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의 통일과 교회의 역할: 크리스티안 퓌러(Christian Fuhrer)을 중심으로

        최용준 ( Yong Joon(john) Choi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5 신앙과 학문 Vol.20 No.4

        본 논문은 ‘조용한 개신교 혁명’이라 불리는 동서독의 통일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라이프치히(Leipzig)의 니콜라이교회(Nikolaikirche) 및 그 교회의 담임 목회자였던 크리스티안 퓌러(Christian Fuhrer, 1943-2014)의 사상과 사역을 탐구하기 위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먼저 퓌러의 생애를 다섯 단계로 나누어 살펴 본 후 그가 섬긴 니콜라이교회가 왜 평화의 상징인지를 세 가지로 설명한다. 그리고 그 교회에서 퓌러가 주도한 평화기도회 및 그의 평화 사상이 어떤 의미에서 중요한지 다섯 가지로 나누어 분석한 후 이것이 어떻게 월요시위로 연결되고 발전되어 마침내 평화적인 무혈 통일 혁명으로 열매를 맺게 되었는지를 논의한다. 나아가 통일 이전에 이미 존재했던 동서독 교회의 유대관계를 살펴보면서 독일의 통일에 개신교회가 어떻게 배후에서 또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퓌러의 사상과 사역이 한국사회와 교회에 주는 교훈이 무엇인지 결론으로 정리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fication of Germany and the role of the church focusing on the thought and ministry of Rev. Christian Fuhrer who was the senior pastor of Nikolai church in Leipzig. First of all, the life of Fuhrer is dealt with in five stages. Then Nikolai church is seen as the symbol of peace in three aspects. After that, the five processes are investigated how the peace prayer meeting was developed into Monday demonstration and finally brought about the peaceful revolution of unification. Here Fuhrer``s thought of peace is more deeply analyzed. Furthermore,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est and east German protestant churches is discussed to demonstrate how they made a crucial contribution for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conclusion, three lessons that Korean society and church can learn from Fuhrer are presented.

      • KCI등재

        아브라함 카이퍼의 학문과 신앙의 통합에 관한 고찰

        최용준 ( Yong Joon(John) Choi )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4

        본 논문은 네덜란드의 신학자요 정치가이며 언론인이자 교육가였던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1920)가 어떻게 학문과 신앙의 통합을 추구했는지 고찰한 것이다. 카이퍼는 1880 년 암스테르담에 기독교 대학인 자유대학교(Vrije Universiteit)를 설립한 후 1898년에 미국의 프린스턴 신학대학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칼빈주의에 관해 강연한 후 네덜란드어로 출판한 책 제4장에서 학문과 신앙이 어떻게 통합되는지 자세 히 설명하고 있다. 나아가 그가 1902-1904년에 3권으로 출판했던 De Gemeene Gratie(일반 은총론)에서도 이 주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먼저 학문과 신앙이 통합되어야 하는 근거는 하나님의 창조적 주권 때문이며, 만물의 통일성, 안정성 및 질서에 대한 하나님의 예정과 경륜에 대한 신앙은 학문에 대한 동기를 일깨우고 발전시키며, 나아가 일반 은총 교리를 통해 학문을 중세적 억압으로부터 원래의 고유한 영역으로 회복시켰고, 영역 주권을 주창하여 학문을 비자연적 속박에서 해방하여 자유를 주었으며, 정상주의와 비정상주의 간의 원리적인 대립을 구별함으로 불가피한 학문적 갈등에 대한 해법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카이퍼의 통찰력은 더욱 확대되어 ‘신칼빈주의(Neo- Calvinism)’라고 불리게 되었고 그의 후계자들에 의해 지금도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사상 전체와 그가 남긴 여러 저작을 고찰해 본 후 그가 남긴 영향을 간략히 평가함으로 결론을 맺는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Abraham Kuyper(1837-1920), a Dutch theologian, politician, journalist and educator tried to integrate science and faith. Kuyper founded the Vrije Universiteit, in Amsterdam in 1880 and in 1898, while receiving an honorary doctorate in law from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in the United States, he gave lectures on Calvinism and they were published in 1899 as a book. In this book, especially at Chapter 4, he explains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cience. Furthermore he dealt with this issue again in his three volumes of De Gemeene Gratie(1902-1904). First of all, the ground for integration is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e faith in God’s predestination and providence encouraged scientists’ motivation to develop science. The doctrine of common grace restored science its domain from medieval bondage. The principle of sphere sovereignty has advanced its indispensable liberty from its unnatural bondage. By revealing the ultimate antithesis between normalism and abnormalism, Calvinistic faith offered the solution for the inevitable academic conflict of principles. In conclusion, it is discussed how Kuyper’s insight has been developed by his successors and is now called Neo-Calvinism and his legacy and impact are evaluated and some lessons for Korean context are reflected.

