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동 행태특성과 공간기능을 고려한 초등학교 환경색채 가이드에 관한 연구

        좌민경,최경실,Jwa, Min-kyoung,Choi, Gyoung-Sil 한국교육시설학회 2014 敎育施設 Vol.21 No.6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children's behavior from an integrated systemic perspective of the space and time and presenting a criterion and a guide of children-centered environmental color for intensifying their behavior affordanc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of the space and color.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Based on the spatial function and children's behavior, it figured out a prerequisite of educational environmental colors for behavior affordance. It extracted colors by dividing children's behavior affordance into 8elements considering a psychology of expectation and color function according to spatial and behavior affordance intensification elements. So 97school colors were selected for children's behavior affordance from abstracted colors by each element. Furthermore, it planned to suggest an environmental color guide for establishing elementary school's positive educational circumstances through enhancing behavior affordance, providing a potential to change a color environment at the educational space.

      • KCI등재

        기후환경과 방송영상색채의 상관관계 연구

        최원정(Won-jung Choi),최경실(Gyoung-sil Choi)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4

        색채감성은 글로벌 시대의 마케팅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써 제품의 성패를 좌우한다. 현지 소비자들의 색채 선호 경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용되는 컬러마케팅의 활용분야는 패션, 제품뿐 아니라 방송 및 영화를 아우르는 영상분야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 개인이나 집단별 색채감성의 차이는 지역, 민족, 연령, 성별, 소득, 교양수준 등에 기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연 환경적 요인이 색채선호를 유발한다는 ‘색채기호의 지역설’에 근거해 지역별 기후환경과 방송영상색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으로는 서유럽, 북아메리카 그리고 동북아시아의 대표적인 공영, 민영방송사의 메인 뉴스화면을 선정했다.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사용빈도가 높은 색상과 톤의 지역별 공통점이 나타나는데, 이는 지역별로 비슷한 기후적 요인과 더불어 사회문화적 요인도 작용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뉴스화면에서 공통적으로 BG계열의 사용빈도가 높았으며, 이는 색의 연상 작용을 고려해 블루가 주는 신뢰의 이미지를 적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지역별로 하늘의 색과 연관된 색상이 뉴스화면에서 보여진다. 이는 지역별 하늘빛에 따라 인지하고, 순응하는 색상의 차이가 방송영상색채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역별 영상색채 경향은 방송, 영화를 비롯한 영상 관련 업계의 해외 영상콘텐츠 제작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메인 뉴스화면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지만 편성시간도 색채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방송 시간대별로 구분한 색채 분석도 향후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Color sensibility influences the success or failure of a product as a part of marketing differentiation strategy in the global age. The area of color marketing utilization that is appli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n the color preference tendency of local consumers can be expanded to not only fashion and product but also the visual area that encompasses broadcasting and cinema. The difference in color sensibility of individuals or groups results from region, race, age, gender, income and cultural level.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ocal climatic environment and broadcasting image & video color will be examined based on "the regional color preferences" that state that nature & environmental factor causes color preference. As for the analysis subject, the main news screens of the major public & private broadcasting companies of Western Europe, North America and Northeast Asia were chosen. The analysis result shows common features per region in the frequently used color and tone, which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sociocultural factor in its effect in addition to the similar climatic factor per region. Additionally, frequency of the usage of BG tone color was commonly high in the news screens, which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having applied the image of trust given out by blue in consideration of the association effect of color. Lastly, the color that is associated with the color of the sky per region is shown in the new screen. This can be seen as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in color of recognizing and adapting according to the sky color of region also in the broadcasting image & video color. It is expected that the image & video color tendency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applied when producing overseas image & video contents in the broadcasting, cinema and image & video related industry. In this study, only the main news screen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 but since broadcasting schedule can also affect the color usage, the color analys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time and the color analysis per genre can also become the future study subjects.

      • KCI등재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선호색채 비교연구

        제나나(Na-na Je),최경실(Gyoung-sil Choi)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4

