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년여성세대와 여대생세대의 녹차소비특성 연구

        최배영(Bae-Young Choi),권태연(Tae-Youn Kwon),박정현(Jeong-Hyun Park),김정화(Jeong-Hwa Kim) 한국차학회 2010 한국차학회지 Vol.16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tions of middle-aged women and female college students by comparing their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A total of 350 samples were collected for questionnaire surve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tween the generations, green tea consumption behavior revealed differences in the type of green tea drunk, the amount of green tea drunk, the time when the green tea is drunk during a day, the company with whom they drink their green tea, the place where they purchased their green tea, and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choice of green tea. Second, convenience of green tea consumption showed difference in such areas as personal relationships, promotion of learn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etween the generations, with the generation of middle-aged women pursuing convenience more than the gene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ird, both the generation of middle-aged women and the gene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convenience of green tea consump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green tea drinking.

      • KCI등재

        개인의 차생활 여가관여와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배영(Bae-Young Choi),임태희(Tae-Hee Im),이영욱(Young-Wook Lee),배보람(Bo-Ram Bae) 한국차학회 2021 한국차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일상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의 차생활 여가에 대한 관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차생활 여가관여와 삶의 질 사이에서 발휘되는 차생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및 지방권역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6일부터 7월 20일까지 모바일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23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개인의 차생활여가관여는 평균 3.94점(5점 만점 중)으로 보통 수준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고 차생활 여가가 개인에게 즐겁고 중요한 활동으로 인식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개인의 차생활 여가만족은 평균 4.06점(5점 만점 중)으로 비교적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정서적 안정, 휴식, 편안함의 만족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개인이 느끼는 삶의 질은 평균 3.73점(5점 만점 중)으로 보통 수준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차생활 여가관여와 삶의질에 대한 차생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차생활 여가관여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점이 확인되었고, 차생활 여가관여가 차생활 여가만족에 영향을 주고 그 영향력이 삶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는 완전매개효과도 검증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 life’s leisure involvement and quality of lif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 life’s leisur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a mobile survey from July 6 to July 20, 2020, targeting adults in their 20s or older living in Korea. The survey had 233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isure involvement in tea life among participants was 3.94 points (out of 5), which was above average. This result confirms that people recognize tea life as an enjoyable and important activity. Second, leisure satisfaction in tea life among participants showed a relatively high trend with an average of 4.06 points (out of 5), which indicates that people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relaxation, and comfort. Third, the quality of life among participants was 3.73 points (out of 5),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Fourth,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 life’s leisure satisfaction confirmed that tea life’s leisure involvement 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that tea life’s leisure satisfaction has a full mediating effect. Tea life’s leisure involvement improves the overall quality of life through tea life’s leisure satisfa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년기 가족저녁식사의례의 가족역할중요도와 가족건강성 간 매개효과

        최배영(Bae-Young Choi) 국제차문화학회 2018 차문화ㆍ산업학 Vol.42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역할중요도와 가족건강성 간에 발휘되는 중년기 가족저녁식사 의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또한 가족저녁식사의례가 가족역할중요도와 가족건강성의 관계를 연결해주는 매개로 보다 원활히 기능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저녁식사 의례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 하에 2018년 4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년기(만 40-64세) 기혼남녀 339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가족저녁식사의례 활동은 평균 3.83점(5점 만점 중), 가족역할중요도 인식은 평균 4.28점(5점 만점 중), 가족건강성은 평균 3.98점(5점 만점 중)을 나타냈다. 둘째, 가족저녁식사의례는 가족역할중요도 및 가족건강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매개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가족역할중요도와 가족건강성 사이에서 가족저녁식사의례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가족저녁식사의례가 가족역할중요도와 가족건강성의 사이를 중개하여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가족역할중요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중년기 가족의 구성원들이 저녁식사를 위한 역할분담으로 가사의 부담 문제를 해결하고 소통과 유대가 있는 건강한 가족문화의 가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차(茶)를 활용한 음식을 만드는 활동이 포함된 저녁식사의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middle-aged family dinner ritu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ole importance and family health.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0, 2018 to April 30, 2018. Data of 339 married men and women aged 40-64 yea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ctivity of family dinner ritual of the subjects was 3.83(out of 5 points), family role importance perception was 4.28(out of 5 points) and family health was 3.98(out of 5 points). Second, family dinner ritual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 role importance and family health.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family dinner ritual was found between family role importance and family health. This means that family dinner ritual can mediate between family role importance and family health, thus promoting positive effect of family role importance on family heal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thesis suggested family dinner ritual composed of activities to make food using tea so that members of the middle-aged family can share a healthy family culture as role sharing for dinner.

