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音声教育実践における実習生間の意見交換

        千仙永(천선영) 한국일본어학회 2017 日本語學硏究 Vol.0 No.52

        본고의 목적은, 발음에 특화한 교육실천에서 실습생 사이의 의견교환을 통해 실습생이 무엇을 배워가는 지에 대해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하는 연구필드는, 2012년도 도쿄 도내의 대학원에 설치된 발음지도에 특화한 음성교육실천이다. 실습생의 배움을 관여관찰하고 인터뷰를 실시했다. 본고에서는 봄 학기의 음성교육실천에 참여한 여러 명의 실습생이 음성교육을 계획하고 성찰하는 데 사용한 메일링 리스트(ML)의 199건의 내용을 분석했다. 먼저 ML이 어떤 기능을 하고 있었는지, 어떤 내용이 공유되고 있었는지를 밝혔다. 다음으로 ML내용의 특징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ML에서의 의견교환을 통한 실습생의 배움에 대해 고찰하였다. ML은 실습생에 의한 음성교육활동, 학습자의 모습, 음성교육의 환경이라는 세 축을 기반으로, 계획하고 회상하는 장으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ML의 특성으로는, 음성에 대해 문자로 쓰는 작업이 수반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음성을 문자언어화 함으로써 음성에 관한 성찰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습생들은 ML을 이용하여 계획과 회상을 되풀이함으로써 ‘음성교육의 계획, 실행, 회상, 재구축이라는 사이클’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성찰을 통해 음성교육에 특화된 전문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앞으로 음성교육의 발전 및 지원을 위해서, 실습생 간의 음성교육에 특화된 의견교환의 장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음성교육에 대해 계획하고 회상할 수 있는 의견교류의 장을 마련해가는 것을 통해 음성교육에 특화된 전문성을 향상시켜나갈 뿐 아니라 음성교육의 질도 높여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착안한 ML처럼 인터넷을 통한 실습생 간의 의견교환의 장은 교육현장의 벽을 뛰어넘어 새로운 배움의 장으로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of teacher practitioners in teaching Japanese pronunciation obtained through exchange of opinions between the teacher practitioners. Based on their learning, this study discusses the support in teacher practitioners’ learning. In 2012,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a pronunciation class at a Graduate School in Tokyo.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mailing list (ML), which includes 199 contents used for planning and reflecting on pronunciation teaching by teacher practitioner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L contents are analyzed. Third, the learning gained by teacher practitioners through exchange of opinions in the ML is discussed. It is found that the ML functioned as a place to conduct reflection and planning mainly on three axes: (1) pronunciation teaching activities by teacher practitioners, (2) the state of learners, and (3) the environment of pronunciation teaching. In the ML, extualization was done through writing about the pronunciation. Teacher practitioners made cycles of planning, execution, 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In this way, the teacher practitioners improved their professional skills. Hence, in developing and supporting pronunciation teaching,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lace to exchange opinions specializing in pronunciation teaching between teacher practitioners. As a support to pronunciation teaching for teacher practitioners,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nunciation teaching and improve professional skills by providing an environment to exchange opinions on planning and reflection on pronunciation teaching. In addition, the exchange of opinions between teacher practitioners through the internet, like the ML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create a new learning field beyond the walls of educational fields.

      • KCI등재

        発音指導実践における実習生と学習者のインタラクション

        千仙永(천선영)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8

        본고에서는 발음에 특화한 교육실천에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실습생(이하, 실습생)이 무엇을 배워가는지에 대해 분석, 고찰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하는 연구필드는, 2012년도 도쿄 도내의 대학원에 설치된 발음지도에 특화한 실천이다. 실습생의 배움을 관여관찰하고 인터뷰를 실시했다. 본고에서는 교사경험을 지닌 한 명의 실습생의 배움에 착목한다.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실습생은 다음의 4가지의 발음학습실태에 대해 배워간 것으로 밝혀졌다. (1)발음학습에 열심히 임하는 학습자의 자세와 달성감 (2)발음학습을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학습자의 자세 (3)발음학습에 있어서의 학습자의 자기수정능력 (4)발음에 대한 불안감 위와 같이 실습생은 학습자가 갖고 있는 발음학습에 관련된 가능성에 대해 깨닫고,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간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어교사를 위한 음성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 발음에 특화한 교육실천이 필요하고, 그 발음지도실천에 있어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디자인되어진 환경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시사하였다.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디자인되어진 발음지도실천에서, 실습생 혹은 교사는 학습자가 갖고 있는 발음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고, 그 발음학습의 가능성을 이끌어내는 서포트를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of practitioners in practice teaching of pronunciation they obtained through their interactions with Japanese language learners while teaching pronunciation. Based on the learning of practitioners, I discuss the practice teaching of Japanese pronunciation to support practitioner learning. I investigated a practice teaching specializing in pronunciation at the Graduate School in Tokyo. I took participant observations at the pronunciation class and interviewed the practitioners. In this paper, I focus on a practitioner who has experience as a Japanese language teacher.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I found that the practitioner learned about Japanese language learners. (1) Their devotion and achievement to learn pronunciation in learning pronunciation (2) Their flexible attitude towards learning pronunciation (3) Their self-correcting capabilities in Japanese pronunciation (4) Their anxiety about pronunciation Thus, the practitioner came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in learning pronunciation. This study shows that practice teaching can support practitioner learning when a practitioner finds and develops the potential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in learning pronunciation. Hence, it is necessary for practitioners to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learners’ potential in order to develop themselves.