        본 연구는 색채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 가운데 지역에 따른 색채 선호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동?서양 국가 간의 색채 감성 비교 연구를 하기에 적합한 캐나다 대학생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한국 대학생과의 색채 감성을 비교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분석방법이며, 자료 분석방법은 PASW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국가별 일반 선호색과 IT제품 , 패션 선호색 분석, 둘째, 국가별 일반 선호색상과 IT 제품, 패션 선호색상 분석, 마지막으로 국가별 일반 선호톤과 IT제품, 패션 선호톤을 분석을 하였다. 종합 분석결과 첫째,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선호색채 비교 분석 결과 패션 선호톤을 제외한 일반 선호색상, 일반 선호톤, IT 제품 선호색상, IT 제품 선호톤, 패션 제품 선호색상에서 통계적으로 국가 간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동일한 국가 내에서도 category(일반, IT 제품, 패션 제품)에 따라 선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동일한 국가 내에서 선호색은 일반 선호색과 IT 제품 선호색, 선호색상과 선호톤은 IT 제품과 패션 제품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한국과 캐나다의 색채 감성은 대체적으로 차별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공통성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 편중되어 있던 선호색에 대한 연구를 국가 간의 비교 연구로 확대하여 국가 간의 색채 감성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겠다. 하지만 조사 대상자를 대학생으로 제한한 점과 특정 선호색채에 있어서도 한 가지 품목에 한정하여 조사를 진행한 점 등의 한계점 또한 가지고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이번 연구의 한계점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지역 뿐만 아니라 성별, 연령, 시대적 흐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지속적인 연구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difference of 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location among several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color preference. This research include Korean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ppropriate for comparison of colour sens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ountries. The research method is a survey through questionnaires and for analyzing material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by using PASW 18.0 FOR WINDOWS are applied. The research results can be divided into three. The results are analyzed first, according to general favorite colour, IT products, and favorite colours for fashion, second, according to general favorite colour, IT products, and favorite colour for fashion by nation, and lastly according to general favorite tone, IT products, and favorite tones for fashion are. The result of comprehensive analysis, firstly, shows that i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preferable colours between Korean and Canadian students, except for preferable tones for fashion,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general preferable colours and tones, preferable colours and tones for IT products, and preferable colours for fashion products between the two nations. Secondly, within the same nations, the aspects of preferenc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category (general, IT and fashion products). Within the same nation, the analysis of the preferable colours shows that general preferable colours have same aspects with IT products preferable colours, and preferable colours and tones with IT and fashion products. Thirdly, colour senses in Korea and Canada appear to have many differences in principle, but there are some commonality as wel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the fact that it expands study of favorite colours from Korea centered to nations and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colour senses between nations.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for special preferable colours only one item was examined. The future studies consistently examine various factors including not only deeper research considering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but also location, gender, age, and flow of the time.

      • KCI등재

        영화 시상식에 나타난 토탈 코디네이션의 형태와 색채 분석

        유한나(Han-na Yoo),최경실(Gyoung-sil Choi)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토탈 코디네이션에 대한 미적 평가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영화 시상식 레드카펫의 베스트 드레서와 워스트 드레서를 대상으로 사진을 수집한 후, 선행 논문의 조형성에 의한 유형 분류를 참조하여 우아미, 청순미, 관능미로 분류하고, 각각의 유형별로 베스트 드레서와 워스트 드레서의 형태변인과 색채변인상의 선호-비선호 요인을 분석하였다. 형태변인 분석은 의상의 실루엣과 메이크업 형태, 헤어스타일 분석으로 구성하였고, 색채변인 분석은 의상색, 립스틱색, 모발색의 상호간 색상 조화와 비렌의 색삼각형을 이용한 톤 조화, 그리고 착용자의 퍼스널 컬러(Blue Base, Yellow Base)와 토탈 코디네이션에서 사용된 색의 유형 일치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시상식에서의 토탈 코디네이션은 유형에 따라 아름답다고 인식하는 특정한 형태와 색채가 있다. 둘째, 의상, 메이크업, 헤어 상호간의 색채 조화와 부조화는 베스트 드레서와 워스트 드레서를 구분하는 요인이다. 셋째, 착용자의 퍼스널 컬러와 토탈 코디네이션에서 사용된 색의 유형 일치 유무 역시 베스트 드레서와 워스트 드레서를 구분하는 요인이다. 넷째, 각각의 유형별 베스트 드레서를 분석한 결과, 동일색상과 유사색상 배색이 많고, 비렌의 색삼각형을 이용한 톤 분석에서 대부분 조화로운 색조관계가 나타났으며, 퍼스널 컬러는 착용자의 베이스 컬러와 코디네이션에 사용한 컬러의 유형이 대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워스트 드레서의 경우, 동일색상, 유사색상과 함께 대조색상과 반대색상이 나타났고, 비렌의 색삼각형을 이용한 톤 분석은 대체로 조화관계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퍼스널 컬러에 있어서도 대체로 적절하지 못한 베이스컬러를 사용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 유형에 적절한 형태와 색채의 사용, 색채 조화, 퍼스널 컬러 유형의 일치 유무에 따라 토탈 코디네이션의 미(美)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영화 시상식의 조형미에 따른 유형별 형태와 색채를 제안하여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토탈 코디네이션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 of cognition in the beauty of Total Coordination. The pictures of Best and Worst dresser at Film Awards were collected, and sorted according to types of Elegant beauty, Innocent beauty and Voluptuous beauty. Shape and Color variables about Best and Worst dresser of each type were categorized. For the Shape analysis, silhouette of clothing, make-up shape and hair style were considered. For Color analysis, hue harmony, tone harmony and type-matching of Personal Color were considere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specific Shape and Color for beauty-cognition for each type of total coordination at Film Awards. Second, color harmony between clothing, makeup, and hair is the key factor between best-worst dressers. Third, the matching of personal color and the color of the total coordination is the key factor between best-worst dressers. Forth, best dressers show monochromatic and analogous harmony and have harmonic pattern of tone in Birren Color Triangle. Also the type of personal color and the color of the total coordination are generally matched. Finally, worst dressers show monochromatic, analogous and complementary harmony and have disharmonic pattern of tone in Birren Color Triangle. Also the type of personal color and the color of the total coordination aren"t generally matched. All these findings considered, proper using of Shape and Color of each types, harmony of color, and type-matching of Personal Color are very important determining the beauty. In conclusion, these research suggests the practically applicable base of total coord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