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령증가에 따른 MMN의 변화

        탁평곤(Pyungkon Tark),김진숙(Jinsook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1

        Mismatch Negativity (이후 MMN이라고 한다)는 뇌가 자동적으로 표준자극음과 이탈자극음의 차이를 탐지했을 때 유발되는 사건관련전위의 한 구성성분으로 피검자가 자극음에 주의집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그룹(만 18- 24세, 11명)과 장년집단(만 45- 60세, 8명)으로 나누어 주파수를 달리했을 때 유발되는 MMN의 잠복기와 진폭이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표준자극음으로는 주파수를 750 Hz, 자극간 간격은 800 ms, 강도는 75 dBHL로 하였고 이탈자극음은 주파수를 1,000Hz로 하고 그외 조건은 표준자극음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리고 표준자극음의 제시빈도는 80%이고 이탈자극음의 제시빈도는 20 %로 하였고 검사회기마다 자극음의 횟수는 400번이었 다. 연구결과 잠복기는 연령별로 효과가 있었고 진폭은 연령별효과가 없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청년집단이 장년집단보다 두 자극음의 차이를 훨씬 더 빨리 자동탐지한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연구결과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령대별로 더 많은 환자를 검사하여 MMN의 잠복기를 표준화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Deviant tones randomly embedded in a sequence of standard tones elicit event - related potentials (ERPs) called the Mismatch Negativity (MMN), which reflect automatic stimuluschange detection in the human auditory system. The MMN was measured of 10 adult s (18- 24 year s) and 6 elder s (45-60 years) with normal hearing to determine the effect of aging on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Each subject was instructed not to attend to tones by singing three songs. The tones were binaurally presented to the subject in a random order (probability of 0.2 for deviant s). A 750 Hz tone with 1-36- 1 cycle served as the standard tone. The deviant tones were similar to the standard except for the 1000Hz frequency (1-48- 1 cycle). Interstimulus interval was 800ms. The MMN peak latency and onset latency of the elder group were 268 ms and 207.33ms, respectively. The MMN peak latency and onset latency of the younger group were 209ms and 171.00ms, respectively. The MMN latenc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ing (p < 0.05). However, the MMN amplitude of the elder group was - 2.24 V and that of the younger group was - 2.26 V. The amplitude effect was insignificant (p > 0.05).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younger group det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ones faster than the elder group.

      • KCI등재

        언어치료청각재활 전공 학생의 실시간 원격수업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질적연구

        김지연(JiYoun Kim),탁평곤(PyungKon Tark),이수복(Soo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대유행 하에서 수행된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원격수업 경험과 관련하여 언어치료청각재활을 전공 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비대면 원격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언어치료청각재활을 전공하는 10명의 학생(각 5 명)을 대상으로 2회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020년 1학기부터 2학기까지 실시간 원격수업을 수강한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2, 3학년 학부생들이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질문지는 상호작용, 강의 내용, 강의 시스템, 전반적인 의견 등의 4영역 21개 질문으로 제작하였고 집단별로 90분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강의 경력이 10년 이상인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교수 3명이 실시하였고 내용분석은 Krippendorff (2003)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실시간 원격수업 경험을 오픈 코딩하여 분석한 결과, 190개의 의미단위, 44개의 하위범주, 10개의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10개의 핵심범주는 3개의 차원인 개인적 차원, 환경적 차원, 교육적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학생들의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욕구를 확인하였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는 실시간 원격수업의 학습 효과는 전적으로 학습자의 의지에 달려있다고 여겼다. 둘째. 환경적 차원에서는 갑작스럽게 실시간 원격수업을 도입하면서 학교 시스템뿐만 아니라 학생 개개인이 원격수업에 대한 준비가 미흡했다고 인식하였다. 세 번째, 교과적 차원에서는 수업 시간 중에 이해하지 못한 내용에 대해 바로 인터넷 검색을 하거나 채팅창을 이용해서 수업 중 교수님께 바로 질문을 할 수 있는 편리함과 더불어 원격수업의 평가 및 관리 체계에 대한 불만족을 언급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교수자와 학생의 안전보장과 질 높은 비대면 원격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원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법 개선이 필요하며 언어치료청각재활 분야의 창의융합형 실무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체제 구축 등의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o majored in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in relation to the real-time online learning experience using zoom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lectures in the future.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10 students (5 each) majoring in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The questionnaire for the focus group interview consisted of 21 questions in 4 areas; including interaction, lecture content, lecture system, and comprehensive opinion,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for each group. Results: As a result of open-coding and analyzing the real-time onlin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190 semantic units, 44 subcategories, and 10 core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10 core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the personal dimension, the environmental dimension, and the pedagogical dimen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e various opinions and desires of students for real-time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eriod.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building an effective real-time online teaching method and practical training system for field practice, and will further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