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딸기 육묘용 광폭 플라스틱 필름 온실 개발

        최만권,조명환,신현호,권기범,최만권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딸기 육묘용 온실의 개발을 통해 딸기 육묘에적합한 규격과 생육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위해 전국의 46개 딸기 육묘 농가를 대상으로 구조실태 및 구조개선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온실 모델을 도출하였다. 온실의폭은 육묘 베드와 면적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14.0m로 설정하였으며, 측고는 여름철 환기를 고려하여 2.0m로 결정하였다. 적설하중에 의한 서까래의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강재 설치 각도는 50°로 설정하였다. 지역별 설계 풍속과 적설심을 고려하여 안전성을 고려한 모델을 두 가지로 분석하였고, 결과적으로 φ48.1×2.1t와 φ59.9×2.3t의 서까래 부재를 사용한 온실 모델 모두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온실 모델을 활용하여 딸기 육묘 실험을 진행하였고, 생존율이 평균93.2%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개발한 딸기 육묘용 온실이 딸기 육묘 환경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생육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시설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ptimal greenhouse model for strawberry seedling during the summer high-temperature period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structure types of 46 strawberry seedling farms nationwide, including width, ridge height, eaves height, ventilation method, seedling bed width, and spacing.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e derived the optimal greenhouse model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e greenhouse width was set at 14 meter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eedling beds and overall space. The height was determined at 2 meters, taking into account ventilation during the summer season. To reduce stress on the supporting structure due to snow loads, we established a reinforcement installation angle of 50 degrees. We analyzed two different models that use support beams with dimensions of φ48.1×2.1t and φ59.9×3.2t, respectively, to ensure structural safety against meteorological disasters, considering regional design wind speeds and snow accumulation. We utilized these developed greenhouse model to conduct strawberry seedling experiments, resulting in a high survival rate of average 93.2%. These findings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strawberry seedling greenhouse in improving the seedling environment and enhancing overall efficiency.

      • KCI등재

        온실내 재배작물인 토마토 및 파프리카의 작물하중 검토

        최만권,윤성욱,유찬,이시영,윤용철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used in greenhouse design, and for this purpose, the crop loads of tomato and paprika which have high crop load among crops cultivated in greenhouse were measured. The maximum differences in lowest and mean temperatures between cultivation year and normal years for winter season were −5.6 and −4.9℃, respectively and those for summer season were 3.0 and 1.5℃,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of push & pull gauge indicated approximate 0.99 of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presenting very high association. The planting densities of paprika and tomato were 3.43, 3.56 and 2.13 plants · m−2, respectively. The yields were 4.1, 4.3 and 16.2 kg · plant−1, corresponding to 14.1, 15.2 and 34.5 kg · m−2 of yield per unit area. The maximum loads were 1.3, 1.5 and 3.3 kg · plant−1, respectively. When the paprika were hanged on cross beam, the total crop load applied to it was estimated to be 15.3~15.9 kg · m−2, and when the weights of gutters supporting the cultivation beds, the total weights were 26.0~26.9 kg · m−2. 본 연구에서는 온실 설계의 기초자료로 이용할 목적으로 온실에서 재배되고 있는 작물 중에 작물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토마토와 파프리카를 대상으로 작물하중을 측정하였다. 재배기간 중 동절기의 기온은 평년대비 최저및 평균기온의 최대 차이는 각각 −5.6℃ 및 −4.9℃로나타났고, 하절기의 최대 온도 차이는 각각 3.0℃ 및1.5℃를 나타났다. 푸쉬풀 게이지의 측도 설정한 결과,결정계수가 0.99 정도로서 상관관계가 아주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파프리카의 재식밀도는 각각 3.43 및 3.56plant ·m−2이었고, 토마토는 2.13plant · m−2이었다. 그리고 생산량은 각각 4.1, 4.3kg · plant−1 및 16.2kg · plant−1 정도로서 단위면적당 생산량으로 보면, 14.1, 15.2kg · m−2 및34.5kg · m−2 정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파프리카 및 토마토의 경우, 최대하중은 약 1.3, 1.5kg · plant−1 및 3.3kg ·plant−1 정도이었다. 파프리카 재배에서 작물을 중방에매달 경우, 중방에 작용하는 총 작물하중은 15.3~15.9kg ·m−2 정도로 예측되고, 재배베드를 지지하는 거터의 무게를 고려하면 총 무게는 26.0~26.9kg · m−2 정도이었다.

