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무자녀 부부의 초상 1 : 무자녀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 부부관계 및 자녀에 대한 태도

        최연실(Choi, Younshil),성미애(Sung, Miai),이재림(Lee, Jaerim)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무자녀 유형(자발형, 비자발형, 연기형)에 따라 심리적 복지(주관적 행복도, 생활만족도, 자존감, 우울), 부부관계(부부관계 만족도, 부부적응, 별거 혹은 이혼 가능성, 부부 여가시간), 자녀에 대한 태도(본인이 자녀를 원하는 정도, 배우자가 자녀를 원하는 정도, 입양의향, 자녀에 대한 생각, 이상적 자녀수)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결혼한 지 3년이 경과하였고 자녀가 없으며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50세 미만의 남녀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54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일원분산분석 및 Tukey 사후검증, 카이제곱(Χ²)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자녀 기혼자는 대체로 심리적 복지 수준이 양호하였고, 전반적으로 부부관계가 원만한 편이었으며, 자녀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편이었다. 둘째, 무자녀 유형별로 결혼지속연수, 주관적 건강, 부부소득 적정성, 배우자소득, 종교의 중요도, 맞벌이 여부, 자가 소유 여부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무자녀 유형별로 심리적 복지, 즉 주관적 행복도, 생활만족도, 자존감, 우울은 모두 차이가 있었다. 넷째, 무자녀 유형별로 부부관계 만족도, 부부적응, 별거/이혼 가능성 예측에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무자녀 유형별로 본인과 배우자가 각각 자녀를 원하는 정도, 입양 의향, 자녀에 대한 생각, 이상적 자녀수에서 모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무자녀 유형별로 개인적 차원, 관계적 차원, 세대적 차원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도 이러한 유형별 분석이 무자녀 기혼자의 면모를 파악해 가는 데 있어 유용한 접근방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차원에서 무자녀 기혼자에게 접근해갈 때도 그러한 각 유형집단별 내부적 속성의 차이를 중심으로 실천적 개입을 전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sychological well-being, couple relationships,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differed among the three categories of childless married Koreans. The three categories were voluntary, involuntary, and postponing childless groups. In this study, psychological well-being included subjective happines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couple relationships included marital satisfaction, dyadic adjustment, perceived likelihood of separation or divorce, and the couple's leisure time;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included one's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the spouse's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intention to adopt, attitudes toward parenthood, and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Data came from 544 childless Koreans who had been married for at least three years, aged 49 years or younger, and lived in metropolitan Seoul. W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chi-squared test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voluntary, involuntary, and postponing groups. Overall, childless married Koreans reported modestly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couple relationships, and attitudes toward children. Some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e., years of marriage, subjective health, perceived income sufficiency, spouse's income, religiosity, having dual incomes, homeownership) differed among the three childless group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ubjective happines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the three groups. For couple relationshi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in marital satisfaction, dyadic adjustment, and perceived likelihood of separation or divorce. Finally, for attitudes toward children, we also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one's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the spouse's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intention to adopt, attitudes toward parenthood, and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among the three childless groups. In conclusion, voluntary, involuntary, and postponing childless groups differed in individual, relational, and generational aspects. These findings imply that understanding childless Koreans using the three categories would be a useful approach in future research. We also suggest that policymakers and practitioners need to consider the heterogeneity of the three childless groups in developing public policies and providing services with regards to fertility and childlessness.