      • KCI등재

        완성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요한계시록 21장 1-4절을 중심으로

        최용준 ( Yong Joon (john) Choi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9 신앙과 학문 Vol.24 No.4

        본 논문은 완성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이다. 기독교 세계관을 연구한 대부분의 학자들은 기독교 세계관을 창조, 타락 및 구속으로 이해하며 하나님 나라의 완성은 구속의 일부로 본다. 하지만 본 논문은 완성을 별도로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왜냐하면 구속과 완성 간에는 연속성도 있지만 비연속성도 분명히 있기 때문이다. 완성에 관한 대표적인 본문으로 요한계시록 21장 1-4절을 중심으로 성경신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새 하늘과 새 땅의 의미를 기술하고, 거룩한 도성과 새 예루살렘 및 신부의 이미지를 통해 하나님 나라의 완성이 어떠한 내용인지 보다 깊이 살펴본 후,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들과 함께 하시는 임마누엘 원리의 완성을 통한 언약의 최종적 성취를 통해 하나님의 백성들이 누리게 될 영원한 축복으로서의 샬롬에 대해 고찰한다. 그후 이 논의가 기독교 세계관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결론적으로 도출한다. This article is a reflection on consummation from the Christian worldview. Most scholars think of Christian worldview in terms of creation, fall into sin and redemption and view that consummation of the Kingdom of God is included in redemption. But in this article, it is argued that consummation should be discussed separately because there is not only continuity but also a clear discontinuity between redemption and consummation. Revelation 21:1-4 are selected as the main text for consummation and the following four themes are discussed with a biblical theological method: first, the meaning of new heaven and new earth is discussed. Then, by explaining the significance of the holy city, new Jerusalem and bride, a deeper investigation is made to explore the contents of the consummation of the Kingdom of God. After that, the Immanuel principle is dealt with as the final completion of God’s covenant with His people. Finally, shalom as the eternal blessing is exposed as the ultimate blessing given to God’s people. In conclusion, an attempt is made to identify what kind of contribution it can make in the Christian worldview.

      • 학문과 신앙: 그 관계성에 관한 고찰

        최용준(Yong Joon (John) Choi) 행복한부자학회 2015 행복한부자연구 Vol.4 No.1

        본 논문은 학문과 신앙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를 다루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양자의 관계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양자는 서로 대립적이며 갈등을 일으킨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반면에 둘째로 학문과 신앙은 각각 독립된 영역이 있다고 주장하는 관점이 있다. 나아가 셋째로 양자는 서로 이해관계가 중복됨으로 대화할 수 있다고 하는 학자들도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양자는 원칙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이 네 가지 모델을 소개하고 평가한 후 신앙과 학문은 서로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결국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독자적이라는 것은 학문의 대상이 이 세상의 다양한 면들을 탐구하는 반면 신앙은 절대자와의 인격적인 관계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학문적 활동 또한 신앙적 차원을 그 뿌리로 한다는 면에서 그렇다. 나아가 학문과 신앙이 통합되어야 할 근거를 살펴본 후 성경적 세계관에서 본 학문과 신앙의 통합의 모습을 다루겠다. 그 후에 이러한 통합을 시도한 대표적인 세 학자, 즉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도여베르트 그리고 헨드릭 반 리센의 이론을 살펴본 후 양자는 궁극적으로 통합되어야 함을 결론으로 맺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larship and faith. Historically speaking, there are four 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first one is the conflict theory, stating that the two are contradictory and so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second view argues that both are independent as each treats quite separate realm of inquiry. The third type thinks that both can have a dialogue because each field has things to say to the other. Finally, there is an integration model which aims to unify both fields into a single discourse. After presenting each view respectively with critical evaluation, I will argue that both are independent in the area of interest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closely interrelated each other and ultimately should be integrated. Both are independent because science deals with various aspects of reality whereas faith focuses on the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At the same time, however, both are interrelated in the sense that scientific activity is rooted in faith dimension. Furthermore, I will discuss the ground for integrating science and faith from the Christian viewpoint. After that I will mention three representative scholars who tried to do that, namely, Abraham Kuyper, Herman Dooyeweerd and Hendrik van Riessen. Then my conclusion is drawn that both should be integrated ultim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