운인식-중심 훈련과 음운작업 기억-중심 훈련을 실시하였다. 결과: 학령기 뇌성마비아동들의 음운처리과정은 일반아동보다 음운처리 과제의 정확율이 낮으며, 음운작업기억 과제가 단어재인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음운처리 과제유형에 따른 읽기훈련은 두 과제유형에서 모두 습득효과를 보였으나, 음운작업기억-중심 훈련이 좀 더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음운작업기억-중심 훈련 집단은 과제 간의 일반화 효과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초기 읽기수준의 학령기 뇌성마비아동들에게 음운작업기억을 통한 읽기훈련은 좀 더 안정된 음소인식을 제공해 주며, 숙달된 읽기로 전환하는 데 음운인식보다 좀 더 효과적인 중재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experiment portion compared the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ith the skills of younger language-matched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 the second experiment attempted to explore the effect of two different kinds of phonological processing interventions on reading skills. Methods: Twenty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wenty language-matched, typical children (age 6) participated in the first experiment. The participants were tested with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working memo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its impact on word recognition were analyzed. In the second experiment, each group of ten people were assigned to a phonological awareness-centered training program and a phonological working memory-centered training program. They were administered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and word recognition skill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Results: The group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in two types of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and word recognition than the language-matched children. In addition, the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ccounted for only 25% of the variance in word recognition. Both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and phonological working memory intervention increased the rate of correct responses. The phonological working memory-centered training group improved regardless of the intervention type. On the other h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centered training groups improved only on the trained task. Discussion & Conclusion: Even though all of the children who received phonological processing training made significant gains in word recognition, the phonological working memory intervention seemed to be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word recognition skills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KCI등재

        특수교육과 관련된 치료서비스에 대한 질적연구

        김영태(Young-Tae Kim),송영준(Young-Joon Song),육주혜(Ju-Hye Yook),이병인(Byoung-In Lee),하가영(Ga-Young Ha),박소현(So-Hyun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최근에 마련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제시한 관련서비스에 대해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서 특 수교육과 치료서비스 간의 전달체계, 지원내용 및 방법에 대한 제안과 요구들을 분석하였다. 방법: 질문지를 개발하여 6인의 전문가들을 방문하여 개별면담을 하였다. 면담내용은 대상자들의 동의하 에 모두 녹음한 후 일주일 이내에 전사하였으며, 전사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부호화(coding) 하였고, 부호들(codes) 간의 연속적인 비교를 통해 주제와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3개의 주 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주제인 치료지원의 전달체계에 대해서는 지원센터의 설 치, 전문요원 배치, 지역사회 유관시설 활용, 체계적 관리 및 유관부서와의 협력이 고려되어야 하 며; 둘째 주제인 치료지원의 내용에 대해 전문요원의 자격기준, 전문요원 확보 및 고용안정 대책, 필수치료 서비스 범위, 선별진단검사의 필요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끝으로 셋째 주제인 치료지원의 방법에 대해 교육과정과의 융합, 전문가간 협력, 치료서비스의 범위 그리고 제한적 바우처 제도의 활용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하위주제들이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각 치료지원 영역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바람직한 치료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 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겠다. Background & Objectives: Recently, the Special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was established as a la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uggestions and requests provided by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on special education and therapeutic services. Methods: In depth individuals interview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Five were professors of University and one was chief of day c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The questions were developed to guide interviews. All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by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ree themes and four subthemes under each theme were emerged from the analysis: The first theme, “delivery systems of therapeutic services” included subthemes of placement of special education resource center considering access and independency, experts placement according to school types, use of community institution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ministry of health, welfare,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second theme, “contents of therapy services” included subthemes of establishment of qualified conditions, insurance from experts and employment security, limitation for core services range, necessity for screening test. And finally, the third theme “methods of therapy services” included subthemes of merging therapy services to curriculum, collaborative work between experts, ranges of therapeutic services, and restricted introducing voucher system. Discussion & Conclusion: There are certain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guidelines upon implementing Special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within a school set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