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사의 작업능력에 관한 연구

        최현세 ( Choi Hyun-se ),이두호 ( Lee Doo-ho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7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9 No.1

        목적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작업능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예방 및 개선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부산에 거주하는 작업치료사 50명을 대상으로 작업능력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2017년 1월 10일부터 2017년 2월 30일까지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남성의 작업능력지수 평균은 35.34(±3.27)이고, 여성의 작업능력지수는 31.54(±3.32)이다. 연령에 따른 작업능력지수 평균은 31-40세 사이의 연령에서 37.34(±4.39)로 작업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일 평균 근무시간에 따른 작업능력지수는 8시간 이하로 일 했을 때 34.52(±4.32)로 나타났다. 일일 평균 치료 환자 수에 따른 작업능력지수는 10-15명 미만의 환자를 치료한 경우 36.34(±3.03)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의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 둘째, 대상자 수가 많지 않아 일반화 시킬 수가 없다. 본 연구를 토대로 추후 있을 연구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것 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ork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Method : We surveyed 50 occupational therapists in Busan by mail and e-mail from January 10, 2017 to February 30, 2017. Results : The mean work capacity index for males is 35.34 (± 3.27) and the work ability index for females is 31.54 (± 3.32). The mean age of the work ability index was 37.34 (± 4.39) at age between 31-40 years old. The work performance index with daily average working hours was 34.52 (± 4.32) when working less than 8 hours. Accor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treated daily, the work ability index was 36.34 (± 3.03) for patients less than 10-15. Conclusion :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make generalization because it is a study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Busan area. Second, the number of subjects is too small to generalize. It can give a positive help for future research about work ability in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자기관리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자기 효능감, 삶의 질,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최현세(Choi, Hyun-Se),장태용(Jang, Tae-Yong)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을 때 자기 효능감, 삶의 질,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S시에 거주하며 경도인지장애(MCI) 진단을 받은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2019년 3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주 1회 총 8회 자기관리 프로그램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환자의 자기 효능감, 삶의 질, 우울감을 평가하기 위해 Self-efficacy scale, Geriatric Quality of Iife,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for Korean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중재 전⋅후 비교에서 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자기 효능감, 삶의 질, 우울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결론 : 본 연구의 통해 자기관리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치매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lf-care programs on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o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A total of eight program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rom March 2019 to May 2019 for 30 elderly people who lived in S city and were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Self-effective scale, Geriatric quality of life, short form of Geriatric stress scale for Korean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of patient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ho conducted self-care program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p<.01).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 self-management program can be actively used as an intervention method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dementia.

      • KCI등재

        파킨슨씨병 작업치료프로토콜의 효과에 관한 연구

        최현세(Choi, Hyun-Se),장태용(Jang, Tae-Yong)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씨병 환자를 대상으로 파킨슨씨병 작업치료 프로토콜 적용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8년 1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서울특별시 A, B병원에서 파킨슨씨병 진단을 받은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파킨슨씨병 작업치료프로토콜은 일상생활동작 훈련(보조도구 소개 및 활용 포함), 가정환경수정, 소근육 운동, 낙상예방운동, 보호자교육 등이 포함되어있고 중재는 1일 50분씩 주 2회, 총 5주 10세션 동안 실시하였고, 중재 5주 후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대응표본 분석과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25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동작은 중재 전53.7±4.66에서 중재 후 59.3±3.06으로 변화하였고, 부양부담감은 중재 전 42.3±18.74에서 중재 후 37.7±16.67으로 변화, 상지기능은 중재 전 32.2±3.66에서 중재 후 37.3±3.94으로 변화 하였고, 균형기능은 중재 전 32.7±4.32에서 중재 후 33.2±4.02으로 변화 하여 중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파킨슨씨병 작업치료프로토콜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임상에서 작업치료사들이 파킨슨씨병 환자 맞춤 재활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effectiveness of Parkinson s disease occupational therapy protocol applica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 s disease. Methods : From November 2018 to April 2019, 25 people who were diagnosed with Parkinson s disease were tested at A and B Hospital in Seoul. Parkinson s disease occupational therapy protocol includes Activity daily of living training (including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assistive tools),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Fine motor training, fall prevention exercise, and Caregiver education.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50 minutes a day, for a total of 5 weeks and 10 sessions, and re-evaluated after 5 weeks of intervention. The analysis was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SPSS Version 21.0. Results : For a total of 25 participants, daily life movements changed from 553.7±4.66 before intervention to 59.3±3.06 after intervention, the burden changed from 42.3±18.74 before intervention to 37.7±16.67 after intervention, the upper limb function changed from 32.2±3.66 before intervention to 37.3±3.94 after intervention, and the balanced function changed from 32.7±4.32 before intervention to 33.2±4.02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Parkinson s disease occupational therapy protocol was confirmed, and it is meaningful that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presented evidence to apply custom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Parkinson s disease patients.

