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청소년 대상 해결중심상담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2007~2020

        최중진,장새롬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5

        Since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SFBT) was introduced in Korea,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up to the present day. However, there are not many literature reviews on SFB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can show the overall landscape of the approac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iterature on SFBT intervetnion stud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rom 2007 to June 2020. To collect the data, major data search databases were used. For content analysis, we analyzed the trends and topics by year. We also examined major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methods for research method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FBT interven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since 2007. Second, the areas of SFB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becoming more diverse. Third, the most studied treatment approach was group counseling. Fourth, despite the quantitative growth of research, there were many limitations in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SFB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provided. 해결중심상담이 국내에 소개된 이래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국내 해결중심상담 연구의‘지형’을 보여주는 문헌분석은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표는 2007년부터 2020년 6월까지 국내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해결중심상담의 연구 동향을 내용과 연구방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 수집을 위해 국내 주요 자료검색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내용분석을 위해 연도별 발표 동향과 주제를, 연구방법 분석을 위해 주요 자료수집방법 및 자료 분석방법 등을 살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해결중심상담 연구는 2007년 이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해결중심상담 연구의 영역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었다. 일반 인구 집단 뿐만 아니라 종교, 스포츠 분야와 심각한 임상적 문제를 가진 아동 및 청소년 내담자에게 해결중심상담이 적용되고 있었다. 셋째, 개인, 가족 및 집단상담 중 가장 많이 진행된 치료개입 접근은 집단상담이었다. 넷째, 개입 연구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연구방법론적 한계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 및 청소년 대상 해결중심상담 연구의 질적 성장과 이론 및 실천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공했다.

      • KCI등재

        근거이론을 통해 살펴본 해결중심치료의 실천: 통합접근의 등장

        최중진 한국가족치료학회 2016 가족과 가족치료 Vol.24 No.1

        해결중심치료는 귀납적인 방법으로 개발된 가족치료 실천모델 중 하나로 계속해서 변화하며 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이 국내에서도 예외가 아닐 것으로 전제하며, 해결중심치료의 특징적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국내 가족치료실천현장에서 해결중심치료를 자신의 주 접근으로 활용하는 12인의 상담자를 질적연구방법론에 근거하여 인터뷰 하였다. 주요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해결중심치료는 임상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 2) 실천가의 임상적 경험에 비춰볼 때 해결중심치료를 처음 접할 때와 비교하여 그동안 달라진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3) 그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가? 자료분석을 위해 인터뷰를 전사하고 이를 문서로 자료화 한 후 근거이론 분석도구인 ATLAS.ti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3단계 분석 절차인 개방코딩, 축코딩, 그리고 선택적 코딩의 절차를 따랐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 대부분 해결중심치료를 현재 자신의 주 상담접근으로 밝혔으나 그 활용방법에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이 중 대다수 연구자참여자의 인터뷰에서 최근 자신이나 다른 해결중심상담자의 실천에서 해결중심치료를 다양한 상담접근방법과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경향이나 상황에 대한 언급이 중심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해결중심치료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이유와 전략은 다양하였으나 많은 경우 해결중심치료의 내담자 중심의 실용적 철학에 대한 광의적 해석에 근거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해결중심치료는 국내에서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그 특징적인 귀납적 변화과정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논의와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 Objectives: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SFBT) has continued to evolve, inductively growing into a practical model of family therapy. To investigate “what is used in the practice of SFBT,” the researcher conducted 12 interviews with solution-focused counselors. Method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ranscribed verbatim. Grounded theory methodology develop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was adapted for theoretical sampling. Data were analyzed following the three-step process of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Results: Although all participants identified SFBT as their default therapeutic approach, their applications of the model were different in many ways. A common and central phenomenon discovered during the study was the participants’ orientation toward using SFBT in integrative ways. The participants tended to interpret the client-centered core philosophy of SFBT in broad ways. Many participants mentioned that they would utilize various strategies from other therapeutic approaches with SFBT if it could help clients efficiently.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an emergence of integrative approaches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better use of integrative approaches will depend on SFB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discussing how and why these adaptations to the model have been made.

