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이버공론장에서의 포스트모던 집합의례

        최종렬(Choi Jongryul)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3 No.-

        지금까지 시민사회에 대한 규범적?제도적 접근이 한국사회학 내에 지배적이었다. 이 글은 이러한 접근에서 벗어나 시민사회의 문화적 동학에 대한 보다 경험적인 연구로 전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이버공론장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담론 경합을 포스트모던 집합의례의 시각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이 글의 가정은 다음과 같다. 전통적인 집합의례에서는 집합의례가 성과 속의 이분법적인 상징적 분류 체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그 체계가 갱신되어 참여자들 사이의 집합연대를 재강화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포스트모던 집합의례에서는 성과 속의 이분법적인 상징적 분류 체계의 총체성이 텔레테크놀로지가 실어 나르는 기표들의 환유적 전위를 통해 끊임없이 침범받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전복된다. 그 결과 성과 속의 이분법적인 상징적 분류 체계에 터한 연대가 근본적으로 도전받게 된다. 이러한 가정을 확인하기 위해 2004년 12월 14일 오전 11시경 조선일보 문갑식 기자가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올림으로써 촉발되었던 집합의례를 경험적 사례로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문갑식 기자의 블로그 사건을 둘러싼 집합의례의 과정에서 성스러운 언론 제도/언론인과 속된 언론 제도/언론인의 대립, 진보와 보수의 대립,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대립, 여성 아나운서와 여성 접대부의 대립, 남근우월주의와 페미니즘의 대립이 내파되었다. 집합의례의 결과 하나의 거대한 성스러운 상징체계가 창출되지도 않았고, 따라서 이를 중심으로 한 연대도 만들어지지 않았다. 대신 현실 세계의 분류가 자의적이라는 인식만이 팽배해졌다. 여기에는 아이러니의 환유적 연쇄로 특징지어지는 댓글의 연쇄가 큰 역할을 하였다. 연대 대신, 성찰성이 극대화 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이 연구의 가정에 잘 부합된다. Until now normative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to civil society have prevailed in Korean sociology. This paper aims to redirect such approaches into a more empirical approach by focusing on the cultural dynamics of civil society. Diverse contests of discourses occurring inside the cyber public sphere are empiricall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 collective ritual. Underlying assumptions in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Traditional collective ritual is supposed to proceed around the symbolically binary classification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and, as a result, to renew it, reinforcing the collective solidarity among its participants; By contrast, the totality of the symbolically binary classification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in postmodern collective ritual is ceaselessly subverted by the invasion of the metonymic displacement of signifiers conveyed by teletechnology. And as a result, the solidarity based on the symbolically binary classification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becomes fundamentally threatened. In order to verify these assumptions, I selected and analysed the collective ritual provoked by Gap-Sik Moon, a Chosun Ilbo reporter, who posted an argument on his blog which caused a sensation around 11 a.m. on December 14, 2004. Through the collective ritual occurring around Gap-Sik Moon’s blog, antitheses such as sacred vs. profane media/reporter, progressivism vs. conservatism, public vs. private, woman announcer vs. woman pink laborer, and phallocentrism vs. feminism, became imploded. A grand system of sacred symbols around which solidarity should have been made was not created through this collective ritual, nor was there a formation of solidarity centering around this event. Rather, recognition that the classification of reality is arbitrary spread widely. This is mainly due to the internet replies characterized by metonymic chains of ironies. Reflexivity, not solidarity, became maximized. These findings fit in well with my original assumptions.