      •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치매를 선별하기위한 새로운 평가도구: DemTect

        최현세 ( Hyun Se Choi ),이두호 ( Doo Ho Lee ),김유진 ( Eu Jin Kim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6 No.2

        서론: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인지선별평가도구인 DemTect을 소개하고자 한다. DemTect은 경도치매와 경도인지장애를 발견한 정도로 충분히 민감하게 설계된 평가도구이다. 본론: 2000년도 독일버전으로 처음 발표된 DemTect은 미국을 포함하여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인지 선별검사도구로서, 5가지 하위 항목인 10개의 단어목록, 숫자 변환, 단어 유창성; 슈퍼마켓 과제, 숫자 거꾸로 외우기, 단어목록의 지연회상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평가 시 대상자의 명령 및 학력 차이에 따라 교정 점수가 주어지며, 전체 최대 점수 18점으로 13∼18점 사이는 정상, 9∼12점은 경도인지장애, 마지막으로 8점 이하면 치매를 의심할 수 있다. 결론: DemTect 인지선별검사 도구는 경도인지장애 및 초기 치매평가 진단에 많이 사용되는 인지평가로서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에 비하여 평가 시간이 짧으며, 반복된 사용에 의한 학습효과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치매 진단에 예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세계 여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DemTect 인지선별검사 도구에 대한 한국어판 재정과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Introduc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cognitive screening assessment tool DemTect. It is designed sensitive enough to find a mild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Subject: DemTect was first published in 2000 in a German version. It is cognitive screening tool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which is used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Five tasks were included in the DemTect: a word list, a number transcoding task, a word fluency task, digit span reverse, and delayed recall of the word list. The DemTect helps in deciding whether cognitive performance is adequate for age (13-18 points), or whether MCI (9-12 points) or dementia (8 points or below) should be suspected. Conclusion: DemTect is highly sensitive screening tool to identif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patients with dementia in the early stages of the disease. DemTect screening tool running time is shorter th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 (MMSE-K). Also it does not affect the learning effect by repeated use. So we can able to use to sharpen the diagnosis of dementia. We should publish DemTect Korean version and DemTect which is used many countries needs much more work to be done.

      • 중기 또는 말기 치매 환자의 치료 및 케어를 위한 Basal Stimulation

        최현세 ( Hyun Se Choi ),장태용 ( Tae Yong Jang ),이보민 ( Bo Min Lee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4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6 No.2

        본 논문은 의학적인 발전으로 증가는 고령 치매 인구 중에 말기 치매 환자를 위한 치료법으로 Basal Stimulation을 소개하고자 한다. Basal Stimulation(BS)은 감각기관으로 지각할 수 있는 신체의 모든 부분을 활성화 시키고 자신의 신체와 신체 동작을 지각할 수 있도록 돕는 치료적 컨셉이다. 신체의 7가지 지각영역을 이용한 접근법으로 환자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9가지 요소 기본 개념을 가지고 치료적으로 사용하며, 환자에 맞게 9가지 잠재적인 목표를 가지고 치료를 적용한다. Basal Stimulation은 문제행동증상과 더불어 행동정신학적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중기 또는 말기치매환자에게 필수적이고,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접근법이다. 향후 치매관리에 있어 환자의 감정, 스트레스, 감각에 대한 접근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앞으로의 치매관리 방안 모색에 있어 시발점이 되리라 생각한다.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Basal Stimulation treatment for severe dementia patients. Detours: Basal Stimulation is a therapy that activates every body part by stimulating sensory organs, which makes people recognize body action. This therapy has forcal points of 7 perception areas. Basal Stimulation made by 9 common elements has 9 specific goals. Conclusion: Basal Stimulation is positive effect to moderate or severe dementia patients. This approach looks forward to dementia management plan shall be considered a starting point.