      • KCI등재

        청소년자살과 해결중심치료: Berg의 사례에 대한 미시적 사례분석

        최중진,정은지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1

        Adolescent suicide is becoming a big social problem. More research is needed. Although research that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solution-focused therapy is increasing, solution focused studies dealing with adolescent suicide are rar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educational videotape named "I'm glad to be alive...”conducted by Insoo Kim Berg by using the tools of micro analysis and case stud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between the adolescent with suicidal ideation and the therapist.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is the role of the therapist in the solution-focused approach to adolescents with suicidal ideation?' We found 20 solution talks and 19 problem talks when we divided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The therapist initiated 17 solution talks out of 20. The themes of the solution talks included exploring exceptions to problems, exploring solutions, clarifying solutions, indirect compliment, and exploring client strengt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roblem talks three themes were found: Identifying, clarifying, and recognizing problems. Findings indicate that problem talks should not be practiced in isolation but are most effective when put in operation together with solution talks in working with adolescents with suicide problems. 최근 들어 다양한 청소년 문제에 대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해결중심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청소년의 자살문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천적 접근은 매우 부족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해결중심실천가인 Insoo Kim Berg의 사례를 미시적으로 사례분석 하였다. 연구 질문은‘자살문제를 가진 청소년에 대한 해결중심접근에서 치료자의 역할은 어떠한가?’였다. 연구결과로 총 40분의 대화로 이루어진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호작용을 대화의 주제로 나눴을 때 20개의 해결대화와 19개의 문제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20개의 해결대화에서 상담자에 의해 발화된 것은 17개였고, 19개의 문제대화에서 상담자에 의해 발화된 것은 8개였다. 해결대화의 주제는 문제 상황에 대한 예외의 탐색, 해결책 탐색, 해결책 명확화, 간접 칭찬, 그리고 내담자 강점 탐색 등이었다. 반면, 문제대화의 경우 문제 끌어내기, 문제 명확화, 그리고 문제 인정하기 등의 세 가지 주제로 진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결중심치료를 활용해 청소년의 자살문제를 다룸에 있어 해결대화 뿐만 아니라 문제대화도 해결중심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해결중심치료에서 문제대화는 그 자체로서 기능하기보다, 해결대화와 긴밀히 연결되어 활용됨을 의미한다.

      • KCI등재

        2018 한국 가족치료 및 상담 전문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최중진,고정은 한국가족치료학회 2018 가족과 가족치료 Vol.26 No.4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Therapy for training family counselors, including both degree (bachelor, master’s, and doctoral) and private non-degree programs. Methods: We searched related degree/non-degree programs using search terms such as “family counseling” on Internet search engines. To supplement existing information and discover missing information about the schools/private institution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ienced family counselors and researchers working in the related fields. Results: We found four bachelor programs, 27 master’s programs, and two doctoral programs that offer family counselling majors. Since 2005, more schools have opened family counseling majors, and the curriculum has become more diverse and enriched. As of 2018, the number of private institutions that provide family counseling trainings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005. Conclusion: The field of family counseling in Korea is growing rapidly. However, with this quantitative growth, it is time for us to ask ourselves, “Where do we stand in 2018 and where are we going? Or, more importantly, where do we want to head?”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치료 및 상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2018 현시점에서 정규학위과정(학사․석사․박사과정)과 비정규과정(민간기관), 그리고 (사)한국가족치료학회의 학술 활동 등의 현황을 살피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가족상담 전문인력양성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정규 학위과정 중 학사의 경우 4개교, 석사과정의 경우 27개교, 그리고 박사과정의 경우 2개교에서 가족상담 관련학과 및 전공이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설과목으로 총 923개의 다양한 과목이 개설되었다. 이중 상담이론 과목이 263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가족치료이론 과목으로 235개 과목이었다. 가족상담에 관한 전문인력 양성 분야는 2005년에 비해 적어도 두 배 이상의 성장을 이뤄낸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학교에서 가족상담 관련학과와 전공이 개설되고, 교과과정도 다양하고 풍성해진 것은 전문인력 양성 측면에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인력양성을 위한 정규학위과정이 서울,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된 지역 쏠림 현상은 2005년과 비교해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개설과목에서도 실습과 직업윤리와 같은 특정 과목은 타 이론과목에 비해 여전히 적게 개설되고 있었다. 비정규과정으로서 가족상담에 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민간기관도 2005년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해 국내 민간자격증과정 3곳, 국제자격증/훈련과정 3곳, 그리고 주요 가족치료 모델에 대한 전문가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5곳 등의 민간기관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민간기관 교육과정의 초점은 특정의 가족치료모델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학위과정과 마찬가지로 민간분야에서의 지역쏠림 현상도 2005년과 유사했고, 제공되는 치료모델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한국의 가족상담분야는 여전히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성장과 함께 가족상담사로서 우리의 정체성과, 이론적, 실천적, 그리고 윤리적 정합성도 함께 커지고 있는지 우리 자신에게 물어볼 때이다. ‘2018년 현재 가족상담사인 우리는 어디에 서 있고, 또 어디로 가고 있나? 또는, 어디를 향해 가고 싶은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했고, 여전히 하나의 시작일 뿐이다.

