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라노 디자인 지구 내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사례연구

        천준호 ( Chen¸ Jun 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유휴 산업시설을 전시 박람회, 비엔날레, 트리엔날레와 같은 다양한 도시 이벤트 연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는 개최 도시만의 특수한 장소성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공간을 만들어 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지역 재생의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년 30만 명 이상의 방문자를 기록하고 있는 밀라노 국제 가구박람회를 중심으로 형성된 밀라노 디자인 지구(Design District) 내에 위치한 유휴 산업시설의 대표적 재활용계획 사례들을 분석하여, 도시 이벤트 및 지역 재생의 거점시설로서 국내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과 지역 재생과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유휴 산업시설의 재생을 위한 재활용 계획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밀라노의 도시구조를 연구하고, 밀라노 디자인 지구 내 산업시설 재활용 사례의 분포를 분석한다. 셋째, 대표적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사례가 밀집된 람브라테 지구(Lambrate Design District)와 토르토나 지구(Zona Tortona)를 현장조사와 밀라노 건축사협회에서 제공하는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넷째, 유휴 산업시설을 도시 이벤트와 연계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활용된 사례의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 재생 계획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대상 사례의 분석결과 대상지의 유휴 산업시설 관련 도시 재생에는 ‘산업유산을 직접 재활용함으로써 재생 효과가 발생하는 패턴’, ‘산업유산과 주변 지역을 함께 연계·재활용함으로써 포괄적인 재생 효과를 발생하는 패턴’, ‘네트워킹을 통한 복합적 재생 효과를 거두는 패턴’(Kang, 2019)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유휴 산업시설은 보존적 개념의 리모델링을 통해 밀라노 특유의 ‘유니크 베뉴’(Unique Venues)로 재생되었다. Tortona 지구와 Lambrate 지구에 위치한 총 6개의 사례 중 모든 사례에서 ‘외부공간’과 ‘실내 디자인’이 강한 강도로 변형이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축형태’와 ‘입면 디자인’은 대부분 사례에서 가치 있는 중요 요소로 인식되어, 오랜 기간 지역의 중추적 역할을 했던 건축물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이어가고자 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또한, 산업시설의 생산적 공간을 위해 설계된 ‘구조’의 경우 새로운 용도로의 전환이 원활하여 신축 사례를 제외한 모든 사례에서 강한 강도로 보존되었다. (결론) 밀라노 공업지역의 도시 재생은 건축적 가치와 경관적 특수성을 갖는 유휴 산업시설이 유명 예술가들의 주도하에 적극적으로 리모델링 되어 예술가들의 ‘상징적 공간’으로의 재활용에서부터 시작되었고, 후에 PRU(Program of Urban Requalification), PII(Integrated Programs of Intervention)와 같은 도시계획을 바탕으로 체계화되었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성공 사례들이 모여 지역을 대표하는 도시 이벤트가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밀라노의 사례는, 지역 제조업의 성장률 정체로 신성장동력 사업을 MICE 산업과 같은 관광 기반 사업과 지역 특화된 콘텐츠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국내 지방 도시의 도시 재생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it has been increased numerously the number of cases of conver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multi-cultural spaces which is related to various city events such as fairs, Biennale and Triennale. This creates the differentiated spaces that could provide the formation of distinguished places of the hosting city and furthermore it is well used as a focal point of urban regenera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presentative cases of adaptive re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situated in the MDD (Milan Design District) and to provide the preservative design strategy for Korean context. (Method) First, analyzing precedent researches, it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reused idle industrial facilities. Secondly, to draw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daptive reus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MDD, it observes the Milan city structure and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MDD. For the third, it is to analyze ‘Zona Tortona’ and ‘Lambrate Design District’ where centered the representative cases of reused industrial facilities, on the base of the database abstracted from the Milan Architects Association and of the field research. Lastly, it i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 of cases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converted to multi-cultural spaces which are related to urban events, and to draw its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of the area. (Results) For the result of above, it has been processing gradually 3 kinds of the ‘patterns’ for the targeting areas, such as 'the patterns of regeneration effects occurred directly by adaptive reuse', 'the patterns of comprehensive regeneration effects occurred by relations between the industrial heritages with adjacent areas' and 'the patterns of achieving multiple regeneration effects through networking'(Kang, 2010). Furthermore, the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transformed to the ‘unique venues’ of the city through preservative remodeling. In the 6 analyzed cases located in ‘Zona Tortona’ and ‘Lambrate Design District’, the ‘exterior spaces’ and ‘internal spaces’ are transformed with a strong intensity, while in most cases, ‘architectural shape’ and ‘elevations’ were recognized as a valuable elements and show a clear tendency of preservation. The ‘structures’ designed for the previous productive functions were preserved in all cases except for the new constructions. (Conclusions) The urban regeneration of industrial areas in Milan began with an radical renov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by the private initiatives and strongly related to a particular urban events and afterwards it was organized on the based of urban planning such as PRU(Program of Urban Requalification) and PII(Integrated Programs of Intervention). This case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efinition of urban regeneration strategy for local cities in Korea which focus on tourism based development and on making unique venues from industrial heritages.