      • KCI등재

        커플치료의 연구동향 분석 -국내 상담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최빛내(Bit-Nae Choi),최우정(Woo-Jung Choi),최연실(Younshil Choi) 한국가족치료학회 2018 가족과 가족치료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까지 국내 상담 관련 학술지에 게재된 커플치료와 관련한 논문을 고찰하 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술검색사이트인 riss.kr 에서 KCI 등재 연구 총 186편을 선정하여 해당 논문을 연도별 발표추세, 학문영역, 연구주제, 치료이 론 및 기법, 연구방법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플치료 연구는 1995년을 기점으로 매년 20%이상씩 증가하여 양적으로 성장해 온 경향을 보였다. 둘째, 커플치료 연구는 가족 치료, 심리학, 상담학 분야에서 주로 발표되었다. 셋째, 커플치료의 연구주제는 부부의 문제 상황, 의 학적 특성, 정신적 요인, 가족주기 관련요인, 특수 가족문제로 대별되었다. 넷째, 커플치료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한 치료이론 및 기법은 통합적 접근, 사티어의 경험적 접근, 보웬의 다세대적 접근, 이마고치료, 미술치료 등이었다. 다섯째, 커플치료의 연구방법은 개입연구(성과연구, 사례연구)와 비개 입 연구(경험연구, 문헌연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에서의 커플치료 연구 현황을 파악 함으로써, 커플치료에서의 효과적인 임상개입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정보 제공과 기초자료 축적의 의 의를 지니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by reviewing articles related to couple therapy in Korean counseling journals through 2016. Methods: A total of 186 KCI–listed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from the scholarly search site riss.kr.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yearly trends, academic areas, research topics, therapy theories and techniques, and research methods. Results: First, couple-therapy studies grew quantitatively by more than 20% every year, starting in 1995. Second, couple-therapy research was mainly presented in the academic fields of family therapy, psychology, and counseling. Third, couple-therapy research subjects were divided into married couples’ problem situations, medical characteristics, mental factors, family-cycle related factors, and problems in special families. Fourth, the therapeutic theories and techniques used in couple-therapy studies included integrated approaches, Satir’s empirical approach, Bowen s multi–generational approach, Imago therapy, and art therapy. Fifth, research methods included both intervention studies (outcome and case studies) and non–intervention studies (empirical research and reference review studies).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of couple-therapy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최혜원(Hyewon Choi),최연실(Younshil Choi)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해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 및 사회․심리적 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 공부방을 이용하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사회적 기술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령기 아동 6명을 대상으로 주1회 9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Rank Test를 통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첫째,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회기별 관찰을 통해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의 또래관계에서 사회적 기술 및 사회․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셋째,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의 경험으로 인한 공통적인 변화와 치료적 요인들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기술에 가족치료이론을 적용한 통합적 치료 접근 프로그램으로서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의의가 있고, 청소년기 이전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예방적 접근의 중요성 및 단기적 집단치료 프로그램으로 효과성을 제시하여 다문화가족 내 학령기 아동의 사회․심리적 적응에 대한 후속연구를 활성화 시키는 기초자료 축적의 의미를 지닌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in school-ag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esent effective interventions for forming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Children’s Centers with 12 school-age children who are currently attending elementary school.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90 minutes per week with a total of 8 sessions. The researchers performed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to determine whether the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Results: The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including session-by-session observation and treatment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statistical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in school-ag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nclusions: This is significant for testing the effect of a comprehensive therapy-oriented program in social skills, which is important in peer relationships, on school-ag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 presenting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preventative approaches and short-term group therapy programs for the formation of positive peer relationships before adolesc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족상담에 대한 뉴스 기사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최우정(Woo-Jung Choi),최연실(Younshil Choi) 한국가족치료학회 2020 가족과 가족치료 Vol.28 No.4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의 일종인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가족상담에 대한 뉴스 기사의 의미구조 분석과 감성 요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가족상담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여론을 파악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가족상담’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여 17곳의 언론사에서 1년간 게재된 뉴스 기사 자료를 조사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의미구조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에서는 빈도분석, 중심성 분석과 CONCOR 분석이, 감성요인 분석을 위한 오피니언 마이닝에서는 요인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로, 첫째, 가족상담 관련 뉴스 기사에서 ‘상담서비스’, ‘아동’, ‘인식’, ‘문제’ 관련 개념들이 상위 빈도로 나타났으며, 주요 단어들의 연관성에서는 ‘인식’, ‘문제’, ‘아동’, ‘이야기’, ‘개인’, ‘사회’, ‘여성’, ‘부모’라는 단어들이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하위집단 구조는 ‘성폭력 및 가정폭력 이슈’, ‘가족원’, ‘인식 및 소요비용’, ‘프로그램 제공 및 운영’, ‘정책 및 제도’, ‘장소 및 매체’, ‘심리적 증상’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상담과 관련된 주요 단어들에서 ‘성폭력 이슈 요인’, ‘인식 및 소요비용 요인’, ‘가족원 요인’, ‘병원 요인’, ‘학교 요인’, ‘자살 요인’, ‘심리적 증상 요인’ 등 7개 요인과 ‘필요’와 ‘어려움’이라는 2개의 감성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감성요인과 관련해서, ‘우울증’, ‘의사’, ‘인식’, ‘치료’, ‘전문가’ 등의 개념들이 가족상담의 긍정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뉴스 기사에서 보도되고 있는 가족상담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족상담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여론의 토대가 되는 의미구조와 감성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상담 활성화를 모색하는 탐색적이고 기초적인 자료 축적의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al awareness surrounding family counseling by social network analysis through methods of big data analysis. Methods: News articles that were searched under the keyword “family counseling” over a period of one year were collected from 17 media networks, with which social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utilized text mining and opinion mining analyzer methods. Results: First, keywords related to “counseling service”, “child”, “recognition”, and “problem” were found to be at the top frequency, while the associations of keywords showed that the words “recognition”, “problem”, “child”, “story”, “individual”, “social”, “women”, and “parent” were highly influential. Second, the same attribute factors of the major words were “sexual violence issue factor”, “recognition and cost factor”, “family member factor”, “hospital factor”, “school factor”, “crisis factor”, and “psychological symptom factor”. Third, within each factor group, perpetrators, perceptions, doctors, experts, students, and depression showed the greatest impact; and the greater their influence, the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family counseling was found to be.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family counseling as a meaningful exploratory study of the factors for promoting family counseling by supplementing research and case analysis results based on existing surveys.