      • KCI등재

        해결중심단기치료의 변화 여정 고찰: 서구문헌을 중심으로

        최중진 한국가족치료학회 2017 가족과 가족치료 Vol.25 No.1

        Objectives: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SFBT) has inductively changed over the 30 years since it first appeared (in the early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model by analyzing the work of Western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have studied and utilized it. Methods: The literature was explored via three research questions: 1. How has SFBT changed? 2. What in SFBT has changed? 3. What ar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changes? Results: Various continuous changes, as a result of inherent inductive development, were confirmed. The model itself is no longer simply one thing; it is now more accurate to refer to solution focused approaches. Two major trends were identified. Traditional approaches seek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minds of the model developers, such as de Shazer and Berg. Integrative/eclectic approaches seek to expand the model, based on either systematic logic or realistic/pragmatic rationales. Conclusions: SFTB is still a relatively young counseling model compared to other traditional therapeutic approaches. Therefore, it is time for us to give more attention to the changes that are now occurring within the model and open dialogue among solution-focused practitioners. 해결중심단기치료(이하 해결중심치료)는 1980년 초 등장한 이래 지난 30년 간 귀납적 발전과정에 의해 성장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결중심치료의 진영 내에서 영향력을 가지며, 저술에서 자신의 접근방법에 대한 충분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는 서구의 연구자와 실천가의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해결중심치료 진영 내에서 일고 있는 변화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해결중심치료는 어떻게 변화해왔나?; 2. 해결중심치료 진영 내에서 일고 있는 변화는 어떤 것이며, 그 변화의 내용과 근거는 무엇인가?; 3. 이러한 변화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결과 해결중심치료 진영 내에서의 다양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해결중심단기치료는 특유의 귀납적 발전과정의 특성으로 인해 계속해서 그 변화가 진행 중임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해결중심단기치료는 다양한 접근들을 포함하는 해결중심/지향접근(solution-focused/oriented approaches)이 되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본 연구는 두 가지 큰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나는 해결중심치료의 개발자들과 이들의 정신을 이어가고자 하는 전통적 입장과, 다른 하나는 해결중심치료를 근간으로 주변의 다양한 치료적 이론이나 모델을 체계적 논리에 근거하거나 현실적, 실용주의적 이유로 통합/절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향이었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가지는 해결중심치료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다룬다. 해결중심치료는 다른 전통적 치료 접근들에 비해 아직도 상대적으로 젊은 상담모델이다. 따라서 모델의 계속된 성장과 성숙을 위해 현재 해결중심치료의 진영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에 세심한 관찰과 주의를 기울임과 동시에 그 함의에 대해 실천가들 사이의 진지한 대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해결중심학교에 관한 사례연구: 가자고등학교(Garza High School)를 중심으로

        최중진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2

        It is important to provide school-based mental health services for students' mental health. Research shows that the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SFBT)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chang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at school.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find a case of applying SFBT for operationg a whole school and to learn from it. Gonzalo Garza Independence High School in Austin, Texas, US is known as a solution-focused high school. The review shows that the school provided training and supervision to all staff to develop and maintain the expertise of SFBT, thereby making the school's environment a solution-focused one. The collaborative solution-focused approaches among specialists in the school proved to be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mental health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The case of Garza High School is valuable as an example of SFBT applied to a whole school or an institution. However, every school has unique characteristics within its own environment. In order to apply the lessons learned from this study to schools in Korea, localization is required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 and practice. 학교에 기반한 정신건강서비스의 제공은 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효과적인 학교 기반 정신건강서비스의 제공은 다양한 전문가 간 협력을 요한다. 해결중심상담은 그동안 학교의 여러 상황에서 아동과 청소년의 문제행동 변화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학교 전체에서 해결중심상담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검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의 운영철학과 실천적 접근으로 해결중심상담을 적용한 사례를 발굴하여 이에 대한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가자고등학교는 모든 교직원에게 해결중심상담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훈련과 슈퍼비전을 제공했고, 이를 통해 학교의 모든 환경을 해결중심적인 것으로 만들 수 있었다. 해결중심접근은 학내 전문가 간 협력을 이끌었으며, 이는 학생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의 제공 뿐만 아니라 학업 목표의 성취에도 효과적이었다. 가자고등학교의 사례는 해결중심치료를 학교전체에 적용한 예로서 그 가치가 크다. 그러나 모든 학교의 환경은 나름의 독특한 특성에 기반함으로 이를 문화와 제도가 다른 국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논의와 실천을 통한 현지화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청소년의 역량강화를 위한 해결중심 치료의 활용