      • KCI등재

        광장형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붕 계획 연구 - 지역성을 반영 한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

        천준호 ( Chen Jun 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행으로 일반적으로 전통시장이나 마트에서 구매하던 생필품 및 식품의 소비가 '언택트' 플랫폼을 통한 소비형태로 확장되면서, 기존 오프라인 유통공간의 가치 재고려와 공간 특성화에 대한 고찰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비형태가 체험과 경험 중심의 소비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어 지역의 사회적ㆍ문화적 연대의식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을 하며 관광 장소로서 성공적 결과를 만들어낸 해외 광장형 전통시장 계획 사례연구를 통해 급변하는 소비형태와 소비자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시장 공간 계획의 요소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해외 광장형 전통시장의 지붕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한다. 첫째, 국내 근린상권형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계획에 적용 가능한 공간 특성을 가진 7개의 해외 광장형 전통시장 계획을 선정한다. 둘째, 5명의 국내 건축전문가(한국 건축사 및 국내 대학원 이상 졸업)와 5명의 해외 건축 전문가(해외 건축사 및 해외 대학원 이상 졸업)의 평가를 종합해, 광장형 전통시장 계획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지붕 디자인의 특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국내 광장형 전통시장 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지역 공공공간의 랜드마크로서의 역할과 중요성을 나타내는 '상징성'과 지역의 자연환경적·인문학적 특성을 공간적 요소로 계획에 반영한 정도를 나타내는 '지역성'이 5점 만점에 4.6점으로 '매우 강'으로 평가되었다. 지붕디자인과 자연 및 인공경관과의 심미적 화합을 나타내는 '조망성'과 지붕의 시각적ㆍ기능적 열린 정도를 나타내는 '개방성'은 각각 3.2점과 3.4점으로 '중'으로 평가되었다. '상징성'은 7개의 사례 중 5개의 사례에서 최고점으로 평가됐으며, '조망성'은 5개의 사례에서 최저점으로 평가되었다. 본 분석을 통해 광장형 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붕 디자인에 필요한 계획 요소의 중요도를 '상징성', '지역성', '조형성', '개방성', '조망성' 순으로 나열할 수 있다. (결론) 관광 장소로서 지역을 대표하는 해외 전통시장 분석을 통해 도출한 지붕계획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의 지붕은 지역성을 반영한 형태와 재료를 반영하여 계획될 때, 지역주민들의 추억이 녹아있는‘장소’로서의 내재 된 잠재적 가치를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시장이라는 특정 장소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정체성을 만드는 작업으로, 대형마트나 온라인 유통업체와의 차별화된 공간체험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둘째, 전통시장의 지붕은 시장 공간과 구조를 분리하여 계획될 때 건축적ㆍ공간적 재미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이는 시장 고유의 관광지 매력 속성을 높여주는 주요 계획 요소로 인식할 수 있다. 지붕은 열ㆍ일조ㆍ공기ㆍ방재환경 등의 기능적인 요소 외에도, 전통시장을 매력적이고 방문하고 싶은 장소로 만들어, 전통시장을 소비공간으로 선호하지 않던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을 유입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the consumption of daily necessities expands to the form of consumption through the untact platform. It is required to reconsider the value of existing offline distribution spaces. In addition, as the form of consumption is rapidly shifting to experience-oriented consumption, a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to revitalize the traditional market,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sense of social and cultural solidarity in the reg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market space suitable for rapidly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and consumers' new lifestyles, through a case study of successful overseas square type traditional market. (Metho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oof design of overseas traditional markets, the following study is conducted: first, we selected 7 markets with spatial characteristics applicable to the domestic neighborhood market revitalization plan. Second,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oof design by combining the evaluation of 5 domestic architects and 5 international architects. Third,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domestic square-type traditional market plan are derived. (Results) 'Symbolism', which represents the role of local public spaces as urban landmarks, and 'locality', which represents the degree to which the natural environmental and humanistic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re reflected as design elements, were evaluated as 'intense' with 4.6 points out of 5. The 'viewability', which represents the aesthetic harmony between the roof design and the natural and artificial scenery, and the 'openness', which represents the visual and functional openness of the roof, were evaluated as 'moderate' respectively with 3.2 points and 3.4 points. 'Symbolism' was rated as the highest point in 5 cases out of 7 cases, and 'viewability' was evaluated as the lowest point in 5 cases. Through this analysis, the importance of design elements necessary for roof design to revitalize the square-type market can be listed in the order of 'symbolism', 'locality', 'tidal formation', 'openness', and 'viewability'.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of plan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overseas traditional marke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oof of a traditional market is planned to reflect the local traditional shape and material, it can build an inherent potential value as a place where local residents' memories are melted. Second, the roof design can create an 'architectural fun' when planned separately from market space and structure. In this way the roof can be recognized as a main design element that enhances the attraction of tourist to the market, bringing people from various classes who did not prefer traditional markets as a consumption space.

