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철원분지 동막골응회암의 분출유형과 분출과정

        황상구(Sang Koo Hwang),손영우(Yeong Woo Son),최장오(Jang O Choi),김재호(Jae Ho Kim) 한국암석학회 2013 암석학회지 Vol.22 No.1

        동막골응회암은 대부분 화쇄류암으로 구성되지만 입도와 퇴적구조에 따라 암상을 분류하면 (1) 괴상응회각력암, (2) 용결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 (3) 유변상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이 있고 (4) 괴상 라필리응회암, (5) 성층화 라필리응회암, (6) 점이층리 라필리응회암, (7) 불량층리 라필리응회암과 (8) 괴상 세립질 응회암이 있다. 이 암상들은 상하로 3개 화성쇄설암군으로 구별하여 조합할 수 있다. 하부 화성쇄설암군(LI)은 괴상 라필리응회암, 용결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과 유변상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으로 조합되며, 화쇄류형성 분출로부터 끓어넘침 분출에 의한 화쇄류로부터 정치된 것이다. 중부 화성쇄설암군(LT+MI)은 하부에 성층화 라필리응회암, 점이층리 라필리응회암, 괴상 라필리응회암과 이들에 조합된 괴상 세립질 응회암으로 구성되고 중·상부에 괴상 라필리응회암, 용결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과 유변상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으로 조합된다. 이들은 외부물의 소량 유입으로 수증기마그마성 분출에 의한 화쇄써지로 시작하여 끓어넘침 분출의 화쇄류로 전환된 것이다. 상부 화성쇄설암군(lUT+uUT+UI)은 최하부에 성층화 라필리응회암, 점이층리 라필리응회암으로 조합되고, 하부에 괴상 응회각력암, 불량층리 라필리응회암, 괴상 라필리응회암과 괴상 세립질 응회암으로 조합되며 중·상부에 괴상 라필리응회암, 용결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으로 조합되며, 이들은 수증기플리니언 분출에 의한 써지로 시작해서 플리니언 분출에 의한 강하를 거쳐 끓어넘침 분출로 전환되어 화쇄류로부터 퇴적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막골응회암에서 분출과정은 대체로 전·중·후기 화산작용이 단계별로 수증기플리니언 혹은 플리니언 분출로 시작하여 화쇄류형성 분출로 전환되고 끓어넘침 분출로 진행되는 순서를 밟았다. 그러나 전기 화산작용은 아마도 초엽의 수증기플리니언 혹은 플리니언 분출 없이 진행되었다. The Dongmakgol Tuff is divided into 8 lithofacies based on their grain size and depositional structures: massive tuff breccia(TBm), welded tuff and lapilli tuff(LTw), rheomorphic tuff and lapilli tuff(LTr), massive lapilli tuff(LTm), stratified lapilli tuff(LTs), gradedly bedded lapilli tuff(LTg), crudely bedded lapilli tuff(LTb) and massive fine tuff(Tm). They can be divided into 3 pyroclastic rock group based on their constituents of the lithofacies. The lower group(LI) is composed of LTm, LTw and LTr, which are interpreted to have resulted from emplacement of voluminous pyroclastic flows due to ignimbrite-form eruption to boiling-over eruption. The middle group(LT+MI) consists of LTs, LTg and LTm associated with Tm in the lower part, and of LTm, LTw and LTr in the middle and upper parts; these suggest that started with deposition of pyroclastic surges from phreatoplinian eruption by poor eternal water, passed through emplacement of pyroclastic flows from ignimbrite-form eruption and ended with deposition of voluminous pyroclastic flows from boiling-over eruption. The upper group(lUT+uUT+UI) is composed of LTs, LTg and Tm in the lowermost, TBm, LTb, LTb and Tm in the lower part, and LTm and LTw in the middle and upper part, suggesting that began with deposition of surges from phreatoplinian eruption, passed through deposition of pumice- and ash-fallouts from plinian eruption and transformed into emplacement of pyroclastic flows due to boiling-over eruption. As result, eruptive processes in the Dongmakgol Tuff approximately began with phreatoplinian or/and plinian eruption, transformed into ignimbrite-forming eruption and proceeded into boiling-over eruption in each volcanism, but proceeded presumably without phreatoplinian or plinian eruption in the earlier stage of 1st volc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