      • KCI등재

        LED광 파장이 상추생육과 비타민 C 및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최만권,백경윤,권순주,윤용철,김현태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4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단색광, 혼합광, 광조사 주기에 대해 총 14가지 실험구를 설치하여 적치마 상추의 생육특성 안토시아닌 및 비타민 C 함량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단색광 처리에서 적색광은 초장, 엽수, 지상부 생체중, 청색광은 근장과 엽폭을 증대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색광은 상추의 지상부, 생육에 청색광은 지하부생육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혼합광의경우 적색광과 백색광 혼합광에서 초장, 엽수, 엽폭,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백색광이 LED광원에 비해 광파장 대역이 다양하기 때문에 생육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근장과 엽록소 함량에 대해서는 적색광과 청색광의 비율이 7 : 3에서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광조사 시간에 따른 생육특성은 광주기가 15/09h에서 가장 효과적인 반응을 보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의 경우, 단색광에서는 463nm의 청색광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혼합광에서는 적색광과 청색광의 비율이 7 : 3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광조사 주기에 따른 실험에서는 광주기 18/06h의 처리구에서안토시아니 함량이 가장 높았다. 비타민 C 함량은 적색광과 청색광의 비율이 8 : 2일 때 1.77mg · L−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백색광에서 1.26mg · L−1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red lettuce under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environment as well as the change of vitamin C and anthocyanins of lettuce. We made five monochromatic lighttreatments (red 647 nm, 622 nm, blue 463 nm, 450 nm, White), six mixed red (R) and blue (B) light treatments(R : B = 9 : 1, 8 : 2, 7 : 3, 6 : 4, 5 : 5) and red + white, and three light treatments made according to photoperiod ofLED with lighting sources ratio of red : blue (R : B = 8 : 2(18/06 h, 15/09 h, 12/12 h)). It was composed of totally 14control beds. As a result, the red lettuce the most developed leaf height, leaf numbers and fresh weight under red singlelight, root length and leaf developed when grown under blue single light. Therefore, red light were related toabove part of the lettuce, blue light were related to the growth of the underground part of lettuce. Case of the mixedlight, leaf height, leaf numbers, fresh/dry weight of above and underground part were highest red + white light androot length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highest under red 7 : 3 blue light. Result of growing investigation by photoperiod,the red lettuce were considered to be most effective in 15/09 h (on/off). The content of anthocyanins; the singlelight source, mixed light and light irradiation period were highest under blue light (463 nm), red 7 : 3 blue and18/06 h (on/off) light irradiation, respectively. The vitamin C showed the lowest content of 1.26 mg · L−1 under thewhite light, but showed the greatest content of 3.02 mg · L−1 for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Reduction in the Solar Radiation Transmittance of Greenhouses Covered with Plastic Films

        최만권,윤성욱,김하늘,김현태,윤용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4

        The reduction in solar radiation transmittance(SRT) because of dust and other foreignmaterials was experimentally tested in two types of greenhouses with the intent to obtain basicdata for establish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greenhouse cover materials. The test results in the greenhouse in Gyehwa-do estimated the amount of removed dust at 16.8–1,021.6 mg·m-2(average: 520.7 mg·m-2), and the dust amount varied widely with the measurementpoints. The SRT measured in triplicate before and after dust removal ranged 68.5–80.9% and80.9–87.2%, respectively; thus, there was an improvement in SRT by about 8.1% after dusting. In contrast, the greenhouse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id not exhibit great fluctuationsin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correlation coefficient) regardless of the daily total, average,or maximum horizontal surface radiation; the SRT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The SRTincreased or decreased, showing clearly different patterns in summer and winter half years, asdid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0.468–0.828). Dust was measured to be in the range 747.1–983.1 mg·m-2(average: 840.1 mg·m-2), without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ment points,unlike in the case of the greenhouse in Gyehwa-do. The SRT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dust removal ranged 73.0–80.5% and 81.0–88.6%, respectively, showing an average improvementof about 7.9%. The SRT measured after washing with water ranged 88.7–90.6%, demonstratinga greater improvement with an average increase rate of 13.0%, which is 5.1% higher than theincrease rate after dust remova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washing with water ratherthan dust removal improves SRT to a greater extent(13.0% vs. 7.9%), dust removal alone isconsidered to provide considerable improvement in SRT. Comparison of the images of theunused film and pre-dusting film under the microscope revealed that foreign materials such asdust were adhered to the pre-dusting film, and variation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magnification ratio and photographed area.

