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사어에 따른 음운 오류패턴 비교

        피민경(Minkyeong Pi),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음운 오류패턴의 음운 환경이 다른 검사어에 따라 출현 빈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조음음운검사도구를 실시하여 일반 아동의 음운 오류패턴이 검사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9세 일반 아동 193명에게 APAC와 K-APP의 단어 수준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기준으로 음운 오류패턴을 분석하였다. 검사도구별로 음운 환경을 비교하였고 검사 도구 별로 음운 오류패턴이 나타난 총 횟수와 오류패턴이 확인된 아동 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K-APP은 APAC에 비해 음절 길이가 길고 음절 간 자음군이 적은 검사어로 구성되어있다. K-APP은 파찰음과 마찰음의 빈도가 APAC에 비해 적었다. K-APP은 다음절 검사어 비율이 높아 음절생략/축약, 자음조화 같은 전체단어 오류패턴의 횟수가 유의하게 많았고 APAC은 파찰음과 마찰음 비율이 높아 파열음화, 파찰음화, 치간음화 같은 음소 오류패턴 횟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검사어가 음운 오류패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또한 두 가지 조음음운평가를 사용하여 한국 아동의 발달적인 음운 오류패턴과 비발달적인 음운 오류패턴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may vary depending on test words with different phonological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est words by implementing two phonology and articulation assessment tools. Methods: The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and Korean Articulation Phonology Profile (K-APP) were evaluated on 193 children aged 2-9 years, and phonological error patterns were analyzed using the same criteria. The phonological environments of test words were compared for each test tool, and the phonological errors which were produced three or more times by each child were considered as error patterns, of which occurrence frequencies were compared between the assessment tools. Results: The K-APP consists of test words with longer syllables and fewer consonant clusters than the APAC. In the K-APP, the frequency of affricates and fricatives was lower compared to the APAC. In the K-APP, the error patterns of whole words such as syllable deletion/reduction and consonant harmony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in the APAC, because the number of syllables of the test words in the K-APP were longer compared to the APAC. In the APAC, the error patterns of phonemes such as stopping, affrication, and interdentaliza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with the K-APP, because the APAC had a higher proportion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ider the effect of test words on phonological error patterns. The study also examined developmental an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Korean-acquiring children using the two articulation and phonology assessments.

      • SCOPUS

        언어학적 증상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의 하위유형별 위험요인

        피민경(Minkyeong Pi),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22개 위험요인에 대해 조사하고 위험요인이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말소리장애 위험요인이 Dodd의 감별진단모델 하위유형을 판별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3-9세 말소리장애 아동 62명이 참여하였으며 부모 면담과 비구어 인지 평가를 통해 22개 위험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말소리장애 아동은 조음장애, 음운지연, 일관적/비일관적 음운장애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주 성분분석 결과, 22개 위험요인은 1) 언어 및 신체 발달, 2) 성별 및 생애 초기 문제, 3) 삼출성 중이염, 4) 사회경제적 수준, 5) 가족력으로 축약되었다. 2세 경 전반적 발달 지연 항목에서만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말소리장애 아동의 위험요인을 직접 조사하고 다수의 위험요인을 다섯 가지로 축약하여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 중에서도 2세 경에 신체, 정서 및 인지를 포함한 전반적인 발달이 지연되었다고 보고된 아동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조기평가 및 중재를 계획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22 risk factors for speech sound dis-orders (SSDs)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risk factors for each subtype of SSDs of Dodd’s model. Methods: Sixty-two children with SSDs aged 3-9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22 risk factors reported in literature were investigated through pa-rental interviews and a nonverbal intelligibility test. Children with SSDs were divided into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phonological delays, and consistent/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s. Results: As a result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22 risk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1) language and gross motor development, 2) gender and early devel-opment, 3) otitis media with effusion, 4) socioeconomic status, and 5) family history. Among all risk factors, only general developmental delay around 2 years of age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t frequency among subtypes of SSDs. Conclusion: This study directly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of children with SSDs and classified a number of risk factors into five categories. This study suggests that if children show early general developmental delays, they should be closely monitored and early evaluation and interventions should be planned.