        최중진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1

        Our society has experienced a rapid transition to a multi-racial and multi-ethnic society, which has been one of the primal sources for conflicts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In particular, adults as well as their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have experienced a variety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is requires a discussion of approaches that can help to enhance the youth’s adaptive capacity as well as empowerment. In order for doing this, a discussion on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for empowering multicultural youth needs to be preceded to the discuss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In other words, a rationale for using solution-focused therapy should be secured before practicing it. In this writing, some issues including who the concerned population is, what problems they are facing, and how solution-focused therapy can be applied to them are discussed. In addition, some concern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Korean situations are discussed. 우리사회는 다인종․다민족 사회로의 급격한 전환을 경험하며 그로인한 다양한 문화의 충돌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성인뿐만 아니라 ‘다문화가족아동․청소년’으로 알려진 그들의 자녀들은 평등한 인격체로서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며, 다양한 차별과 불평등을 경험 한다. 이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들은 다문화가족청소년의 자존감과 사회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들의 적응뿐만 아니라 역량강화를 도울 수 있는 실천적 접근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구체적 상담방법의 효과성에 대한 논의에 선행해야하는 유용한 개념틀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목표로 다문화가족의 청소년은 누구이며, 그들이 당면한 문제는 무엇인지, 그들의 역량강화는 왜 중요하며, 그것을 이룰 수 있는 실천적 접근방법으로서 해결중심치료의 유용성과 이를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한국적 특수성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학교폭력의 해결과 예방을 위한패러다임의 전환 : 회복적, 생태체계적, 그리고 성장지향적 개념틀을 중심으로

        최중진 아시아교정포럼 2013 교정담론 Vol.7 No.2

        최근 학교폭력의 해결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범정부 차원의 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이 제시되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학교폭력은 더욱 저연령화, 집단화, 범죄의 악질화, 장기화 등의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은 학교폭력에 대응하는 우리의 접근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학교폭력에 대한 그 동안의 접근방법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좀 더 효과적인 대응방법을 도출 할 수 있는 대체적인 개념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폭력은 무엇이며, 그 영향 은 어떤 것인가?; 그 동안의 학교폭력을 다루는 우리의 접근은 어떤 것이었으며, 그 효과는 어떠한가?; 대안적 개념틀을 위해 유용할 수 있는 접근은 무엇인가?; 대안적 개념틀은 학교폭력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주요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해자를 갈등의 해결과정에서 소외시켰고, 둘째, 학교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개입이 아니라 단편적인 프로그램과, 셋째, 처벌 위주의 문제중심적 사후대책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의 효과적 예방을 위한 정책의 방향전환을 위한 대책으로 회복적 실천, 생태체계론, 강점중심의 성장지향적 접근을 대체적인 개념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에 선행되어야 할 탐색적 연구로의 한계를 지닌다.

      • KCI등재

        해결중심상담의 기적질문에 관한 사례연구

        최중진 한국가족치료학회 2018 가족과 가족치료 Vol.26 No.1

        기적질문은 해결중심상담을 대표하는 치료질문으로 이에 대한 유능성을 확보하는 것은 해결중심상담자에게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보이는 이 질문이 실제로 치료 장면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기는 쉽지 않다. 더구나 기적질문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적질문이 활용되는 치료적 맥락과 진행 방법에서 이 상담접근의 대표적 실천가들 사이에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Berg, de Shazer, 그리고 Dolan의 교육용 비디오자료로, 이 중 기적질문의 맥락을 발췌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기적질문이 제공되는 임상적 맥락과 방법은 어떠한가?; 2) 기적질문을 진행함에 치료자 간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상담자 사이에서 기적질문은 내담자에게 목표를 명확히 하고, 문제가 없는 미래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갖도록 하며, 또 기본적인 형식이 갖추어져 활용된다는 공통점뿐만 아니라 내담자의 상황과 문제의 맥락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되는 차이점도 보였다. 둘째, 세 상담자는 매우 존중적인 태도로 기적질문을 활용하고 이를 통해 내담자와 효과적으로 합류하며 협조적인 관계를 맺고, 또 내담자들이 원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상상하며 서술할 수 있도록 내담자에게 집중하였다. 셋째, 세 상담자는 기적질문을 진행하는 동안 내담자들이 상세한 기적의 그림을 완성할 수 있도록 질문과정에 온전히 전념하였고, 내담자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이러한 상담자의 안내에 비교적 잘 협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이 질문에 대한, 나아가 선택된 치료적 접근에 대한 상담자의 믿음과 헌신이 내담자의 반응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뒷받침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실천적,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miracle ques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rapeutic questions in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SFB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 contexts and among the ways the miracle question was used by three representative counselors. Methods: The data of the study were extracted from three educational videotapes by Berg, de Shazer, and Dolan. This study followed the traditions of case studies in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First, the miracle question was used not only to clarify the goals of the client but also to establish hopes and visions for a problem-free future. Second, the counselors showed a very respectful and fully focused attitude to their clients, eff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m, establish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and helping them imagine and describe what they wanted. Third, the counselors devoted themselves entirely to the process of asking the miracle question so that the clients could complete a detailed miracle picture. Conclusions: A miracle question without careful oversight from a counselor could be a dangerous approach, in that it could inadvertently offer both hope and despair to the cl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