      • KCI등재

        온실기초의 실태조사

        최만권,윤성욱,김현태,이시영,윤용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3

        본 연구는 온실기초 및 구조의 유지관리 기준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온실에 대해 전국지역을 대상으로 온실형태, 설치연도, 기초의 형태, 매립깊이 및 기초주변 지반의 관리여부 등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단동 및 연동온실의경우, 가장 많이 시공되는 것은 각각 아치형 및 1-2W형 온실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실시공 연도를 보면, 2000년 이전 온실의 경우에는 단동보다 연동 온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2000년 이후의 온실은 연동보다 단동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동온실의 경우, 일반적으로 알고 있듯이 전체 72농가 중에서 파이프 매립형이 42농가(58.3%)로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동온실의 경우, 콘크리트원형 기초(THP 포함)가 42농가(55.3%)로서 가장 많이 시공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동 및 연동 온실의 경우, 매립깊이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조사된 것은 각각 50∼59 cm 및 60 cm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동 및 연동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것은 50∼59 cm이었다. 그리고 온실기초주변의 지반관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greenhouses across thenation in terms of types, installation year, foundation type, embedded depth, and themaintenance of ground surrounding the foundatio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set of maintenance criteria for greenhouse foundation and structure. The findings were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installed types of greenhouse for single and multi-spangreenhouses were the arch and 1-2W types. As for the year of greenhouse installation, thepercentage of multi-span greenhous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single-span ones before2000, after which the percentage of single-span greenhous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multi-span ones. As it is generally known, the most 42(58.3%) of total 72 farms adopted thepipe burial type for their single-span greenhouses. The most 42(55.3%) farms chose concretecircular foundation (including THP) for their multi-span greenhouses. Single- and multi-spangreenhouses recorded the relatively deepest embedded depth of 50∼59 cm and 60 cm,respectively. The most popular depth in general was 50∼59 cm regardless of single- and multi-span greenhouses. There was no practice of maintaining the ground surrounding thegreenhouse foundation except for special occasions.

