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CTE) on Ethanol-Induced Hangover via Modulating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Blood Gas Levels in Rats

        Na-Eun Choi(최나은),Ju-Ye Ro(노주예),Ju-Yeong Lee(이주영),Jin-Hyeob Ryu(류진협),Hyun-Jeong Cho(조현정)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을 섭취한 흰쥐에서 알코올 대사와 혈액가스 불균형에 대한 꾸지뽕 나무 뿌리 추출물 (이하 CTE)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알코올을 10 ml/kg의 농도로 흰쥐에게 경구 투여하였고, 섭취 30분 후 CTE를 500 mg/kg 및 750 mg/kg의 농도로 투여하였다. 혈액은 알코올 섭취 1시간, 3시간, 5시간 후 꼬리 정맥을 통하여 채취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 음료 (컨디션)를 사용하였다. 약물 처리는 모두 단회 경구 투여로 진행되었다. CTE의 섭취는 흰쥐의 혈액과 간 조직 내 알코올 대사 효소인 알코올 분해효소 (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증가 또는 유지시킴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CTE는 알코올섭취에 의한 혈액가스 (pH, CO₂, HCO₃<SUP>-</SUP>, lactic acid)의 불균형을 회복시켰다. 결론적으로, CTE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음료 보다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CTE를 숙취 해소 및 예방을 위한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고 새로운 물질로써 제시하는 바이다. To investigate the anti-hangover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CTE), the blood alcohol metabolism and blood gas imbalance of CTE in rats treated with 10 ml/kg alcohol were examined. CTE (500 mg/kg and 750 mg/kg) was administrated after 30 minutes of alcohol consumption (10 ml/kg). Blood collection was implemented from the tails of the animals after 1, 3, and 5 hours post alcohol consumption. The Condition drink (a commercial anti-hangover beverage)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Single administration by the oral route was performed. The consumption of CTE (500 mg/kg and 750 mg/kg) decreased the serum alcohol concentration by increasing and maintaining both th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enzyme activity levels in the blood and liver. In addition, CTE led to recovery from the imbalances in the blood gas levels, including carbon dioxide (CO₂) and changes in pH, bicarbonate (HCO₃<SUP>-</SUP>) and lactic acid levels due to alcohol ingestion. In conclusion, CTE exerted a more pronounced anti-hangover effect than a commercial anti-hangover drink. Therefore, CTE can be a novel and safe anti-hangover natural product ag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ymptoms caused by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 KCI등재

        Neuroprotective effects of Rg3-enriched Korean Red Ginseng on alcohol-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Na-Eun Choi(최나은),Jin-Hyeob Ryu(류진협),Dong-Ha Lee(이동하),Hyun-Jeong Cho(조현정)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과도한 음주는 치매 및 알츠하이머 병과 같은 여러 신경계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 중이다. 또한, 홍삼은 신경 세포의 생존, 세로 자멸사의 억제 및 신경 세포의 신경 재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Rg3 풍부 고려홍삼 추출액(KRG)이 알코올 유발성 신경독성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PC12 세포의 세로 사멸을 억제 할 수 있는지, 그리고 KRG가 caspase 매개 경로와 관련된 몇 가지 인자들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 우리는 PC12 세포에서의 세포 생존율과 세포 사멸율을 EZ-Cytox 세포 생존을 측정 kit와 유세포 분석기로 측정하였고, 세포 자멸 관련 단백질 (Bcl-2, Bid, Bax, caspase-3)의 발현 정도를 Western blot기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결과의 유의성을 ANOVA 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KRG는 Bcl-2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Bid와 Bax 및 caspase-3 발현을 저해하였고, 이를 통해 알코올로 유도된 PC12 세포의 세포 사멸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KRG에 의해 유도된 Bcl-2 발현의 증가와 Bid 및 Bax 발현의 하향 조절이 caspase-3 발현을 하향 조절하고, 결국 미토콘드리아 세포 사멸 경로를 억제한다는 것을 결론내릴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 후, KRG가 신경 보호제 후보로서 개발할 가치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many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and many efforts are under way to solve them. Red ginseng is known to enhance neuronal survival, inhibit apoptosis, and promote nerve regeneration of nerve cell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Rg-3-enriched Korean red ginseng extract (KRG) inhibits the apoptosis of PC12 cells caused by alcohol-induced neurotoxicity and how KRG regulates several factors related to the caspase mediated pathway. In this way, the cell survival rate and apoptosis rate of PC12 cells were measured using an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and flow cytometry,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the apoptosis-related proteins (Bcl-2, Bid, Bax and caspase-3)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asured results was confirmed using the ANOVA method. As a result, KRG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cl-2; inhibited the expression of Bid, Bax, and caspase-3; and inhibited the apoptosis of alcohol-induced PC12 cell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KRG-induced increase in Bcl-2 expression and down-regulation of Bid and Bax expression down-regulate caspase-3 expression, which in turn inhibits the mitochondrial apoptotic pathways. This study suggests that KRG is worth developing as a neuroprotective agent candidate.