      • KCI등재

        말소리장애 유무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음운처리능력 비교 연구

        피민경(Minkyeong Pi),소금빈(Geum-Bin So),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배경 및 목적: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음운처리능력을 비교하고, 말소리장애의 하위 유형에 따라 음운처리능력의 과제 수행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말소리장애 아동 32명과 일반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음운처리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을 조음장애, 음운지연, 음운장애 유형으로 나누어 음운처리능력을 살펴보았다. 음운 인식 능력은 음절, 음소 수준으로 나누었다. 음운단기기억 능력은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와 숫자 따라말하기, 음운작업기억 능력은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를 실시하였다. 빠른 자동 이름대기 능력은 숫자와 글자 자극을 사용하였다. 결과: 말소리장애와 일반 아동 간에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를 제외한 모든 음운처리과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말소리장애의 하위 집단 간 음운처리능력을 살펴본 결과,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는 음운장애 아동이 조음장애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 과제는 음운지연과 음운장애 아동이 조음장애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숫자 빠른 자동 이름대기 과제는 음운지연 아동이 조음장애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다. 논의 및 결론: 학령기 말소리장애 아동을 단일 집단으로 일반 아동과 비교했을 때에는 음운처리과제 중 무의미 낱말 따라말하기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과제의 임상적 유용성을 시사하고 있다.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별로 음운처리능력이 유의하게 다른 것은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별로 중재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PPA) betwee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 (S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in early elementary school years, and to examin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according to subtypes of SS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2 children with SSD and 21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first to the third grades. Children with SSD were divided into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phonological delays, and phonological disorders. The tasks for PPA consisted of (1) phonological awareness (PA) tests at syllable and phoneme levels, (2) phonological memory (PM) tests including non-word repetition (NWR), digit forward recall (DF), and digit backward recall (DB), and (3)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tests conducted by numbers and letters. Results: Children with SSD and T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W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PA among subgroups of SSD,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NWR and the RAN tha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Also, children with phonological delays and phonological disorder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the DB task tha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Conclus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hildren with SSD and TD in NWR task among the PPA tasks, suggesting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NWR task.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with SSD form a heterogeneous group who differ in terms of involvement of other aspects of speech processing model.

      • KCI등재

        Classification of Subgroup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 Preliminary Study

        피민경(Minkyeong Pi),하승희(Seunghee Ha)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1

        배경 및 목적: 말소리장애 아동이 산출한 오류 형태를 기반으로 하위 유형을 나눈 언어학적 증상 모델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말소리장애 아동의 하위 유형을 분류하였을 때 분포 경향성이 어떠한 지 알아보고 하위 유형 별로 말·언어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3-9세 말소리장애 아동 133명을 오류패턴의 발달성과 말 산출 오류의 일관성을 기준으로 조음장애, 음운지연, 일관적 음운장애, 비일관적 음운장애로 나누었다. 또한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 별로 생활연령, 자음정확도, 수용 및 표현 어휘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말소리장애 아동 중 조음장애 아동이 30.08%, 음운지연 아동이 44.36%, 일관적인 음운장애 아동이 18.05%, 비일관적인 음운장애 집단이 7.52%로 나타났다.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에 따라 연령 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조음장애 아동의 생활연령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말 심각도는 일관적, 비일관적 음운장애 아동이 조음장애와 음운지연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수용 및 표현어휘력은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말소리장애 아동을 말 오류 특성을 바탕으로 하위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는 말소리장애 아동을 정확하게 감별 진단하고 유형 별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tendency when classifying subgroup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ccording to linguistic symptomatology, which are divided into subtypes of speech sound disorders based on the error patterns and inconsistency. Methods: Based on the error patterns and consistency of speech production, 133 children aged 3-9 yea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rticulation disorder, phonological delay, 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 and 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ag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vocabulary by subgroups of speech sound disorde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of 133 children, 30.08% had an articulation disorder, 44.36% had a phonological delay, 18.05% had a 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 and 7.52% had an 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distribution according to subgroups of speech sound disorders, and age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Speech seve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consistent and 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s than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and phonological delay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did not differ between subgroups of speech sound disorder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linguistic symptomatology for differential diagnosis. This will be the basis for accurate differential diagnosi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provid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each subgroups.

