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최희경(Choi Hee kyu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초기 치매인 증가와 치매 질환의 만성화, 치매 돌봄의 장기화에 따른 치매인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을 전제로, 지난 20년간 16개 학술지에 게재된 총 93편의 국내 치매 관련 사회복지 학술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의 전반적 현황,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사회복지실천 방법, 연구내용, 그리고 치매에 대한 접근방식을 살펴본 결과 치매 관련 연구에 대한 관심이 노인복지 분야에 집중되었고, 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조사연구가 대다수인 63편(67.7%)이었으며, 분석대상 논문의 과반수(51.6%)가 가족 돌봄자 연구에 집중된 반면, 치매인 대상 연구는 절반 수준(22.6%)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실천 방법과 관련하여 대인적 실천과 관련된 논문이 절대다수(76. 3%)로 임상 실천과 서비스 제공에 집중된 반면, 행정이나 정책 등 중․거시적 사회복지연구는 미약한 수준이었다. 분석대상 논문의 과반수(55.9%)가 치매에 대한 접근방식에 있어 심리적 모델에 해당하였으며, 사회적 모델과 다학제적 모델을 적용한 논문은 소수에 불과하여 치매에 대한 다양한 접근방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치매인의 경험과 목소리를 반영하는 연구와 치매에 대한 총체적 사회복지실천 모델에 대한 연구, 치매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적용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review the trends of Korean social work research on dementi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93 social work research articles from 16 journ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method, research object, way of social work practice, key ward and approach to dementia. 63 articles(67.7%) adopt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over half of entire articles(51.6%) were written about family caregivers while the number of articles on people with dementia was only half of them(22.6%). 76. 3% of the articles was concentrated on micro-level direct social work practice and 55.9% of the articles was based on psychological approach to dementia, which shows a tendency overly dependent o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and lack of diverse approaches to dementi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everal research suggestions were made including conducting more researches reflecting direct voices and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mentia, broadening the framework of social work practice, and applying diverse approaches to dementia.

      • KCI등재

        정치자금 규제와 평가

        최희경 ( Hee-kyung Choi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集 Vol.23 No.1

        정치자금은 정치인이나 정당이 정치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일체의 경비를 말하며, 정치인이나 정당의 입장에서는 정치활동을 위하여 필요한 정치자금이 보다 쉽게 많이 조달될 수 있기를 바란다. 하지만 정치활동에는 다양한 이해관계가 충돌하고 이를 조정하여 정책결정이 내려져야 하므로 정치자금의 제공은 정치적 영향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주요한 수단이 된다. 그리고 그러한 수단으로서의 재력을 가진 사람들만의 이익이 우선하고 존중되는 정치과정은 금권정치로 변질되며 정치적 부패를 가져오게 되므로 그 규제는 불가피한 것이다. 그렇지만 정치자금의 규제, 예컨대 정치자금을 제공할 수 있는 자나 모금이 허용되는 자에 대한 규제, 금액의 상하한의 설정 등은 평등의 문제를 제기하며 이는 정치적 영향력의 실질적 차이를 가져온다. 또한 정치자금 배분에 있어서의 불균형 역시 중요한 평등의 문제를 제기한다. 한편으로 정치자금 규제는 차별의 문제만이 아니라 이를 통한 국민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고 그 보장의 수준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규제만이 전부가 아닌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나라 정치자금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정치자금 중 정당이 외부로부터의 자금에 의존하는 기탁금, 후원금, 국고보조금을 중심으로 그 규제의 내용과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탁금제도와 관련해서 지정기탁금제의 재도입 여부, 법인·단체의 정치자금 기부 허용 여부를 살펴본다. 또한 후원회를 구성할 수 있는 후원회 지정권자의 인정범위, 국고보조금 배분 기준 등의 적정성을 살펴본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치자금의 수입원은 다양화되었지만, 당비, 국고보조금, 후원금, 기탁금 등의 구체적 내용과 운영은 복잡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체적인 정치자금의 총액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각의 정치자금이 미치는 영향력은 함께 고려되어져야 한다. Political funds mean any and all expenses required for politicians or political parties to engage in politics. From the viewpoint of politicians or political parties, they want much more political funds to be raised easily for their political activities. However, there are various conflicts of interests in political activities and adjustment has to be made for a policy decision and therefore, provision of political funds becomes an important means to increase political influence. Political process which only prefers and respects benefit of people with financial ability for such means will be spoiled to money politics and will bring political corruption and therefore, regulation is unavoidable. Nevertheless, regulation on political funds, e.g. regulation on funds provider or people who are allowed for fund-raising, or setting upper-limit or lower-limit amount, will bring up a problem of equality, which causes substantive difference of political influence. Unbalance in distribution of political funds also raises important problem of equality. Meantime, regulation is not everything because regulation on political funds not only is a problem of discrimination but also guarantees freedom of people’s political expression through political funds and shows level of the guarantee. Thus, this thesis assesses validity of regulation on political funds which are recognized in our Political Fund Law, i.e. party expenditure, donation, support payments, and government subsidies. With respect to donation system, it investigates whether reintroduction of designated donation system is implemented and whether a corporation or an organization is permitted to donate political funds. And, with respect to support payments system, it reviews; first, validity of regulation on appointor of individual supporters’ association and second, validity of abolition of party supporters’ association and recognition on party supporters’ association pursuant to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Finally, with respect to government subsidies, it discusses necessity of government subsidies and adequacy of payment criteria.