      •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최종렬(Choi Jongryul)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2 No.-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 넘어가는 시기에 미국사회학계 내에서 기존의 ‘문화분과사회학’과는 차별되는 ‘문화사회학’이 발전되어 나오기 시작했다. 그 중심에는 제프리 알렉산더와 그를 중심으로 한 학파가 있다. 이 논문은 알렉산더가 제출한 사회학에서의 스트롱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그것의 구체적인 경험적 연구 사례들을 보여주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한다. 스트롱 프로그램의 핵심은 문화를 사회구조에 환원시키지 않는 문화의 분석적 자율성을 이론적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방법론적으로도 이러한 문화의 분석적 자율성이 구체적인 연구 세팅에서 어떻게 구체적 자율성으로 작동하는지 세밀하게 보여주는 데 있다. 이 논문은 스트롱 프로그램을 훌륭하게 예시해주는 논문 7편을 소개하였다. 알렉산더가 제출한 문화사회학은 위기의 시기에 문화가 사회 행위를 안내하는 나침반 역할을 한다는 점을 훌륭하게 보여준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하지만 위기가 아닌 일상생활에서도 세계종교를 모델로 하는 문화가 사회 행위를 안내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일상의 삶을 안내하는 다른 형태의 상징체계인 주술과 과학에 주목하는 문화사회학도 필요하다. 또한 성과 속이 차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포스트모던한 세팅을 탐구하기 위해서 급진적 뒤르케임주의자의 시각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A distinct field called “cultural sociology” that differentiated itself from existing “sociology of culture” began to emerge and develop within the world of American sociology at the turn of the 1990s. At the center of this movement was Jeffrey C. Alexander and his school.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Strong Program in sociology as advanced by Alexander and to discuss some of its exemplary empirical studies. Critical to the Strong Program is theoretical securement of analytic autonomy of culture in which culture is not reduced to social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a detailed methodological description of how culture concretely works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a specific research setting. This article introduces seven exemplary papers on the Strong Program. The biggest advantage of Alexander’s cultural sociology is the picture of culture acting as a compass for guiding social action in moments of crises. It is difficult, however, to say that culture modeling on world-religion guides social action in routine, everyday life. Thus, there is also a need for cultural sociology to focus on other types of system of symbols such as magic and science that guide everyday life. Moreover, the perspective of radical Durkemians should be incorporated in order to study the postmodern setting in which the differa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prevails.

      • KCI등재

        모던 미국사회학과 과학주의

        최종렬(Choi, Jongryul) 한국이론사회학회 2010 사회와 이론 Vol.16 No.-

        이 글은 모던 미국사회학이 사용한 지식 패러다임을 살펴봄으로써 그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모던 미국사회학은 사회학을 진정한 과학으로 수립하고자 미학을 배제하였다는 점에서 고전 유럽사회학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 하지만 고전 유럽사회학과 달리 모던 미국사회학은 경험과학을 비판하지 않았다. 오히려 경험과학을 사회학을 위한 최고로 우월한 지식의 패러다임으로 채택하였다. 모던 미국사회학은 미국의 영웅적 개인주의 정신과 잘 들어맞는 한도 내에서 도덕학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또한 모던 미국사회학은 이론과학을 받아들였지만, 유럽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유럽에서는 맑시즘과 구조주의와 같은 본질주의적 이론과학이 사회학을 포함한 지성계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본질 주의적 이론과학이 사회학적 담론으로 자리를 잡지 못하였는데, 주된 이유는 미국 지성계를 지배한 세속화된 과학관이 본질주의적 이론과학의 목적론적·비과학적 함의를 용인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반면 초월주의적 이론과학은 목적론을 담고 있지 않아 모던 미국사회학에서 비교적 손쉽게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경험과학과 초월주의적 이론과학이 서로 손을 잡고 모던 미국사회학에서 크게 성공을 거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닌데, 왜냐하면 뉴턴이 이미 경험과 합리적 추론을 종합하여 자신의 과학관을 제출한 바 있기 때문이다. 결국 모던 미국사회학의 패권을 잡은 것은 과학이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modern American sociology in terms of the paradigms of knowledge it has utilized. Modern American sociology has excluded aesthetics from its horizon in order to establish itself as a genuine science, which is in a sense similar to classical European sociology. Unlike classical European sociology, however, modern American sociology did not criticize empirical science; rather, it adopted empirical science as the primary model of knowledge. Modern American sociology positively embraced morality insofar as it fits in with the American spirit of heroic individualism. Moreover, modern American sociology adopted the model of theoretical science, but its mod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European one where the essentialist version of theoretical science such as Marxism and structuralism prevailed in the academe including sociology. In contrast, the essentialist version of theoretical science did not take root in the American academe, the main reason being that the secularized view of science dominating the American academe could not bear its teleological, unscientific implications. Instead, the transcendentalist version of theoretical science was able to take root in modern American sociology relatively easily because it did not include teleological implications. Empirical science and transcendentalist theoretical science flourished together in modern American sociology, which is not surprising because Newton already presented the paradigmatic view of science that successfully synthesized empirical facts and rational reasoning. Thus, science assumed hegemony in modern American sociology.

