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청년정책의 정책수단 유형분석 연구

        최하예(Haye Choi),황성수(Sungsoo Hwang) 한국정책과학학회 201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2 No.3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정책의 정책수단을 지방정부의 정책과제 단위사업을 중심으로 유형별 분류 및 분석을 하였다. 최근 문재인 정부는 청년 실업 문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등 청년정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지방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청년정책의 정책과제를 Salamon의 정책수단 유형으로 분류하여 논의해 보았다. 각 지방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전국의 청년정책을 수단별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청년정책 현황 파악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부족한 청년정책의 정책수단 연구에 기여를 하였다고 본다. 이 연구가 파악한 바는 우리나라 청년정책은 직접수단이 간접수단 보다 많이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청년정책이 초기 정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지방정부에서 직접수단인 ‘정부소비’를 통해 청년 포털 구축, 청년 창업 플랫폼 구축, 청년커리어센터 설립, 청년센터 설치, 청년 거점공간 마련 등 인프라 구축 사업을 청년기본계획에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유사한 정책과제 및 프로그램이지만 각 지방정부마다 상이한 정책수단을 활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제언으로는 다양한 분야에서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청년정책들을 종합적으로 조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youth policy programs in Ko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policy instrumentation. First, we analyzed the general and comprehensive youth policy of South Korea. Next, we tried to apply the standard of the policy tools type classification to the standard of the government policy program reports in accordance to policy tools type of Salam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40 policy programsof 9 local governments that established the Youth Basic Plan based on the 15 local governments that enacted the "Youth Basic Ordinance" in 17 metropolitan municipalities across the country. We identified five categories of basic policies such as welfare, employment, culture/arts, governance, and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sectoral categories of the youth policy basic plan announced by local governments. Results of this study displays that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have a large number of policy programs in the welfare and employment fields. It was found that in South Korea, youth policy programs uses more direct tools than indirect tools. Among the direct tools, "government consumption" was the most common, Direct measures are used more than indirect measures in the policy program implementation. It also means youth policy was at the initial stage of policy program development. As a result, most local governments reflected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building youth portals and youth startup platform.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work together well with all the agencie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in a policy network. Governments should also coordinate combination of individual policies across different departments and spectrums.

      • KCI등재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국회의원 간 갈등 양상 연구: 제17~20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와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고인환(Inhwan Ko),최하예(Haye Choi),강신재(Sinjae Kang) 한국정당학회 2021 한국정당학회보 Vol.20 No.1

        국회의원 간 갈등 및 대립에 관한 대다수 연구 및 문헌은 의원 간 갈등을 개별 의원 혹은 소속 정당 간 정치 이념적 양극화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정당 공약이나 본회의 표결 기록 등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의원 간 갈등은 반드시 정치적 양극화에서만 유래하지는 않는다. 특히 개별 의원들의 발언 행태를 살펴보면 의원 간 대립은 이념적 차이로 인한 언쟁뿐만이 아닌 동료 의원 비난, 의사진행 방해, 정부 관계자 및 참고인에 대한 태도에서도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의원 간 갈등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제17~20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와 보건복지위원회, 두 상임위원회 회의록에 나타난 약 24만 개의 발언을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 기법(automated text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발언 상에 드러난 의원 간 대립을 이전 발화자의 발언을 중도에 간섭하는“중도방해 발언”과 상대방에 대해 인신공격과 비난을 하는“갈등적 담화 발언”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의원들의 전체 발언에서 갈등적 담화 발언은 중도방해 발언에 비해 그 비중이 현저히 낮고 대수 및 위원회 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의원 간 갈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유의미한 지표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계분석 결과 여당 및 야당 소속 여부가 중도방해 발언 비율 차이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수였던 반면 여당과 개별 의원 간의 이념적 격차는 그렇지 않았다. 본 연구는 회의록에 대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상임위원회에서 나타나는 여러 갈등 양상들을 측정하고 여당과 야당 간의 대립 양식이 입법 과정에 지배적인 변수라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st of the research and literature on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among lawmakers viewed conflict between individual lawmakers or political parties in terms of ideological polarization and set party pledges and voting records for the plenary session as analysis targets. However, conflict between lawmakers does not necessarily stem from political polarization. In particular, when looking at individual lawmakers’ remarks, confrontations between lawmakers are caused by ideological differences and criticism of fellow lawmakers, interrupting speeches and proceedings, and attitudes toward government officials and witnesses. In order to analyze these various aspects of the conflict between lawmakers, we analyzed approximately 240,000 statements in the minutes of the 17-20th National Assembly’s Environmental and Labor Committee,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through automated text analysis. Our study suggests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lawmakers revealed in the remarks could be identified as an “interruptive discourse” that interferes with the former speaker’s remarks, and a “conflictual discourse” that makes personal condemns and criticisms against others. Ou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lictual discourses appeared less frequently than the interruptive discourses in meeting minutes, indicating that they were not a significant indicator of conflict between lawmakers. Second,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belonging to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interruptive, while the ideological gap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individual lawmakers was no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easures various aspects of conflict that appear in the standing committee through automated text analysis of the minutes and reveals that the mode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is the dominant factor in the legislativ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