      • KCI등재후보

        姙娠에 대한 不利益에 관한 美聯邦大法院判例

        최희경(Choi Hee-Kyung) 한국헌법학회 2005 憲法學硏究 Vol.11 No.3

        Key structural penalties on pregnancy are forced maternity leaves, disability policies that excluded benefits for pregnant women and denial to unemployment benefit for unemployed pregnant women. In the early LaFleur case of the issue of forced maternity leaves, the U. S. Supreme Court had determined the unconstitutionality based on the right for privacy of women. However since then, most rulings were based on the right of equality and not right of privacy and for the programs run by the state, rulings were based on the equal protection provision and based on Civil Law Title Ⅶ or Pregnancy Discrimination Act for the private employer program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individual pregnancy related policies with multiple purposes and its relative penalties concur with the privacy right and equality right of the women on the constitutional law. That is to say, whether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has fully guaranteed the autonomy right and equality right and whether the equality right is in the light of the same treatment as man or it needs to take the particular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to account. In conclusion, following the evaluation on the ruling of the U.S. Supreme Court, it cannot be said that women’s demand for the right of privacy nor equality has been fully reflected in the penalty on pregnancy. Firstly, the court has defined in the above case that the discrimination on pregnancies not a sexual discrimination and has not actively determined the penalties issues related to pregnancy. On the contrary, the Congress enacted the Pregnancy Discrimination Act and criticized the ruling of the judicature, but even after that, there were some rulings that did not reflect gender equality. Secondly, by dealing with the issue of the right of the pregnant woman worker, the ruling had only concentrated on the privacy right in the beginning and ruled with only equality right henceforth. However both rights have to be considered together as the privacy right protects the freedom to make decision on reproduction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state and the equality right is centered on whether the state has dealt the issue without sexual discrimination. Therefore, if the Supreme Court had considered the privacy right of the women to give birth without any undue intervention together with the equality right following the LaFleur ruling, the court could have guaranteed more faithfully the women’s right.