      • KCI등재

        벤로형 온실의 잉여 태양에너지 분석

        최만권,윤용철,신익수,윤성욱,김현태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2 No.2

        This research analyzed surplus solar energy in Venlo-type greenhouse using acquired typical meteorologicalyear (TMY) data for designing a heat storage system for the surplus solar energy generated in the greenhouseduring the day. In the case of paprika, the region-dependent heating loads for Jeju, Jinju, and Daegwanryong areawere approximately 1,107.8 GJ, 1,010.0 GJ, and 3,118.5 GJ, respectively. The surplus solar energy measured in Jejuarea was 1,845.4 GJ, Jinju area 1,881.8 GJ, and Daegwanryong area 2,061.8 GJ, with the Daegwanryong area showing11.7% and 9.6% higher than the Jeju region and Jinju reg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chrysanthemums,regional heating loads were determined as 1,202.5 GJ for the Jeju region, 1,042.0 GJ for the Jinju region, and3,288.6 GJ for the Daegwanryong region; the regional differences were similar to those for paprika. The recordedsurplus solar energy was 1,435.2 GJ, 1,536.2 GJ, and 1,734.6 GJ for Jeju, Jinju, and Daegwanryong region, respectively. The Daegwanryong region recorded heating loads 20.9% and 12.9% higher than in the Jeju and Jinju region,respectively. From the above, it can be said that cultivating paprika, compared to cultivating chrysanthemums,requires less heating energy regardless of the region and tends to yield more surplus solar energy. Moreover, if theDaekwan Pass region is excluded, the surplus solar energy exceeds the energy required for heating. Although therequired heating energy differs according to regions and crops, cucumbers were found to require the highest amount,followed by chrysanthemum and paprika. The amount of surplus solar energy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paprika,followed by cucumber and chrysanthemum. 본 연구는 주간동안 온실 내에서 발생되는 잉여 태양에너지 축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확보한 표준기상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벤로형 온실을 대상으로 잉여 태양에너지를 분석하였다. 파프리카의경우, 지역별 난방부하는 제주, 진주 및 대관령지역에 대해 각각 약 1,107.8GJ, 1,010.0GJ 및 3,118.5GJ로 분석되었다. 잉여 태양에너지의 경우, 제주지역 1,845.4GJ, 진주지역 1,881.8GJ, 대관령지역은 2,061.8GJ로 나타나 대관령지역이 제주 및 진주지역에 비해 각각 11.7% 및 9.6%정도 크게 나타났다. 국화의 경우, 지역별 난방부하는제주지역 1,202.5GJ, 진주지역 1,042.0GJ, 대관령지역은3,288.6GJ 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별 차이는파프리카의 경우와 유사였다. 잉여 태양에너지는 제주,진주 및 대관령지역에 대해 각각 1,435.2GJ, 1,536.2GJ,및 1,734.6GJ로 나타나 대관령 지역이 제주 및 진주지역에 비해 각각 20.9% 및 12.9% 정도 크게 나타났다. 파프리카를 재배하는 경우가 국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역에 관계없이 난방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적고 잉여태양에너지는 많은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대관령지역을 제외하면 잉여 태양에너지가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소요 난방에너지는 지역 및 재배작물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오이가일반적으로 많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국화 및 파프리카 순이었다. 잉여 태양에너지는 대체적으로 파프리카,오이 및 국화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 KCI등재