      • KCI등재

        정의와 다문화주의

        최종렬(Choi, Jongryul) 한국이론사회학회 2014 사회와 이론 Vol.25 No.-

        킴리카는 정의의 관점에서 자아실현을 포괄하려는 대표적인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 제창자이다. 최근 한국 학계에 활발하게 소개 되면서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는데 대개 정치철학이나 법철학의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와 달리 이 논문은 킴리카의 다문화주의를 문화의 사용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해 보려고 한다. 이 관점은 문화를 ‘행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 본다는 점에서 실용주의적이지만, 문화를 공적인 상징체계로 본다는 점에서는 문화사회학적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다문화주의는 이주의 지구화를 통해 한국 사회에 야기된 행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구에서 도입된 문화, 즉 공적인 상징체계이다. 이 논문은 먼저 공적인 상징체계로서 킴리카의 다문화주의를 소개하고, 서구 자유민주주의 나라와 한국에서 이를 사용하면 행위의 문제가 어떻게 해소될 수 있을지 따져본다. Kymlicka is the most representative advocate for a liberal multiculturalism which tries to incorporate self-realization into justice. Recently, he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to, and widely accepted by, Korean academia, but most discussions about him and his works are approached from political philosophy or philosophy of law. By contrast, this article aims to evaluate Kymlicka’s multicul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 of culture. This perspective is pragmatic insofar as it sees culture as an instrument for solving the ‘problem of action’; it is cultural-sociological in that it considers culture as a public system of symbols.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multiculturalism is a culture, i.e., a system of public symbols, which was imported to Korea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action brought about by globalization of migration. This article first addresses Kylmlicka’s liberal multiculturalism as a system of public symbols, and then examines whether the practical difference will occur if we use it in western democracies and South Korea as a tool for solving the problem of action.

      • KCI등재

        탈영토화와 다문화주의

        최종렬(Choi, Jongryul)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0 No.-

        최근 한국 사회에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불행히도 현재 한국의 다문화주의는 정부의 과잉 사법화와 운동 단체의 과잉 규범화가 혼융되어 있는 기괴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문화 현실이 정부의 국민국가 프레임과 운동단체의 보편가치 프레임에 어떻게 도전을 던지고 있는지 학문적으로 탐구해야 한다. 현재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국민국가 프레임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 충분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여러 이유가 있을 터이지만, 국민국가 프레임이 근대성 일반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고 ‘근본화’하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러한 흐름에 맞서, 이 글은 근대 ‘국민국가’ 형성과 함께 만들어진 한국의 ‘사회적인 것’이 작금의 지구화를 통해 탈영토화되고 있다는 ‘보다 근본적인’ 관점을 취할 것이다. 그 다음에, 이러한 탈영토화된 공간 속에서 한국인과 이주자 사이에 벌어지는 다양한 재영토화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진행된 다문화주의 연구 쟁점에 대해 이론적으로 짚어볼 것이다. Recently, debates on multiculturalism have become heated throughout South Korea. But, unfortunately,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is showing a grotesque mixture of the state’s over-legalization and the movement organizations’ over-normalization. To overcome this, we need academic research on how multicultural realities are challenging both the State’s frame of nation-state and the movement organizations’ frame of universal values. Even though various disciplines are actively discussing about multiculturalism, the fundamental reflection on the frame of the nation-state does not seem to be sufficient. There may be many reasons for this, but the most significant reason appears that multiculturalism is not radicalized in a way in which the nation-state frame is intertwined with modernity in general. In this article, a more radical perspective against this current will be taken, that ‘the social’, constructed with the building of the nation-state, is being deterritorialized through globalization. This will be followed by a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key issues on multicul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reterritorializing practices in deterritorialized spaces between Koreans and migrants.