      • KCI등재

        미국의 낙태규제에 대한 사법심사기준

        최희경(Choi, Hee Kyung) 한국헌법학회 2020 憲法學硏究 Vol.26 No.3

        미국에서 여성의 낙태에 대한 권리는 1973년 Roe v. Wade 판결을 통해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인정되었다. 하지만 낙태가 합법화된 이후에도 태아의 생명과 여성의 건강을 보호할 목적으로 다수의 주에서 낙태를 제한하는 법이 제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위헌여부가 지속적으로 다투어졌다. 따라서 낙태규제의 위헌성을 판단하기 위한 사법심사기준은 여성의 권리 보호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Roe 판결에서는 낙태규제에 대한 위헌성 여부를 심사하기 위해서 엄격심사기준을 적용하였으나, 이후 1992년 Planned Parenthood of Southeastern Pa. v. Casey 판결을 통해 부당한 부담심사기준으로 대체되었다. 종전보다 완화된 심사기준이 적용된 이러한 심사기준의 변화는 여러 주에서 오히려 낙태규제를 용인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부당한 부담심사기준은 명확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점, 구체적인 방법론상 지침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비판받아 왔다. 그리고 2016년 Whole Woman s Health v. Hellerstedt 판결은 부당한 부담심사기준의 변화를 보여준다. 이 판결은 법원에게 여성의 낙태접근에 대한 부담만을 심사하는 것만이 아니라 법이 부여하는 이익도 함께 고려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동 판결은 낙태규제와 관련한 의학적 불확실성에 대하여 법원으로 하여금 사법절차상에서의 증거와 논쟁을 주의깊게 평가하도록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낙태규제의 위헌성을 판단하기 위해서 미연방대법원의 심사기준을 살펴보고 특히 낙태와 관련하여 Casey 판결 이후 최근 가장 중요한 Whole Woman s Health 판결에서의 변화된 내용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는 우리 헌법재판소가 여성의 낙태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형법조항에 대해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이후 새로운 입법과 관련하여 낙태권 제한에 대한 허용여부와 범위를 판단함에 있어서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e United States, the woman’s right to abortion is recognized as a constitutional right by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but various abortion regulations that attempt to restrict this has been enacted continuously. The Standard of Judicial Review to measure the constitutionality of abortion regulations is crucial for protecting women’s rights. The Supreme Court applied strict scrutiny on abortion regulations in Roe v. Wade, and since then, the constitutionality of various regulations were measured under strict scrutiny. In 1992, however, in Planned Parenthood of Southeastern Pa. v. Casey, the Supreme Court modified traditional abortion analysis of Roe. The Court adopted a new “undue burden” standard, which decided that various abortion regulations that limit the woman’s right to abortion were constitutional. The undue burden standard has been criticized that it lacks clarity and that it does not provide concrete methodological guidance. In 2016, the Whole Woman s Health v. Hellerstedt shows the changes to the undue burden standard. This decision requires that courts consider the burdens a law imposes on abortion access together with the benefits those laws confer. In addition, the Whole Woman s Health requires in-depth assessment of evidence and argument presented in judicial proceedings to the court for medical uncertainties on abortion regulations. In conclusion, the undue burden test in the Whole Woman s Health decision does not solve all of the problems with Casey’s undue burden analysis, but it does clarify how to apply the undue burden test for abortion regulations. Furthermore, it applies the rigorous judicial review than the Casey decision to protect abortion rights of women from abortion regulations.

      • KCI등재

        연구논문 :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최희경 ( Hee Kyung Choi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2013 世界憲法硏究 Vol.19 No.2

