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러 군비통제 사례 분석과 전망 - 군비통제 이론을 중심으로 -

        최창업 ( Choi Chang Eop ) 미래군사학회 2024 한국군사학논총 Vol.13 No.1

        본 연구는 최근 불안정한 국제정세로 인해 군비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냉전시대의 미ㆍ소 군비통제의 성공적 사례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미ㆍ러 군비통제의 가능성을 전망하고자 하였다. 군비통제에 대해 연구를 한 학자로는 미국의 패트릭 모간(Patrick Morgan)교수가 있다. 그는 적대국가 간 군비통제에 대한 관심과 가능성은 군비경쟁의 이유와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 무정부적 국제체제구조에서 기인한다고 가정하였는데, 남만권은 그의 의견을 바탕으로 군비통제 가능성에 대한 몇 가지 조건을 이론화하여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필자는 미ㆍ소 냉전시대의 군비경쟁 속에서 군비통제 사례를 이론적 접근으로 분석하여 향후 미ㆍ러 군비통제의 가능성을 전망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과 강대국들에 의한 세력구도 재편화 속에서 2018년에는 미국과 러시아가 INF 조약을 탈퇴하고, 2023년에는 러시아가 New START 이행을 유예하였다. 이처럼 최근 신냉전시대가 도래했다는 일부 평가 속에서 냉전시대의 역사상 가장 성공적이다고 평가받는 미ㆍ소간의 군비통제 사례를 분석해 본다는 것은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현 국제정세 속에서 미ㆍ러 군비통제 가능성을 전망하는 것에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지만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군비통제를 위해 양국의 관계를 어떻게 그려나가야 할 것인가 방향을 제시해주고 새로운 연구들을 촉진하는데 유용한 기본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forecast the possibility of future U.S.-Russia arms control by theoretically analyzing successful cases of U.S.-Soviet arms control during the Cold War, at a time when the arms race is accelerating due to the recent unstable international situation. Professor Patrick Morgan is an American scholar who studies arms control. He assumed that the interest in and possibility of arms control between hostile countries, like the reason for the arms race, is essentially due to the anarchic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Based on his opinion, Nam Man-gwon theorized and presented several conditions for the possibility of arms control. Accordingly, the author attempted to predict the possibility of future U.S.-Russia arms control by analyzing arms control cases in the arms race during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using a theoretical approach. Amid the recent war between Russia and Ukraine and the realignment of the power structure by major powers,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withdrew from the INF Treaty in 2018, and Russia postponed the implementation of New START in 2023. As some say that a new Cold War era has recently arrived,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arms control case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successful in the history of the Cold Wa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only forecasts the possibility of U.S.-Russia arms control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situation, but based on historical cases, it provides direction on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should be drawn for arms control and provides new research. It will be able to provide a useful basic foundation for promotion.

      • KCI등재
      • KCI등재

        아몬드 첨가 설기떡의 저장성 및 노화 특성

        백승연(Seung Yeon Baek),최창업(Chang Up Choi),김미리(Mee R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6

        본 연구는 불포화 지방산과 단백질, 식이섬유가 풍부한 아몬드를 첨가하여 설기떡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자 아몬드를 6%, 12%, 15% 첨가한 설기떡을 제조하였다. 제조 당일에 실험군들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저장일수가 증가했을 때 대조군은 수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15% 첨가군의 수분 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아몬드 15% 첨가군이 가장 낮았으며, 제조당일에 비해 저장 3일 차에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색도 중 L값은 아몬드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졌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P<0.05). 저장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색도는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경도, 검성, 씹힘성은 아몬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했으며, 저장일수에 따라 모든 군에서 경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탄력성은 저장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P<0.05). 응집성은 제조 당일에는 아몬드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나 저장 3일 차에는 대조군이 가장 낮았다(P<0.05). 회복력은 아몬드 첨가량이 높을수록 낮아졌으나 저장 3일 차에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제조 당일 호화개시온도는 아몬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엔탈피 변화량은 낮아졌으며(P<0.05), 저장 3일 후에는 모든 군에서 호화개시온도와 엔탈피 변화량이 증가하였다. 강도 검사의 항목 중 색은 아몬드 12%와 15%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아몬드 향은 15%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아몬드 맛에서는 12%와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단맛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짠맛은 대조군에서 가장 낮았다(P<0.05). 경도와 씹힘성은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촉촉한 정도는 아몬드 12%와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조밀성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기호도 검사에서 외관, 향은 아몬드 12%와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맛은 15% 첨가군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나 12% 첨가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조직감은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아몬드 12% 및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아몬드 12% 및 1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매의향은 15% 아몬드 첨가군에 비해 대조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설기떡에 아몬드를 첨가하면 저장 중 수분 손실과 조직감이 단단해지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노화를 지연시켜 저장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lmonds on the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rice cake. Sulgidduk was added with almond powder (6, 12, and 15%) and stored for 3 days at 20°C. Moisture contents of rice cakes immediately after manufactu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s storage time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trol decreased. However, the reduction range in moisture content of almond powder-added Sulgidduk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almond powder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Soluble solid contents (°Brix) of Sulgidduk added with 15% almond powder was the lowest. As the amount of almond powder increased, the L value decreased, whereas the a and b values of Sulgidduk increased in the Hunter color system. During storage, the L, a, and b values of Sulgidduk decreased. Textural properties by Texture Profile Analysis (TPA) showed that hardness of almond powder-added Sulgidduk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fter 3 days. Then the hardness of Sulgidduk added with 15% almond powder showed the lowest valu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showed that the enthalpy of Sulgidduk containing almond powder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lmond powder increased. In the sensory preference test, Sulgidduk with 15% almond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almost characteristics. From this result, addition of almond powder to rice cake improves storage quality by delaying retrogra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