      • KCI등재

        증강현실 기반 건축문화유산 공간경험 활성화 방안 연구 - 해외 디지털 복원사례를 중심으로 -

        천준호 ( Chen Jun 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국내 문화유산 분야는 다른 산업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지털화가 늦게 진행되었으며, 통합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2차 정보생산’, ‘정보공유’ 등의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해외 건축문화유산의 디지털 복원의 대표 사례 연구를 통해 건축문화유산 관련 증강현실 기반 실감콘테츠를 이용한 공간경험 활성화와 디지털 복원 및 디지털 DB구축의 표준화에 대한 기초연구자료를 만드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증강현실 기술의 발전 동향을 파악하고, 디지털 유산의 정의 및 건축유산의 디지털 복원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건축유산의 디지털 원형복원을 위해 필요한 3차원 모델링 기술의 표준화 방법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공간경험의 특성에 대해 탐구한다. 셋째, 지역 건축문화유산의 지역성이 반영된 해외 대표사례를 현장조사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공간경험의 방법과 특성을 분석한다. 넷째, 국내 건축문화유산의 증강현실 기반 공간경험을 위한 실감 콘텐츠 개발과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건축문화유산의 보존ㆍ복원 관련 신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명 건축유산의 공간경험을 위한 몰입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이탈리아 로마 역사도심(Centro Storico)에 위치한 5개의 사례들을 디지털 복원의 방법,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체험요소별 구분방식, 공간경험의 종류와 강도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분석사례를 종합 해보면, 증강현실 기반 공간경험 콘텐츠의 경우 역사도심의 중요위치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장르, 콘텐츠, 공간체험을 결합한 건축문화유산관광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역 역사ㆍ문화의 포괄적 시야를 제공하며, 각각의 건축유산 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야기, 역사, 기술, 생활양식 등과 같은 ‘비물리적 자산’의 심도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유산이 건축 되어질 당시 도시의 ‘장소’로서의 공간체험을 위해 시대적 배경과 환경요소, 역사적 사건 및 인물 등 스토리자원을 이미지, 사운드로 설명하였다. 이는 복합적 연출을 통해 높은 몰입도와 체험성을 만들어내는 공간체험요소로 작용한다. (결론) 본 연구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건축유산의 3차원 입체 모델링은 디지털 기록자산으로서의 의미를 갖기 때문에, 심도있는 건축적ㆍ고고학적 고증이 필요하며, 건축유산의 특성에 맞는 모델링 표준화 방법의 개발이 우선 되어야 한다. 둘째, 건축유산 공간경험의 체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적ㆍ역사적 스토리자원을 활용해 건축유산을 하나의 ‘장소’로서 인식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건축유산 공간경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건축유산을 하나의 분리된 건축물이 아닌 도시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는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마스터플랜을 통해, 도시 건축 관광 서비스로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architectural heritage field, the digitalization process was relatively slow compared to other industrial fields. Due to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conventional management system, the “secondary information production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are insufficient. Through the representative case study of digital restoration of overseas architectural heritage, this study aims to create basic research data on the activation of spatial experience made with the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the standardization of digital restoration, and digital DB construction related to architectural and cultural heritage. (Method) First, it identifies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AR technolog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tudying the definition of digital heritage and the needs for the digital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Secon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it explores the 3D modeling technology process, standardiza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to create a spatial experience using the AR technology. Third, the representative overseas cases are analyzed based on the field survey and the literature survey focusing on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erience. Lastly, we dra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the spatial experience of the national architectural heritage. (Results) It has identified five cases in Rome, Italy, where immersive contents for the spatial experience of famous architectural heritage are continuously developed, to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restoration methods, types, and intensity of spatial experience elements. A summary of the analysis cases shows that AR applications based on immersive contents are strategically placed in the important locations of Rome’s historic center. These strategic locations provide a comprehensive view of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by establishing an “urban heritage tourism service network,” which combines genres, contents, and space experience. The “story resources” such as historical background, events, environmental factor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non-physical assets,” which explain the heritages from various angles to create a high level of immersive experience. (Conclusions)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e case analysis: first, as 3D stereoscopic modeling of architectural heritage can be recognized as digital heritage, it needs in-depth research in the architectural and the archaeological field. Furthermore, it should be preceded by a specific development of digital modeling standardization suitable for architectural heritage. Second, to enhance the spatial experience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 as a "place," it is necessary to use local cultural and historical story resources. Third, to recognize the architectural heritage as a part of the city and not as a single separate piece, it is necessary to draw a comprehensive masterplan of spatial experience system which can be defined as an urban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