        온실의 유지관리 실태조사 분석

        최만권,윤성욱,김현태,이시영,윤용철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4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reenhouse maintenance by farms by looking into greenhousesacross the nation for greenhouse specification, disaster-resistance greenhouse construction, types and degreeof damage due to natural disasters, pre-inspection in case of typhoon or heavy snow forecast, and fire-fighting facilitiesto prevent a fire.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greenhouse specification, the highest proportionof them were 90 m or longer both in single- and multi-span greenhouses in terms of length; 8 m or wider and7.0~7.9 m in single- and multi-span greenhouses, respectively, in terms of width; 1.5~1.9 m and 2.0~2.9 m in singleandmulti-span greenhouses, respectively, in terms of height; and 3.0~3.9 m and 6 m in single- and multi-span greenhouses,respectively, in terms of diameter. As for disaster-resistance greenhouses, farmers were reluctant to installsuch greenhouses. The low distribution of disaster-resistance greenhouses was attributed to the greenhouses builtdependent on the old practice, the greenhouses already completed, and relatively high construction costs. As for damageby natural disasters, greenhouses were subject to more damage by typhoons than heavy snow. They mainlyinspected the ceiling and side windows, entrances, and fixation bands for covering materials in case of typhoon forecastand the heating devices in case of heavy snow forecast. As for repair methods for greenhouse pipe corrosion,they preferred partial replacement to painting and did not use stiffeners for structures to prevent a natural disaster inmost cases. As for the maintenance of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most farmers inspected their sealing propertybut did not clean the coverings for light transmission. The destruction of structural materials can be prevented byeliminating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during a typhoon, but they were not able to do so because of the coveringmaterial replacement costs and the crops they were growing.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greenhouse farms hadfire-fighting facilities to prevent a fire and found that they lacked the perception of greenhouse fire prevention to agreat degree. 본 연구는 농가들의 온실 유지관리 실태를 알아보기위해서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온실에 대해 전국을 대상으로 온실규격, 자연재해 예방 및 피해상황, 온실 구조재, 온실 피복재 등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온실의 규격의 경우, 길이는 단동 및 연동 온실 모두 90m이상이가장 많았다. 폭은 단동온실 및 연동 온실이 각각 8m이상 및 7.0~7.9m, 측고 1.5~1.9m 및 2.0~2.9m, 동고3.0~3.9m 및 6m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내재해형 온실을 조사한 결과 농가에서 내재해형 온실 설치를 기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실의자연재해 피해는 대설 보다 태풍에 대한 피해를 많이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연재해 예보 시 점검사항의경우, 태풍 예보가 있을 때에는 천창, 측창, 출입문 및피복재 고정밴드를 주로 점검하며, 대설 예보가 있을 때에는 난방기를 주로 점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파이프에 부식이 발생 시 보수방법은 도색 보다는 부분적인 교체를 많이 하고,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구조물의보강재를 대부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피복재의 유지관리는 대부분의 농가에서 피복재 밀폐성을 점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광 투과를 위한 피복재의 청소는 대부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풍시온실 피복재를 제거하면 구조재 파괴를 막을 수 있는데그렇게 못하는 이유는 피복재의 교체비용, 재배작물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온실농가에서 화재예방을 위한 소방설비 구비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온실의 화재예방 인식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와이드 스팬형 온실의 잉여 태양에너지 분석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최만권,윤성욱,윤용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4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to design a thermal storage system for the surplus solar energy that is produced in a greenhouse during day time, this study analyzed the heat budget for a wide span type greenhouse in Jinju with and without a rock bed installed. In the case of cultivating paprika, installation of a rock bed could save the heating energy about 17.9% and surplus solar energy decreased about 90.6% in greenhouse. In the case of cultivating chrysanthemums, installation of a rock bed could save the heating energy about 16.0% and surplus solar energy decreased about 104.5% in greenhouse. Besides heating energy and surplus solar energy, the energy used for the photosynthesis of crops, lost on radiation or convection currents of greenhouse cover showed difference when the rock bed was installed or not. Furthermore, the heating energy per unit in the covered area in a venlo type greenhouse was 3.9~12.0% lower regardless of greenhouse type and crops, while the surplus solar energy in a venlo type greenhouse was 12.0~64.1% higher than a wide span type greenhouse. 본 연구는 주간 동안 온실 내에 발생하는 잉여 태양에너지 축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진주 지역에 설치된 와이드 스팬형 온실을 대상으로 락베드 유ㆍ무에 따른 열수지 분석하였다. 파프리카를 재배한 온실의 경우, 락베드를 설치한 온실이 난방에너지를 17.9%정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잉여 태양에너지는 90.6%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화를 재배한 온실의 경우, 락베드를 설치한 온실이 난방에너지를 약 16.0%정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잉여태양에너지는 104.5%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방에너지나 잉여 태양에너지 이외에도 온실에서 작물의 광합성에 이용된 에너지, 복사나 피복면의 대류 등으로 손실되는 열량도 락베드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온실형태 및 재배작물의 종류가 단위피복 면적당 난방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베로형 온실이 와이드 스팬형 온실에 비해 3.9~12.0%정도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잉여 태양에너지의 경우, 벤로 온실이 와이드 스팬형 온실에 비해 12.0~64.1%정도 많게 나타났다.

      • KCI등재

        모형실험을 통한 스파이럴 기초의 인발저항력 검토

        최만권(Man Kwon Choi),윤성욱(Sung Wook Yun),김하늘(Ha Neul Kim),이시영(Si Young Lee),강동현(Dong Hyeon Kang),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3