      • KCI등재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남성의 출산 연기 배경, 자녀에 대한 태도, 저출산 정책 요구도

        성미애(Sung, Miai),최연실(Choi, Younshil),이재림(Lee, Jaerim)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4

        이 연구는 저출산 정책이 개입할 여지가 큰 자녀 출산 연기형 무자녀 기혼 남성의 관점에서 출산 연기의 배경, 자녀에 대한 태도, 저출산 정책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의 출산 결정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소외되어 온 무자녀 ‘남성’의 관점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자료는 결혼한 지 3년이 경과하였으며 자녀 갖기를 일시적으로 연기하고 있다고 보고한 만 50세 미만의 무자녀 남성 6명과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주제 분석법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출산 연기의 배경’으로는 경제적 문제, 주거 등 안정된 생활 기반 부족, 부모로서의 책임에 대한 부담감, 출산 연기에대한 배우자의 의사와 자녀 양육에 대한 배우자의 기대, 주변의 무자녀 부부를 통한 불안감의 해소가 주제로 도출되었다. 둘째, ‘자녀에 대한 태도’의 하위주제로는 당연히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보편적 자녀 출산관, 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 부모의 조부모됨과 연결된 존재로서의 자녀, 높은 출산 의향, 출산을 연기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아쉬움이 도출되었다. 셋째, ‘정책 요구도’ 관련 주제로는 사회 문제로서의 저출산에 대한 인식, 경제적 지원 및 맞벌이 지원 정책에 대한 요구, 현실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의 필요성, 사회 구조의 근본적 변화에대한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녀가 출산 결정과 자녀 양육을 공유할 수 있도록하는 저출산 정책, 부모됨을 통한 행복 추구권을 지원하는 정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childless married men who have delayed having a child.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background of postponing parenthood, attitudes toward having a child, and opinions on fertility policies. Delayed parenthood in Korea is an important topic in the context of the extremely low birth rate. Listening to childless men’s voices is meaningful because they have been excluded in the literature on decisions about childbirth. Our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in-depth interviews with childless Korean men who had been married for three years or more, who had delayed parenthood but hoped to have a child in the future, and who were younger than the age of 50. The themes around the background of men choosing to postpon parenthood were (a) economic problems, (b) unmet living standards including insecure housing, (c) burden of parental responsibilities, (d) the wife’s opinion about childbirth and expectations for childrearing, and (e) relieving pressure of having a child due to other childless couples. As for the childless men’s attitudes toward having a child, the emerged themes were (a) parenthood as a normative and taken-for-granted life event, (b) positive attitudes toward having a child, (c) the importance of their parents’ becoming grandparents, (d) aspirations for having a child, and (e) regret about having delayed parenthood. The themes related to fertility policies were (a) the low fertility rate as a social problem, (b) the need for economic support and support for dual earning couples, (c) request for meeting real-life needs, and (d) the need for ultimat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We suggest that public polices should better support gender equality in caring for children and value citizens’ right to pursue happiness by having a child

      • KCI등재

        가족치료사를 위한 CBFT 기반의 디지털 치료도구로서의 모바일 앱 개발: 탐색적 연구

        김진아(Jinah Kim),최연실(Younshil Choi) 한국가족치료학회 2020 가족과 가족치료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치료사를 위한 인지행동가족치료(CBFT) 기반의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가족치료 현장에서 디지털 치료도구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가족치료 이론을 토대로 하는 IOS와 Android 기반의 앱『패밀리 스토리(Family Story)』를 테스트 버전으로 개발하고, 개발된 앱을 9명의 가족치료사가 3일간 사용한 후 평가하는 예비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전화,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치료자들의 인지행동가족치료 및 디지털 치료도구에 대한 접촉 경험과 이해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패밀리 스토리』사용 경험을 통한 디지털 치료도구의 장점으로는 대면접촉에 제한을 받는 코로나(COVID-19) 시대에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편리성, 가족치료 개입 기술에서의 새로운 매체 기술 적용의 확대, 효과성 증대를 통한 가족치료 개입 성과의 제고가 거론되었다. 또한, 디지털 치료도구의 제한점으로는 시스템으로서의 안정성 구축과 지필(paper and pencil) 도구에 익숙해져 있는 관성을 극복할 만큼의 편의성 미흡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가족치료 분야에서는 아직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 디지털 치료도구의 도입과 적용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탐색해 보았다는 의의를 지닌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 behavior family therapy-based mobile app(called『Family Story󰡕) for family therapists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digital treatment tools on family therapy sites. Methods: An online focus group interview for nine family therapist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eveloped mobile app after three days of use. Results: First, family therapists were found to have little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cognitive behavioral family therapy and digital treatment tools. Second, family therapists as subject of this study mentioned in COVID-19 where face-to-face contact is difficult, there was recognition of the convenience of digital tools being usable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Also, some strengths of using the mobile app as one of the new intervention techniques to family therapy has been mentioned. On the contrar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digital treatment tools and some challenges to overcome the inertia of existing analog method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 digital treatment tool that has not yet been activated in the domestic family therapy field and experimentally explored the introduction and applicability of digital treatment t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