      • KCI등재

        파킨슨씨병 환자에게 가정환경수정 교육이 일상생활활동 변화와 보호자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최현세(Choi Hyun-Se),이보민(Lee Bo-Mi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파킨슨씨병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환경수정 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일상생활활동, 부양부담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파킨슨씨병 진단을 받은 노인 15명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총 4회 교육을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환자의 일상생활활동과 보호자의 부양부담감을 평가하기 위해 The new ADL questionnaire과 Zarit Burden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전·후 비교에서 가정환경수정 교육을 실시한 파킨슨씨병 환자와 보호자의 일상생활활동과 부양부담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본 연구의 통해 가정환경수정교육이 파킨슨씨병 환자의 질병 진행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을 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education on patients with Parkinson s disease on Activity daily of living and caregiver burden. Methods : A total of four education sessions were conducted for 15 elderly people diagnosed with Parkinson s disease from December 2018 to March 2019. The new ADL Questionnaire and Zarit Burden Interview were conducted to evaluate Activity daily of living of patient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the Caregiver burden. Prior to and after training. Results : Parkinson s disease patients and caregivers who provided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train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ctivity daily of living and burden (p<.05).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education can be actively used as an intervention method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nd promote health.

      • KCI등재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에 관한 인식조사

        장태용(Jang, Tae-Yong),최현세(Choi, Hyun-S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1

        목적: 본 연구는 전문가들의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의 인식과 요구도 조사를 기반으로 재활복지의료기기센터 설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8년 2월 1일부터 15일까지 전국에 있는 재활복지 및 의료기관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25부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총 104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Ver.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가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102명(98%)이며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2명(2%)로 나타났다. 재활복지의료기기 센터의 설립 목적에 대해 묻는 문항에서 가장 많은 응답은 기기 사용하기 전에 “측정 및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필요하다는 응답이 80명(33.9%)로 가장 많았으며, “재활복지의료기기 체험”을 위해서는 54명(22.9%), “상담 및 컨설팅”을 해주기 위해서는 50명(21.2%), “기기 사용 교육”을 위해서는 38명(16.1%), “의료기기 및 재활복지기기 전시”를 위해서 13명(5.7%)이다. 결론: 본 연구는 재활의료복지기기 센터가 설립이 필요성과 인지 및 지각에 관한 영역과 일상생활활동에 관련한 영역을 확대하여야 한다는 요구도가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반영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센터설립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experts of Rehabilitation medical welfare devices center and based on the Demand for Rehabilitation & Welfare Center for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devices to provide a basic data aims. Methods : From February 1 to 15, 2018, a survey was conducted on rehabilitation welfare and medical institution-related experts nationwide. A total of 12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04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Ver. 24.0. Results : On the need for rehabilitation and welfare device centers, 102 (98%) said they were necessary and 2 (2%) said they were not needed. The most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center were 80 (33.9%) who answered that it was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before using the device, 54 (22.9%) for rehabilitation medical device experience , 50 (21.2%) for consultation and consulting , 38 (16.1%) for institution use education , and 13.7 for rehabilitation device display.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ehabilitation Medical Welfare Device Center and to expand the area related to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of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and the areas related to daily activities. It is believed that systemat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reflect these results, an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in the future.