        스파이럴 기초를 국내 온실 기초로 사용한 사례는 거의 없으며 일본에서 스파이럴을 온실 기초로 사용한 사례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스파이럴 기초가 다른 분야에서 연약지반 보강 기초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 앞으로 온실기초의 보강을 위한 기초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파이럴 기초의 기초 설계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모형실험을 통해 기초의 매립깊이, 흙의 다짐률, 스파이럴 직경, 흙에 따른 인발하중 측정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농경지 및 간척지 흙의 극한 인발저항력 비교결과 농경지 흙이 간척치 흙보다 상대적으로 1.2~3.0배 더 큰 값을 나타냈다. 또한 두 흙 모두 매립깊이, 다짐률이 증가할수록 극한 인발저항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고, 모두 비슷한 하중-변위 곡선을 보였다. 실험조건에 따른 극한 인발저항력은 매립깊이 증가에 따른 인발하중 상승효과 보다 직경 크기 증가에 따른 상승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다짐률 증가에 따른 극한 인발저항력은 다른 조건들에 비해서 증가 폭이 상당히 큰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농경지뿐만 아니라 간척지와 같이 연약지반에 스파이럴 기초를 설치할 경우에도 기초의 매립깊이, 다짐율, 스파이럴 직경 등을 증가시키면 인발저항력이 높아져 연약지반 보강 기초로 사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measurements of pullout load according to the depth of reclamation in the foundation, compaction ratio of soil, spiral diameter, and soil textures in an experiment with a model and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comparison results of extreme pullout load between farm and reclaimed soil show that farmland soil recorded a score that was 1.2~3 times higher than that of reclaimed soil. The investigator measured pullout load in farmland and reclaimed soil and observed a tendency of rising extreme pullout loa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depth of reclamation and compaction ratio with a similar load-displacement curve between the two types of soil. Extreme pullout load made a greater increase by the rising size of diameter than the increasing depth of reclamation, also making a considerably bigger increase according to the rising compaction ratio than the other conditions. Therefore, the spirals bar is expected to be available in soft soil foundation, as well as farmland as increasing buried deep of foundations, compaction rate, diameter of the spiral, ect.

      • KCI등재

        단동 온실용 파이프 기초의 인발저항력 검토

        최만권(Man Kwon Choi),윤성욱(Sung Wook Yun),김하늘(Ha Neul Kim),이시영(Si Young Lee),유찬(Chan Yu),윤용철(Yong Cheol Yoon)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강풍 피해의 절감을 위하여 서까래 파이프 및 파이프 줄기초의 설계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온실의 지반고정을 위해 일반농가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서까래 파이프와 내재해형 규격의 단동온실에 주로 사용되는 파이프 줄기초를 대상으로 토성, 다짐도 및 매입깊이에 따른 인발저항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극한인발저항력은 가장 단단한 지반조건인 다짐률 85%, 최대매입깊이 50cm를 기준으로 파이프의 경우는 간척지 흙(실트질 롬) 72.8kgf, 농경지 흙(사질 롬) 60.7kgf, 줄기초의 경우는 간척지 흙 452.7kgf, 농경지 흙 450.3kgf으로 줄기초의 경우 파이프 보다 약 6배 이상 인발저항력이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토성은 모래함량 35%~59%, 실트함량 39%~58%으로 극한인발저항력이 토성에 따라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온실의 파이프(서까래) 및 줄기초를 설치할 때 적절한 다짐조건을 유지한다면 토성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온실의 지반고정에 대한 안정성 확보에 크게 유리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준으로 줄기초는 다짐률 75% 이상, 일반 파이프의 경우에는 다짐률 85%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온실의 안정성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내재해형 규격인 줄기초를 적용한다면 기상재해에 따른 온실의 안정성 확보에 크게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order to provide design data support for reducing gale damage of single-span greenhouses, this paper experimentally evaluated the uplift capacity of a rafter pipe and continuous pipe foundation (anti-disaster standard), usually used for single-span greenhouses according to compaction ratio, embedded depth, and soil texture. In the reclaimed soil (Silt loam) and the farmland soil (Sandy loam), the ultimate uplift capacities of rafter pipe were 72.8kgf and 60.7kgf, respectively, and those of continuous pipe foundation were 452.7kgf and 450.3kgf, respectively at an embedded depth of 50cm and compaction rate of 85% (the hardest ground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ltimate uplift capacity of continuous pipe found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t more than 6 times that of the rafter pipe. The soil texture considered in this paper had a sand content of 35%~59% and a silt content of 39%~58%, and it was shown that the ultimate uplift capac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oil texture, and these results show that installing the rafter pipe and continuous pipe foundation while maintaining appropriate compaction conditions can give an advantage in securing stability in the farmland of greenhouses without significantly being influenced by soil tex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it was determined that maintaining a compaction rate above 75% for the continuous pipe foundation and above 85% for the rafter pipe was advantageous for securing stability in greenhouses. Especially when continuous pipe foundation of anti-disaster standard was applied, it was determined to be significantly advantageous in acquiring stability in greenhouses to prevent climate dis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