      • KCI등재

        Early and Later Phonological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Minkyeong Pi(피민경),Seunghee Ha(하승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24개월에 부모 보고에 의해 상이한 표현언어수준을 보인 구개열 아동을 추적 관찰하여, 36개월에 이르렀을 때 자발화에 나타난 음운 및 언어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4개월에 표현언어가 지연된 구개열 아동 7명을 표현언어지연 구개열 아동, 표현언어가 정상인 구개열 아동 6명을 정상언어발달 구개열 아동으로 구분하였으며, 비교 집단으로 일반 아동 7명을 포함해 총 2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이 36개월에 이르렀을 때 세 집단의 자발화 50발화에 나타난 음운 및 언어 발달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표현언어지연 구개열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모든 음운지표 결과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정상언어발달 구개열 아동과 일반 아동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언어지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표현언어능력이 지연된 구개열 아동 중 절반은 일반 아동의 언어 발달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초기에 표현언어능력이 지연된 구개열 아동이 이후 평균음운길이, 단어단위 근접률, 단어단위 정확도, 자음정확도, 자음목록 면에서 일반 아동은 물론 표현언어능력이 정상범주였던 구개열 아동에 비해서도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2세에 부모 보고를 통해 말·언어 발달 위험군으로 선별된 구개열 아동에게 음운 측면에 초점을 맞춘 조기 중재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onological and language outcomes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at 36 months of age, who present differing levels of early language skills which were identified at 24 months of age by parent repor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 children with CP who presented delayed expressive language (DEL) group, 6 children with CP who presented normal language development (NLD) group, and 7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Fifty utterances were collected from these 20 children and analyzed using phonological measures (PMLU, PWP, PWC, PCC, consonant inventories) and language measures (NDW, NTW, MLUw, MLUm). Results: DEL children with CP scored significantly lower on phonological measures when compared with TD; while the NLD children with C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T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found in the language measures; however, half of DEL children with CP did not reach the language level of TD.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L children with CP have weaker later phonological skills in comparison to both TD and NLD children with CP. However, in terms of language skills, they appear to catch up to the other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arly intervention with children with CP who are identified as high risk through parent reports at 24 months should aid on phonological development.

      • KCI등재

        12-30개월 아동의 초기 어휘에 나타난 음운 특성

        하승희(Seunghee Ha),피민경(Minkyeong P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초기 언어습득 과정에서 관찰되는 음운과 어휘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본 연구는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K M-B CDI)에 포함된 표현 어휘의 음운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12-30개월 일반 한국 아동이 습득한 표현 어휘 목록에 나타난 음운 특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K M-B CDI에 포함된 어휘를 음운 전사한 뒤에 말소리 빈도, 낱말의 첫소리 유형, 낱말 구조를 살펴보았 다. 세 월령(12-17개월, 18-23개월, 24-30개월)대로 나눈 193명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K M-B CDI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표현 어휘를 음운 전사하여 월령 집단별로 말소리 빈도, 낱말의 첫 소리 유형, 낱말 구조를 살펴보았다. 결과: K M-B CDI에 포함된 어휘에서는 2 음절과 1음절의 CVCV, CVC 구조의 낱말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말소리는 /ㄹ, ㄱ, ㄴ, ㅁ, ㅏ, ㅣ/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12-17개월의 75% 아동은 /ㅁ, ㅃ/가 포함되고 모음이나 비음으로 시작하는 낱말만을 산출하였다. 24개월 미만의 아동이 가장 빈번하게 산출하는 낱말 구조는 VCV였다. 아동이 연령이 증가하고 표현 어휘가 증가함에 따라 말소리와 낱말 구조 목록과 파열음으로 시작하는 낱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초기 어휘의 음운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초기 언어발달 단계에서부터 지연· 문제를 보이는 아동을 위해 음운과 어휘 영역을 동시에 고려한 목표 어휘를 선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re are bi-directional links between phonological and lexical development in early language acquisition. This study analyze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words which 12- to 30-month-old children produced as recorded by parent reports, as well as early lexicons in Korean versio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K M-B CDI). Methods: The frequency of phonemes and word structures in all the words in the K M-B CDI were analyzed. The K M-B CDI was administrated to parents of 193 children.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age groups: 12-17 months, 18-23 months, and 24-30 months. Word lists acquired by 50% to 75% of children in the three age groups were phonemically transcribed and then the frequency of phonemes, consonants types in the initial position, and word structures were analyzed for each age group. Results: The most common word shapes in the K M-B CDI were CVCV and CVC, and were either disyllables or monosyllables. The most common phonemes of words in the K M-B CDI were /l, k, n, a, i/. Seventy-five percent of children aged 12-17 months produced only words with /m/ and /p*/, which start with either a vowel or nasal. The two groups below 24 months produced the VCV words shape most frequently. As children expand their expressive vocabulary with age, the number of phoneme types produced, the percentage of words starting with stops, and the word shape inventory in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lexicon in Korean-acquiring children, which have implications in selecting target words for intervention considering both early phonological and lexical development.