      • KCI등재

        韓国における日本語教師を対象とした音声教育の実践 ―2015改訂教育課程および教科書の分析を踏まえて―

        千仙永(Chun, Sun-Young) 한국일본어학회 2021 日本語學硏究 Vol.- No.68

        본 연구는 한국의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음성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하여, 한국인 일본어 교사를 대상으로 음성 교육을 실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다. 실천 활동 준비 단계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6 종 검정 교과서의 내용을 음성 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속에서는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하며, 음성 항목으로 ‘청 · 탁음, 장 · 단음, 요음, 촉음, 박, 억양’이 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그러나, 음성 커뮤니케이션에서 빠뜨릴 수 없는 ‘악센트’는 ‘억양’으로 통합되어 있었고, 그 의미 범위가 교과서마다 다르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위의 과제를 바탕으로, ‘일본어 악센트’라는 주제로 실천 활동을 하였다. 실천 활동에 참가한 한국인 일본어 교사와 인터뷰를 한 결과, 교사의 의식과 행동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음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3 가지 관점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교육 현장 맞춤 내용으로 음성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음성 교육 실천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로, 악센트 자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학습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필요에 따라 알아보는 등 ‘자율 학습’의 자세로서 음성 학습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두 언어의 음운 특징을 의식함으로써, 효과적인 음성 교육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implicat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nunciation education for Korean Japanese teachers in order to enhance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field in Korea. This study is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a practical study with one Japanese teach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6 types of official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preparatory stage of the practical activity,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es verbal communication, and presents Sei-on (voiceless sounds) / Daku-on (voiced sounds), Cho-on (long sounds) / Tan-on (short sounds), Yo-on (contracted sounds), Soku-on (geminate consonants), Haku (Japanese rhythm) and Intonation as pronunciation items. On the other hand, Accent, which is indispensable to verbal communication, is not presented as an independent item, but is included in Intonation, and the meaning range of Intonation is ambiguous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above issues, I conducted a practical activity under the theme of “Japanese accent”. From an interview with a Korean Japanese teacher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activity,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consciousness and behavior had changed after the activ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ree viewpoints for the enhancement of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field in Korea. Firstly, it is desirable to organize the content such that Japanese teachers can learn about pronunciation with contents tailored to the actual class. Secondly, it is desirable to grasp pronunciation learning as an autonomous learning, based on not just memorizing the accent itself, but sharing how to use learning tools and finding appropriate ones if necessary. Finally,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can be expected by being aware of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n.

      • KCI등재후보

        '몸'의 현재적 의미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 몸에 대한 의과학(醫科學)적 지식의 독점권과 권력화를 중심으로 Focusing on Monopolization and Authorization of Medical-Science on 'Body'

        천선영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社會科學硏究 Vol.11 No.-

        생물적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실체인 몸에 대한 일상적, 사회 정치 경제적 내지는 학문적 관심은 인류 역사상 계속되어온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몸이 오늘날 우리 사회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다시 틀 짓는 하나의 중요한 화두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동의할 수 있을 터이다. 도대체 왜 다시 몸인가? 간단히 말해서 몸의 사회적 의미에 지대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그리고 일어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모종의 지각변동이 몸이라는 실체를 중심으로 해서 우리에게 가시화되고 있고 그것이 우리의 일상적, 지적 관심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근대/후기 근대사회에서 몸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중요성의 증가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 중요한 요인들로 근대적 주체의 형성과 관련한 문제, 소비사회와 멀티 미디어 사회의 도래 그리고 의과학의 발달을 지적한 후, 우리의 몸을 둘러싸고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구체적인 양상과 특징들을 몸경험의 생애사적 단계를 따라가는 방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몸의 현재적 의미와 그 본질적 특성에 대한 하나의 사회학적 성찰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의과학적 지식과 그 전유가 결과하는 몸 인식과 그 실제적인 변화, 그리고 몸의 생애사적 변화의 전과정에 지속적이고 집요하게 관여하고 있는 의과학적 지식의 배타적 독점권과 권력화에 주목하고자 했다. 기본적으로 몸은 오늘날 권력과 지식과 자본의 치열한 각축장이 되었으며, 그 핵심에 의과학이 자리잡고 있다. 오늘날 의과학은 좁은 의미에서의 아픈 몸에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 전반에서 몸을 규율/통제하고 특정한 몸을 생산하는 기술과 담론의 지배적 생산자가 되었다. The daily, social, political, economic, or scholarly interest in the body which is both biological and social substance is going on throughout the whole human history. Nevertheless, no one will deny that the body becomes a new important point again today which could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our Society fundamentally. Why the body again? We can say that the social meaning of the body has changed and is changing a lot. A change, focusing on the body, is gradually seen to us, and it encourages our daily and intellectual interest. This article discusses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of the body and the increase of the importance in modern/post-modern society. The important elements -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ubject, the appearance of the consuming & multi-media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science - will be pointed out, and we will discuss the concr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relation to the body by tracing back to the whole history of the body. Then we could reflect on the present meaning of the body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sociologically. Especially, we intend to focus on the recognition and the real change of the body resulted from appropriation of medical-science knowledge and the exclusive monopolization and authorization of the medical-science which participates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the whole history of the body. Basically, the body is the place where power, knowledge, and capital compete intensively one another, and the medical-science is the main center. Today the medical science becomes the authoritative creator of the technology and discourse which creates a specific body and controls the body not also in the sense of sickness but only in the whole life.