      • KCI우수등재

        ‘복학왕’의 사회학

        최종렬(Jongryul Choi)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1

        이 글은 김홍중의 생존주의 청년 세대 테제를 ‘복학왕’으로 대표되는 지방대생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통해 경험적으로 따져본다. 먼저 김홍중이 이론적으로 기대고 있는 푸코의 (탈)구조주의적 입장을 보완하기 위해 자기계발 담론을 공적 상징체계로 정의하고 이를 활용하는 행위자의 능력을 강조하는 문화화용론을 새로운 방법론으로 도입한다. 이어 6명의 지방대생의 이야기에 대한 서사분석을 통해 그들이 활용하는 공적 상징체계를 가치, 규범, 목표 차원에서 해석학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김홍중의 생존주의 청년 세대의 마음의 코드와 견주어 본다. 마지막으로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이 지방대생에게는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리고, 이를 자기계발 담론이라는 공적 상징체계를 활용하는 지방대생의 독특한 집단 스타일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examine Kim Hong Jung’s thesis of survivalist young generation with the storie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represented by Bokagwang. First of all, in order to compensate for Foucalult’s (post)structuralist position which Kim Hong Jung theoretically relies on, this article defines self-development discourse as a public system of symbols and presents, as a new methodology, the cultural pragmatics which emphasizes actors’ capacity to use it. Secondly, this paper hermeneutically reconstructs the public system of symbols that local university students use in terms of values, norms and goals through a narrative analysis of six local university students’ stories, and compares them with Kim Hong Jung’s code of survivalist young generation’s mind. Lastly, it concludes that neoliberal governmentality does not work well on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explains that this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 group style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filters self-development discourse as a public system of symbols when they use it.

      • KCI등재

        신뢰와 호혜성의 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자본

        최종렬(Jongryul Choi)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6

        근래 들어 한국사회학계에 사회자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왔는데, 크게 보아 경제사회학 진영과 발전사회학 진영으로 그 입장이 갈려 있다. 경제사회학 진영은 공적 불신의 제도화와 연결망 사회의 건설을 부르짖고 있고 발전사회학 진영은 유교적 국가의 선한 통치와 연고집단의 활용을 주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입장의 차이는 경제사회학 진영은 신뢰를, 발전사회학 진영은 호혜성을 각각 사회자본의 특성으로 강조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두 입장이 일면적이라 보고 보다 종합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그 핵심은 신뢰에 대한 현상학적 이론과 호혜성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을 도입하고, 이를 통해 신뢰와 호혜성을 하나로 묶어 정서적 연결망으로 만드는 데 있다. 더 나아가 정서적 연결망을 인지적 연결망과의 결합을 통해 필로스 관계, 연고집단, 계, 교락집단, 홉스의 자연상태, 죄수의 딜레마라는 여섯 가지 유형의 사회자본을 만든다. 사회자본은 원래 현상학에서 말하는 “생활세계”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앞으로 필요한 것은 한국인의 생활세계에 대한 역사적/경험적 탐구를 통해 실제 한국에서 작동해온/하고 있는 사회자본의 유형들을 파악하는 일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그 사회자본이 전 지구화라는 극도의 불확실성을 존재조건으로 하는 현재의 삶에서, 특히 국가와 시장에서 어떤 긍정적인 기능적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차분히 따져보는 일일 것이다. Interest in social capital has increased in Korean sociology recently. Perspective on social capital can be broadly divided into camps: economic sociology and sociology of development. The camp of economic sociology advocates institutionalization of distrust, whereas the camp of sociology of development claims utilization of “background groups.” This difference arises due to economic sociology putting emphasis on trust as social capital vs. sociology of development putting emphasis on reciprocity as social capital. This paper claims that these two perspectives are one-sided and attempts a more synthetic approach. The core of this new approach is the introduction of a phenomenological theory of trust and an anthropological approach to reciprocity in order to unite the two into an affective network. Moreover, six ideal types of social capital are created by combining affective network and cognitive network: philos relationship, background group, “kye,” bridging group, Hobbes’ state of nature, and prisoner’s dilemma. Social capital exists in abundance in the so-called “lifeworld” of phenomenology. What is necessary in the future is comprehending various types of social capital that have been or are functioning in reality in Korea through historical/empirical inquiry of the lifeworld of Korean people. Furthermore, what positive functional effects will be brought on by social capital in today’s condition of life under extreme uncertainty called globalization, and especially within the nation and the marketplace.