      • KCI등재

        코로나 19 이후 Z세대의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변화 연구

        최나은 ( Choi Na-eun ),김숙연 ( Kim Sook-yeon ),윤여은 ( Yun Yeo-e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사회로 급격한 전환이 일어나며 비대면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변화가 다수 관찰되었다. Z세대는 사회초년생과 학생 비율이 높은 1995년생부터 2004년생 사이를 일컫는다. 이에 본 연구는 Z세대 중 뚜렷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주목해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 연구 방법론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하여 발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Z세대는 한정된 자원으로 인해 일상적으로 가성비를 중시했지만, 선호하는 가치에는 과감히 투자했다. 둘째, Z세대는 거주 환경에서 공간 부족으로 인한 이슈로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했다. 이를 위해 작은 규모나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제품에 대한 니즈가 있었다. 셋째, Z세대는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 기존에 외부에서 주로 해결했던 카페 문화나 외식 활동이 ‘홈 카페’, ‘홈 바’와 같은 모습으로 주거 환경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이 때, 집안에서의 활동을 SNS에 공유하며 새로운 문화를 확산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Z세대를 위한 디자인 기회 영역으로 취향별 맞춤 체험 서비스, 인테리어 요소로 활용 가능한 소규모의 다용도 제품 디자인, 소량 포장 음료 구독 서비스를 제안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재 코로나 시대의 현장감 있는 연구를 토대로 Z 세대를 위한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과 적용에 기반이 되는 것에 있다. After COVID-19, as the rapid transition to a non-face-to-face society occurred and the demand for non-face-to-face services increased, many changes related to the diet of Generation Z were observed. Generation Z refers to those born between 1995 and 2004, which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newcomers to society an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dietary changes of Generation Z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tinct changes among Generation Z, and conducted a study using the ethnography research methodology. The contents discover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Generation Z generally valued cost-effectiveness due to limited resources, but boldly invested in preferred values. Second, Generation Z tried to efficiently utilize limited space as an issue due to lack of space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this end, they had needs for products that could be used on a small scale or for multiple purposes. Third, Generation Z's stay at home increased as social distancing continued after COVID-19, and as a result, cafe culture and dining out activities, which had been mainly resolved from outside, enter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form of "home cafe" and "home bar." And it spread a new culture by sharing activities at home on SNS. Based on this, as a design opportunity area for Generation Z, a customized experience service for each taste, a small-scale multi-purpose product design that can be used as an interior element, and a drink subscription service for a small amount of packaging were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services for the Generation Z based on realistic research in the current COVID-19 era.

      • 코로나 19 이후 Z 세대의 식생활 변화 연구

        윤여은(Yeo Eun Yun),최나은(Na Eun Choi),김숙연(Sook Yeon Kim)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사회로 급격한 전환이 일어나며 비대면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Z세대의 식생활과 관련한 변화가 다수 관찰되었다. 본 고는 이를 바탕으로 Z세대의 식생활 변화에 주목하여 에스노그라피 연구 방법론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Z세대는 사회초년생과 학생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1995년생부터 2004년생 사이를 일컫는다. 이에 본 연구는 Z세대에서 많은 양상을 보이는 1인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Z세대들은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면서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 기존에 외부에서 주로 해결했던 카페, 외식 활동이 홈 카페, 홈 바와 같은 모습으로 주거환경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그리고 집안내 에서의 활동을 SNS에 공유하며 새로운 문화를 확산시켰다. 또한 자기관리를 위한 운동을 홈 트레이닝으로 대체하고, 꾸준히 식단을 조절하고자 했다. 가격이나 뒷정리, 건강문제 등으로 인해 배달 소비를 지양하고자 했지만, 환경여건상 배달 소비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재 코로나 시대의 현장감 있는 연구를 토대로 Z 세대의 식생활과 라이프 스타일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과 적용에 기반이 되리라 본다.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혈액세포의 텔로미어 함량을 이용한 소의 연령예측