        미국의 경우 많은 주에서 의료진에게 낙태를 하려는 여성에게 일정한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고 이에 기초하여 여성이 인지된 동의를 할 것을 요구하는 법률을 제정하여 왔다. 하지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여성의 알권리를 보장한다는 긍정적 취지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국 각주에서 제정되고 있는 낙태법상의 인지된 동의에 대해서는 제공되는 정보가 정확한 것인지, 여성의 결정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낙태에 대하여 중립적이지 않으며 편견을 가진 정보를 고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는 점 역시 문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의 인지된 낙태동의법의 제정배경과 주요 내용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인지된 낙태동의법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중요한 판결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낙태에 대한 결정권을 제한하는 인지된 낙태동의법의 위헌성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각 주의 인지된 낙태동의법의 중요 내용과 이에 대한 비판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낙태절차의 본질에 관하여 정확한 관련정보를 제공해주고 이를 기초로 여성이 합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낙태절차가 갖는 의학적 절차로서의 특질을 고려할 때 타당하다. 그러나 주 낙태법에서 요구되는 낙태위험에 관한 불확실한 정보제공, 태아발전상태에 대한 구체적 설명과 사진, 강제적인 초음파검사 등은 여성의 자율적인 판단을 존중하기보다는 여성의 결정과정에 위헌적으로 개입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Casey 판결에 의하여, 진실되고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는 정보를 제공하는 인지된 동의법의 경우에는 헌법상 허용될 수 있지만, 다수 주의 인지된 낙태법은 이러한 헌법상 한계를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The United States has enacted laws in the federal and state level that require informed consent to women based on disclosed information by physicians. Despite its positive intention of supplying sufficient information and securing the right-to-know, there has been a criticism if the information on the abortion informed consent law is correct or if such information is actually of help to the decision of the woman. And, there is additional problem that it is not neutral to abortion but requires biased information. Thus, this study would like to review the background of enactment, main contents and validity of the informed consent of the abortion law. Firstly,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t decisions of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on the abortion informed consent in order to examine the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abortion informed consent law. And, this study also reviewed the main contents of the abortion informed consent law by states and the validity of criticism. In conclusion, it is vali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nature of abortion procedure so that a woman may make a reasonable decisio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medical procedure of the abortion. However, uncertain information on the risk of abortion required by the abortion law of the stat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fetal development, mandatory ultrasound on the fetal might be regarded as the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s they do not respect autonomous decision of women. While the informed consent of the abortion law that provides authentic and clear information might be allowed by the ruling of Casey, it is problematic in that the requirements of consents in many states exceed such constitutional limit.

      • KCI등재
      • KCI등재

        미국헌법상 공무원 표현의 보호와 제한에 대한 심사기준

        최희경 ( Hee Kyung Choi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3

        The First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states that Congress shall make no law ... abridging the freedom of speech. However, for over a century,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held that public employees waived certain constitutional protections once they accepted public employment, especially those related to the freedom of speech. In the 1950`s and 60`s, the Supreme Court began to recognize that public employees retain some constitutional rights after employment. Still several limits existed in the freedom of speech for public employees and the Court weighed the public employee`s to balance the freedom of speech and the performance of public service. Also, the First Amendment protected the public employees from retaliatory actions in relation with the public concerns of public employees. However, in Garcetti v. Ceballos, the Supreme Court restricted such protection and held that public employees do not enjoy constitutional protection for expression they make pursuant to their duties. This article reviews Supreme Court holdings respecting First Amendment protections afforded to pubic employees speech prior to Garcetti. In addition, it explores the contents and applied rule of the Garcetti decision, which gave rise to the change of protection to the public employees. This article hopes to exa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constitutional protection and restriction of public employee speech.