      •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

        최종렬(Choi Jongryul),최인영(Choi Inyo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08 문화와 사회 Vol.4 No.-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적지 않은 연구가 이주여성을 영웅, 피해자, 성 상품으로 표상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결과 이주여성의 삶을 개선하겠다는 본래 의도와 달리 오히려 이주여성의 일상의 삶을 옥죄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역설은 이주여성의 행위를 도구적/제도적/물질적 차원에서만 접근하고 그것의 문화적 차원을 무시하기 때문에 발생했다. 이주여성은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혼이라는 ‘수단’을 사용한 도구적 존재이거나, 국가정책과 그 대행자인 중개업자라는 ‘제도’에 의해 결정되는 수동적 존재, 그리고 지구적 자본주의의 성별 노동분업이라는 ‘물질적 강제’에 의해 성 상품으로 팔려온 존재로 그려지는 것이다. 이러한 일방적인 시각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행위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으로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는 우선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행위의 다차원성을 진지하게 고려하도록 만드는 인식론적/방법론적 기획으로서 필요하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박탈된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이주여성 개개인에게 되돌려주고자 하는 윤리적 기획으로서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우선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를 최후의 낭만적 사랑을 위한 문화적 조건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조건 하에서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자신의 삶을 지구적 차원까지 고려해서 국제결혼을 감행한 행위자로 표상한다. 다음으로는 문화사회학적 접근의 방법론적 이슈와 이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윤리적 이슈에 대해 논의한다. 이는 연구자가 실제 연구과정에서 봉착한 방법론적/윤리적 문제를 한국 사회학계의 다른 연구자들과 공유하고 공론화하기 위해서이다. Many studies on immigrant women have tended to represent them as heroines, victims, or sexual commodities. As a result, these studies have contributed toward imposing constraints on the everyday life of immigrant women, which is contrary to the original intent of improving immigrant women’s lives. This paradox occurred due to the fact that they address immigrant women’s acts in instrumental, institutional, and material terms, ignoring their cultural dimension. According to this, immigrant women are represented as follows: instrumental beings who use marriage as a ‘means’ to achieve their economic ends; passive beings determined by ‘institutions’ such as the state’s policies and its agents(brokers); and sexual commodities sold to Korea by ‘material constraints’ of gendered division of labor in global capitalism.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this one-sided approach with a cultural sociology’s approach toward immigrant women’s acts. First of all,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projects are required to take the multi-dimensionality of immigrant women’s acts into consideration. More fundamentally, an ethical program is necessary to revive the deprived dignity of immigrant women as human beings and give the dignity back to them. Concretely, this paper examines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as the cultural condition for the last romantic love; it also represents immigrant women as actors who, using the global framework, elect to undergo international marriage under this condition. It also discusses the methodological issues of cultural sociology’s approach and necessarily accompanying ethical issues.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to share methodological and ethical issues encountered during this research with other researchers in the field of Korean sociology, thereby making these issues public.

