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장품 판매사원의 스마트러닝을 통한 학습경험과정 탐색

        최유연(Yuyeon Choi),유기웅(Kiung Ryu)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판매사원의 스마트러닝을 통한 학습경험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스마트러닝을 통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정을 심층적 으로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학습자가 어떤 사고의 전환을 경험하고 학습경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 는지에 초점을 두고 6명의 화장품 판매사원들을 인터뷰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자들은 스마트러닝 학습경험과정에서 먼저, 학습 초기에는 ‘학습 환경과 기회의 제약’이나 ’학습 경험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었으나 화장품 판매사원으로서 ‘자기개발의 필요성 인식’과 ‘뒤처지면 안 된다는 인식‘ 그리고 수시 반복적인 ’학습의 필요성을 체감’하는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면서 ’학습을 통해 발전을 모색‘하는 중심 현상을 보였다. 다음, 스마트러닝 학습을 경험하는 과정에서는 ’학습에 흥미와 몰입‘이 되고 자부심과 긍정적인 ’학습 태도의 변화‘가 일어나며 직원들끼리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협업학습을 하게 되는 ’학습의 정적 전이‘까지 발생하였고 마지막으로 학습경험 이후에는 ’학습에 대한 수용과 성찰’을 통해 ‘자발적인 학습태도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더 배우고 노력하려는 ’성찰적 실천을 통해 전문가로 성장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마트러닝을 통한 학습자의 학습경험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스마트러닝의 도입과 운영에 있어 학습자의 학습 참여를 촉진하고 학습 이후의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 through smart learning of cosmetics sales associates. Specifically,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deeply the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s of learners through smart learning using grounded theory and focuses on what kind of thinking experience the learners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cosmetic sales associates and their cont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primary findings. First,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limit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and opportunity and limits of learning experience at the beginning of learning. Second,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smart learning there were ‘reflection of the need for learning’ at any time, ‘seeking development through learning’, ‘interest and commitment to learning’, self-esteem and ‘positive change of learning attitude’, and ‘positive transition of learning’. Finally, after the learning experience there were ‘acceptance and reflection of learning’, ‘a voluntary learning attitude’, and ‘becoming to be a professional through reflective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aid that there is a significanc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learning experience of learners through smart learning,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s necessary to facilitate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d to change after smart learning.

      • KCI등재

        육군 장교가 인식하는 재능(talent)평가지표에 대한 요구분석

        현영섭 ( Hyun Youngsup ),권기범 ( Kwon Kibum ),최유연 ( Choi Yuyeon ),전형구 ( Jeon Hyongku ),조대연 ( Cho Daeye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육군의 재능 기반 인재육성 및 관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육군 장교의 능력과 자질을 식별할 수 있는 재능평가지표에 대한 요구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재능관련 선행연구 검토, 전문가 의견 수렴, 육군간부 설문조사의 절차를 적용하였다. 선행연구 검토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육군 간부 재능지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재능지표를 활용하여 요구분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요구분석을 위해 육군 간부 521명으로부터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요구분석은 t검증, Borich의 요구도 분석, LFF 모델을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군 간부 전체에게 요구수준이 높은 재능평가지표는 42개 중 14개였다. 둘째. 육군간부의 계급에 따라 요구되는 재능평가지표 중 7개 지표는 모든 계급에서 요구수준이 높았다. 셋째, 육군 간부의 요구되는 재능평가지표 중 일부는 계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needs of talent evaluation indicators to identify the capabilities and qualities of Army officers in order to create a future talent-bas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environment for the Arm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rough the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gathering expert opinions, the talent index for Army officials was derived. Based on the index,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for need analysis of talent indicator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521 Army officers. Need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 Borich's fomular, and LFF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4 out of 42 talent evaluation indicators with high priorities. Second, seven talent evaluation indicators are required across all classes. Third, some of the talent evaluation indicators are differed by the clas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