      • KCI등재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Age of Acquisition of Consonants in Korean-Speaking Children in One-Syllable Word Contexts

        하승희(Seunghee Ha),김민정(Minjung Kim),피민경(Minkyeong P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자음정확도는 자음이 위치한 음운 환경, 음절구조, 언어학적 단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일음절 자음-모음-자음(CVC)의 문맥에서 한국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자음 습득 연령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세 후반에서부터 5세 후반까지의 아동 251명에게 일음절 낱말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일반 및 개정 자음정확도를 구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50%, 75%, 90%의 아동이 자음을 바르게 산출한 연령을 기준으로 자음의 습득 연령을 살펴보았다. 결과: 일반 및 개정 자음정확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2세 후반이 80%대 중반, 3세 전후반이 80% 후반, 4세 전후반이 90%대 초반, 5세 전후반이 90%대 후반으로 점차 증가하였다. 다른 자음에 비해 초성 유음과 마찰음이 습득 연령이 늦었다. 75%를 기준으로 살펴본 습득 연령은 종성 /ㄱ/을 제외한 파열음과 비음, /ㅎ/, /ㅈ/, 종성 /ㄹ/이 2세 후반 이전이었고, 종성 /ㄱ/이 3세 전반, /ㅉ, ㅊ/이 4세 전반이었으며, 초성 /ㄹ/과 /ㅅ, ㅆ/이 5세 전반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일음절 낱말 과제에서 한국 아동의 자음정확도와 습득 연령을 제시하였다. 자음의 정확성과 습득 연령은 검사어의 음운 환경 및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아동의 조음음운능력을 평가하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Accuracy of phonemes can vary in terms of phonetic and linguistic contexts of test wor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PCC) and age of acquisition of consonants in Korean-speaking children in one-syllable word contex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51 Korean-speaking children aged 2;6 through 5;11 who produced 18 one-syllable words. PCC and PCC-Revised were calculated from 18 initial consonants and 7 final consonants. Two-way ANOVAs were performed whether PCC and PCCRevis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ges of acquisition across all the initials and finals were determined if 50%, 75%, and 90% of children at a specific age produced correctly. Results: PCC and PCC-Revise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ge groups. The mean PCC for the children at age 2;6 was approximately 80%–85%; and by 4;0–4;11, it climbed to approximately 90%. PCC for children aged 5;0 to 5;11 exhibited approximately 98%. Seventy-five percent or more of the children correctly produced most plosives, nasals, /h/, /tɕ/, and final /l/ earlier than age 2;6. Final /k/ reached the criterion by 3;5 and /tɕ*/, /tɕh/ reached the criterion by 4;5. Initial /l/, /s/ and /s*/ reached the criterion by 5;5.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PCC and ages of acquisition of consonants in Koreanspeaking children in one-syllable word contexts. This study suggested that children’s sound productions should be assessed and interpreted considering phonetic contexts and linguistic units of test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