        김현섭 ( Hyun Sub Kim ),최창용 ( Chang Yong Choe ),전광주 ( Gwang Joo Jeon ),손시환 ( Sea Hwan Sohn ),최나은 ( Na Eun Choi )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구 한국축산학회 ) 2010 한국축산학회지 Vol.52 No.5

        텔로미어란 진핵세포의 염색체 양 말단에 있는 DNA-단백질 복합체로서, 특정단백질과 TTAGGG의 반복염기서열로 구성되어있다. 이들의 기능은 핵 내 염색체의 안정성에 본질적으로 작용함으로 세포의 노화와 직접적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의 간기상태의 백혈구 세포를 대상으로 연령별, 품종별, 성별간 telomeric DNA 함량을 분석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텔로미어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한, 텔로미어 함량을 이용한 개체의 연령예측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의 텔로미어의 함량 분석은 l개월령에서 166개월령의 한우 및 홀스타인종 460두를 대상으로 telomeric DNA probe를 이용한 Q-FISH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에 있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telomeric DNA 함유율이 일관되게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소의 품종간 telomeric DNA 함유율을 비교한 결과 한우의 telomeric DNA 함량이 홀스타인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 간에도 수컷이 암컷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telomeric DNA 함유율을 나타내어 품종별, 성별 모두 텔로미어 함유율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 확인 할 수 있었다(P<0.01). 따라서 요인별 유의적 차이가 있음으로 한우 암컷 및 홀스타인 암컷에 대한 각기 연령예측 회귀함수를 추정하였다. Telomeric DNA 함량을 독립변수(X)로 하고, 연(월)령을 종속변수(Y)로 설정하여 2차회귀식을 도출한 바 한우 암컷의 경우 Y=38.102X2-220.103X+318.309(P<0.0001, R2=0.8019)이고, 홀스타인 암컷은 Y=42.799X2-199.682X+242.106(P<0.0001, R2=0.8379)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두 회귀식 모두 유의한 함수로 결정계수(R2) 또한 0.8 이상의 높은 상관 값을 보임에 따라 본 회귀식으로 소의 연령 예측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Telomeres at the end of chromosomes consist of tandem repeats of (TT AGGG)n DNA sequence and associated proteins. Telomeres have the essential functions in chromosome stability and genome integrity and are hence related to cell senescence and canc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quantify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nd establish age prediction equations by using the quantity of telomeric DNA for cattle. Analysis of the telomere quantity of the lymphocytes was performed at different age, across breeds and between different sexes of cattle. We quantified the amount of telomeric DNA by the Q-FISH technique using the telomeric DNA probe in 460 cattle at age of 1-166 months in Korean Cattle and Holstein breeds. In results, we found that the amount of telomeric DNA decreased gradually with age. The amount of telomeric DNA of Korean Catt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olstein breed (P<0.01). In addition, the amount of telomeric DNA in 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female (P<0.01).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the amount of telomeric DNA in cattle, age predicting equations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cause sex and breeds influenced telomeric DNA quantity, the age prediction equations were estimated separately in Korean Cattle females and Holstein females. The regression equations were Y = 38.102X2 - 220.103X + 318.309 (P<0.0001, R2=0.8019) in Korean Cattle females and Y = 42.799X2 - 199.682X + 242.106 (P<0.0001, R2 = 0.8379) in Holstein females, where the X was quantity of telomeric DNA and Y was predicted age in months. These equations predicted the age of cattle with high significance and accuracy and have high R square values. Thus, it could be possible to scientifically predict the age using the above equations for Korean Cattle and Holstein fem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