      • KCI등재

        미국 고등교육에 있어서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

        최희경(Choi, Hee-Kyung) 한국헌법학회 2012 憲法學硏究 Vol.18 No.2

        When choosing their freshmen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USA, affirmative actions considering the racial minorities have begun since about 1835. Especially, in late 1960s to in the early 1970s, many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began to acknowledge priority to various minority group at the time of admission. This was because a considerable number of applicants in minority could not get enough grades or levels required for the admission unless they have priority. Necessity of affirmative actions have been raised for the reason that racially diverse student groups and professors may better contribute to university's mission of education and research in addition to consideration of realistic situations as above. This thesis reviews main precedent of the U.S. Supreme Court dealing with affirmative actions in higher education and then, analyzes legal issues. Among others, it looks into a constitutional challenge of race-conscious admissions program by universities through the Bakke case and the Grutter case. Despite strict scrutiny applied to the Grutter case, it judged that race-conscious admission policy was constitutional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the Court held that student body diversity was compelling interest and the University of Michigan's race-based program was narrowly tailored. In this regard, the thesis intends to review the meaning of the Grutter case which declared affirmative actions for racial equality realization as constitutional and also to review validity of judicial review standards which applied to judge whether such affirmative actions fell under a constitutional challenge. Also, it investigates standards which can be permitted for actual admission policy of U.S. universities through legal analysis of the Grutter case. And then it intends to review binding force and influence as precedent in subsequent cases related to affirmative actions. This may provide implications in judging legal problems of our country which has a lot of special screening programs for college admission. 미국 고등교육기관에서 신입생 선발시 인종적 소수자를 적극적으로 배려하는 조치는 1835년경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1960년대 후반 내지 1970년대 초반많은 대학과 대학원이 다양한 소수인종집단에게 입학시 우선권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이는 소수계 지원자들 중 상당수가 우선권이 없이는 입학에 필요한 성적이나 등급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실적 상황에 대한 고려와 함께 인종적으로 다양한 학생단체와 교수가 교육과 연구라는 대학의 임무에 보다 잘 기여할 수 있다는 이유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교육에서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를 다룬 미연방대법원의 주요 판례를 검토하고 법적 쟁점을 분석한다. 특히 대학의 인종의식적인 입학정책의 위헌성 여부를 베키(Bakke) 판결과 그루터(Grutter) 판결을 통해 살펴본다. 그루터 판결은 엄격심사기준이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처음으로 인종의식적인 입학정책을 합헌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학생집단의 다양성을 필요 불가피한 이익으로 판단했으며 엄밀하게 재단되어질 것을 요건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인종에 대한 적극적 평등실현조치를 합헌으로 선언한 그루터 판결의 의미와 함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의 위헌성 여부에 대해 적용된 심사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또한 이와 같은 그루터 판결의 법적 분석을 통하여 실제 미국 대학의 입학 정책에서 허용될 수 있는 기준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후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에 관한 사건에서 선례로서의 구속력과 그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다. 이는 소수자에 대한 평등권의 실질적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다문화가정의 자녀 문제가 점차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고, 대학입학시 다양한 특별전형제도가 도입 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도 법적 문제를 판단하고 해결함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의료보험수가 결정 과정과 정부의 역할: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 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최희경 ( Hee Kyung Choi ) 한국행정학회 2004 韓國行政學報 Vol.38 No.2

        본 연구는 현행 의료보험수가 결정 과정을 분석하고 동 과정에서의 정부 역할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의료보험수가 결정의 참여자들과 관련 단계 임원들에 대한 인터뷰 자료 및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의 내부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2002년과 2003년의 의료보험수가 결정 과정을 분석한 결과 정부는 중계적인 입장이나 조정 역할을 넘어 적극적으로 결정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자 측과 공급자 측은 서로 대립하는 가운데 각기 내부적으로 갈등을 겪고 있었고 양 측 모두 재정 자료와 기준이 부족한 상황에서 협상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결정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정부의 입지와 역할을 강화시켰다. 따라서 Freidson(2001)의 논의를 근거로 한 분석 틀에 의하면, 현행 의료보험수가 결정 체제는 관련 단체가 공식적으로 참여하는 `조정적` 구조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사실상 정부의 의지가 `주도적`으로 작용하는 주도적-조정적(Activist-Coordinate) 유형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setting fees for medical and pharmaceutical servic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o examine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 the process. The interview data of decision makers of important groups concerned and internal documents from the Health Insurance Policy Deliberation Committee were employ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Committee in 2002 and 2003 reveals that the government`s role was more than that of an arbitrator or a coordinator between the Supplier Group and the Insured Group, which were in serious conflict with each other. These two groups struggled with their internal conflict as well and suffered from insufficiency of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NHI, which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develop their own alternatives in negotiations. As a result, the government had the advantage of making a decision with its own goals. Conclusions show the present system of setting fees in the NHI as an Activist-Coordinate Type, in which interest groups officially participate in a decision-making process, but the government controls the process with its active orientation and specific goals for health car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