      • KCI등재

        탈영토화된 공공장소에서 ʻ에스니시티 전시하기ʼ

        최종렬(Jongryul Choi),최인영(Inyoung Choi)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4

        이 글은 탈영토화된 공공장소인 안산 다문화거리를 에스닉 관광을 하는 이동하는 관광객의 시선으로 실행한 문화기술지이다. 전형적인 에스닉 관광객은 시각적 표상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를 들고 진기한 것을 찾아 낯선 이국적인 거리를 떠도는 이방인이다. 관광객의 시선은 ?외부자의 관점?을 취하고 있어 지역 거주민의 그것과 달리 진기한 것에 대한 ?얕고 분절된 표상?을 추구하며, 이는 보통 무계획적인 잡다한 인상적 사진 찍기로 나타난다. 이러한 에스닉 관광객의 시선으로 문화기술지를 행하기 위해, 방법론적으로 고프만의 공공장소의 이방인의 사회학과 영상사회학을 결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탈영토화된 공공장소에 놓인 이주민과 한국인 사이에 어떤 재영토화 전략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관광객의 시선으로 비참여관찰을 통해 연구하였다. 탈영토화된 공공장소에서 이주민과 한국인 사이의 대면적 상호작용의 핵심은 에스니시티 전시이고, 이는 위계화된 국적 행하기로 쉽게 전화된다. This paper is an ethnograhy of the deterritorialized public places of Ansan?s multicultural streets as viewed through the gaze of a fleeting tourist. Typical ethnic tourists are strangers with cameras strolling along strange ethnic streets, searching for the exotic to be visually represented. A tourist"s gaze with the perspective of the outsider searches for shallow and fragmented representations of the exotic, which usually appears as ad hoc impressive photographing. In order to do ethnography from an ethnic tourist?s gaze, Goffman?s sociology of strangers in public places and visual sociology are methodologically combined. More specifically speaking, non-participant observation by ethnic touris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migrants and Koreans practice reterritorializing strategies in deterritorialized public places. Face-to-face interaction between them is mostly characterized by ?doing ethnicity,? which easily leads to doing ?hierarchical nationality.?

      • KCI우수등재

        포스트모던 미국사회학의 문화연구

        최종렬(Jongryul Choi)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1

        이 글은 영국에서 시작되어 전 지구적으로 확산일로에 있는 문화연구의 핵심 성격과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포스트모던 미국사회학이 문화연구를 어떻게 수용했는지, 그리고 그 향후 전망은 어떠한지를 밝힌다. 초기 영국 문화연구는 1) 전후 영국 사회와 문화의 대규모 구조적 변동과 2) 그에 대응하는 노동계급을 위시한 주변인들의 삶의 전략에 관심을 가졌다. 이를 위해 역사학적, 민속지적, 문학적 접근을 포괄하는 학제적 연구를 활용하였고, 주변적 존재들의 시각에서 인간과 사회를 보다 평등하게 재구성하려는 윤리적?정치적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사회학을 ‘과학’으로 만드는 데에만 몰두해 온 미국 주류사회학은 사회가 텍스트화 되었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을 거의 무시한 반면, 비판적 사회학과 상호작용론적 사회학과 같은 비주류 사회학은 이 도전에 대한 대응으로 초기 영국 문화연구의 기획을 받아들여 포스트모던 시대의 문화연구로 발전시켜왔다. 향후 포스트모던 미국사회학의 문화연구는 포스트모던 시대의 구조화된 불평등을 거시적?미시적 차원 모두에서 제거하기 위해 정치경제학과 담론이론의 학제적 연구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s the core nature and development of British Cultural Studies which spread through the globe, examines how postmodern American sociology embraced it, and illuminates further implications of Cultural Studies in postmodern American sociology. Early British Cultural Studies introduced two interrelated subjects: 1) large-scal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culture and society in post-war Britain; and 2) its impact on the everyday lives of the marginal including the working class. It utilized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culture and society, which included history, ethnography, and literature. The main impetus that propelled this project was of the ethical-political interest in reshaping humanity and society into a more egalitarian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arginal. Mainstream American sociology, which has been preoccupied with how to make sociology a “science,” has almost ignored the postmodern challenge that the social has become textualized. Marginal American sociology such as critical sociology and symbolic interactionist sociology, in contrast, has embraced Cultural Studies as a response to the postmodern challenge and has developed it into Cultural Studies in the postmodern era. Further, Cultural Studies in postmodern American sociology should utiliz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hich would combine political economy and discourse theory, in order to eradicate the structured inequality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in the postmodern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