      • 뇌졸중 환자의 그룹 수공예 활동 참여에 대한 만족도 조사

        장태용 ( Jang Tae-yong ),최현세 ( Choi Hyun-se ),부정아 ( Boo Jung-a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6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를 위한 그룹 수공예 활동 참여하고 그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총 60명으로 대상으로 그룹 수공예 활동을 실시 후 설문지를 시행하였다. 결과분석은 설문지 내용을 바탕으로 기술통계 분석 및 서술식으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수공예 활동이 재미있고 재활치료를 하는데 동기부여가 된다고 답한 사람이 42명(70%) 그렇지 않다는 사람이 5명(8.3%) 이었다. 수공예 활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답한 사람이 50명(83.3%), 불만족 한다고 답한 사람이 2명(3.4%) 이었다. 추후 수공예활동을 하게 된다면 다시 참여하겠다고 답한 사람은 55명(91.6%), 참여하지 않겠다고 답한 사람은 3명(3.4%)이었다. 수공예활동에 대해 문제점 및 제안점에서 부족한 치료 횟수라고 답한 사람이 14명, 너무 어려운 활동이라고 답한 사람이 7명, 열악한 치료실 환경이라고 답한 사람이 5명으로 나타났다. 결론이에 본 연구는 그룹 수공예 활동에 대한 임상적 연구의 적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연구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수공예 활동에 대한 연구가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of group craft activity for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survey questionnaires given to patients in general hospital from Jan, 2015 to Dec, 2015. Results : The 42 (70%) of patients answer that Group craft activity was make them to motivated. The 5(8.3%) of patients answer that Group craft activity was not make them to motivated. The 50(83.3%) of patients were satisfied to was participated in Group craft activity. The 2(3.4%) of patients were not satisfied to was participated in Group craft activity. The 55(91.6%) of patients want to be participated in Group craft activity in next time. The 3(3.4%) of patients don`t want to be participated in Group craft activity in next time. In contrast, the 14 of patients had negative response because of too less treatment schedule. The 7 of patients had negative response because of difficult group craft activity. The 5 of patients had negative response because of small treatment room.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tributing to our knowledge regarding way to provide group craft activity. In future study, diverse and modified group craft activity should be applied in clinics.

      • 뇌졸중 환자의 손재활을 위한 RAPAEL 스마트 글러브의 미치는 영향

        부정아 ( Jung A Boo ),장태용 ( Tae Yong Jang ),최현세 ( Hyun Se Choi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5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7 No.2

        서론: 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의 손 재활을 위한 가상 현실을 접목 시킨 RAPAEL 스마트 글러브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총 9명을 대상으로 RAPAEL 스마트 글러브를 처음 사용 후 만족도 조사를 한 후 2주간 하루 30분 주5회 중재 후 재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ver.18.0) 통계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RAPAEL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치료가 도움이 되었는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둘째, RAPAEL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치료가 재미있었는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셋째, RAPAEL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치료가 자발적 훈련 참여에 도움이 되었는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넷째, RAPAEL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치료가전반적으로 만족하는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논의 및 결론: 뇌졸중 환자 대상으로 손재활을 위한 가상현실을 접목시킨 RAPAEL 스마트 글러브 프로그램을 적용할 경우 환자의 치료적 재미와 전반적인 치료에 도움이 되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치료방법으로 환자의 즐거움을 유도하는 환자중심의 접근법을 구현한 것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 with RAPAEL smart gloves for hand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Method: This research subjects included 9 chronic stroke pati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virtual training and had scores over 25 on K-MMSE. Their satisfaction after using RAPAEL smart gloves was investigated, and the experiment examined again after it was conducted for 30 minutes a day, 5 times for 2 weeks. The research result confirmed that RAPAEL smart glove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helped treatment and had an influence on overall funness and treatment,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Result: First, RAPAEL smart glove is useful to treat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Second, they are funny to use RAPAEL smart glove for treatment,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Third, to use RAPAEL smart glove is vary helpful that they are participation in treatment theirself, proving that it had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Fourth, they are satisfied that treat patients to use RAPAEL smart glove, proving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Conclusion: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applying RAPAEL smart glove program integrating virtual reality helped stroke patients’ therapeutic funness and overall treatment for their hand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