      • KCI등재
      • KCI등재

        Q방법론을 통해 본 밀레니얼 세대 여대생의 녹차 음용 동기연구

        최배영(Choi, Bae-young) 국제차문화학회 2021 차문화ㆍ산업학 Vol.53 No.-

        본 논문은 Q방법론을 통해 밀레니얼 세대 여대생들의 녹차 음용 동기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에 부합되는 녹차 상품 전략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하에 24개의 Q표본을 추출하고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여학생 25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여대생에 의한 Q분류는 2021년 7월 20일부터 7월 2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QUANL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의 원기회복을 위한 음용형의 동기를 가진 여대생들에게는 녹차를 물 대신 음용하면 갈증을 해소하면서도 정신을 맑게 해 집중력을 향상하고 피로 회복도 도모하게 되는 점을 상품에서 강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정서적 향유를 위한 음용형의 동기를 가진 여대생들에게는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코드와 취향을 녹여낸 녹차 상품을 체험하도록 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건강 기능성 추구를 위한 음용형의 동기를 가진 여대생들에게는 카테킨류에 대한 설명과 함께 녹차를 꾸준히 마심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능들을 이해하기 쉬운 정보로 전달하는 상품 전략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categorize the green tea drinking motives of millennial female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Q-methodology and to search for green tea product strategies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this purpose, 24 Q samples were extracted and 25 female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s P samples. The Q sorting by these female college students was carried out from July 20 to July 23, 2021,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QUANL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type motives for daily refreshment, it is necessary to have a strategy that emphasizes that drinking green tea instead of water quenches thirst, clears the mind, improves concentration, and recovers fatigue. Second, a strategy is required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type motives for emotional enjoyment to experience green tea products with codes and tastes that they can sympathize with. Third, it is important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rinking-type motives to pursue health functionalities a product strategy that provides easy-to-understand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drinking green tea consistently along with an explanation of catechins.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경성지역 가정에서의 홍차 음용 연구

        최배영(Bae-Young Choi) 국제차문화학회 2023 차문화ㆍ산업학 Vol.60 No.-

        본 논문은 한국의 근대 홍차 문화를 탐색하는 일환으로 1930년대 경성지역 가정에서의 홍차 음용 양상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규명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연구에서는 1930년대 경성지역의 사회문화적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단행본, 논문, 기관 간행물을 고찰하였다. 또한 1930년 1월 1일부터 1939년 12월 31일 사이에 발간된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신문기사와 연재소설 그리고 조리서인『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36)과 『조선요리제법』(1937)을 토대로 가정에서의 홍차 음용 목적, 재료 선택, 조리 및 음용 방법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30년대 경성지역 가정에서의 홍차 음용은 상황에 맞게 식생활의 개선을 도모하는 근대적 주부의 역할과 주관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가정 내 홍차 음용을 위한 재료 선택에 위생과 보건의 측면이 중요한 요건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사회적으로 확산된 서구식 영양이론과 조리의 과학화는 가정의 홍차 음용에 영향력 있는 촉매가 되었다.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of black tea drinking at home in Gyeongseong in the 1930s as part of exploring modern black tea culture in Korea and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For the aim, this study reviewed books, papers, and institutional publications that could examine the socio-cultural situation of Gyeongseong in the 1930s. In addition, newspaper articles and serialized novels of ≪Chosun Ilbo≫ and ≪Dong-A Ilbo≫ published between January 1, 1930 and December 31, 1939, as well as cookbooks 『Joseonmussangsinsigyolijebeob』(1936) and 『Chosunyolijebeob』(1937) were collected as data. Based on these historical document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urpose of drinking black tea at home, selection of ingredients, cooking and drinking method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1930s, the drinking of black tea at home in Gyeongseong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role and supervision of modern housewives who promoted the improvement of harmonious dietary life according to the situation. Second, hygiene and health aspects acted as important requirements in selecting ingredients for drinking black tea at home. Third, the socially spread Western nutrition theory and scientificization of cooking became an influential catalyst for black tea drinking at h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