      • KCI등재
      • KCI등재

        몸의 소멸 - 이미지의 과잉, 체험의 부재 -

        천선영 ( Sun Young Chun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8 담론 201 Vol.10 No.4

        In this paper, I analyze ou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concerning the extinguishment of the human body. The traditional concept of transcendence faces a serious challenge today. We tend to regard religious fundamentalism in the light of all sorts of mysticism and spiritual merchandise, which leads us to doubt its truthfulness. In my opinion, however, these are reactions to the crisis of the consciousness of transcendence. Otherwise, our life today is really fine without transcendence. The problem arises first with `limit situation` whose climax is death. Or strictly speaking, our consciousness about death. In the face of death, some of us resort to religious belief, whereas many of us hold fast to the belief in medicine-science. The last enemy of medicine-science, whose requisite is a long healthy life, is death. But if death has not yet been overcome, death is not sublimated by religion, then it should be at least `eradicated`. Death`s sense of danger should be sublimated, and fear about it should be cultivated. Its peak is the `educationalization of death` and `infortainmentalization of death`. In this meaning, I see an exhibition of mystery surrounding the human body as a sublimated image, the fact of death cultivated and wrapped up in scientific language. Death in the absence of transcendence results to its visual embodiment as a mere image. The stuffed dead body has no relation to death itself. Such is a body that has forfeited its native property, so it is being `looked at` as an apathetic object. Furthermore, its meaning lies in it as a mere `educational instrument`, `value and significance of life and health`, `significance of our on-going life`. Is it demonstrated `absence` of real death?

      • KCI등재

        発音指導実践における実習生と学習者のインタラクション-実習生の学びを中心に-

        천선영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of practitioners in practice teaching of pronunciation they obtained through their interactions with Japanese language learners while teaching pronunciation. Based on the learning of practitioners, I discuss the practice teaching of Japanese pronunciation to support practitioner learning. I investigated a practice teaching specializing in pronunciation at the Graduate School in Tokyo. I took participant observations at the pronunciation class and interviewed the practitioners. In this paper, I focus on a practitioner who has experience as a Japanese language teacher.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I found that the practitioner learned about Japanese language learners. (1) Their devotion and achievement to learn pronunciation in learning pronunciation (2) Their flexible attitude towards learning pronunciation (3) Their self-correcting capabilities in Japanese pronunciation (4) Their anxiety about pronunciation Thus, the practitioner came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in learning pronunciation. This study shows that practice teaching can support practitioner learning when a practitioner finds and develops the potential of Japanese language learners in learning pronunciation. Hence, it is necessary for practitioners to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 learners’ potential in order to develop themselves. 본고에서는 발음에 특화한 교육실천에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실습생(이하, 실습생)이 무엇을 배워가는지에 대해 분석, 고찰한다. 본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하는 연구필드는, 2012년도 도쿄 도내의 대학원에 설치된 발음지도에 특화한 실천이다. 실습생의 배움을 관여관찰하고 인터뷰를 실시했다. 본고에서는 교사경험을 지닌 한 명의 실습생의 배움에 착목한다.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실습생은 다음의 4가지의 발음학습실태에 대해 배워간 것으로 밝혀졌다. (1)발음학습에 열심히 임하는 학습자의 자세와 달성감(2)발음학습을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학습자의 자세(3)발음학습에 있어서의 학습자의 자기수정능력(4)발음에 대한 불안감위와 같이 실습생은 학습자가 갖고 있는 발음학습에 관련된 가능성에 대해 깨닫고,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높여간 것으로 밝혀졌다.일본어교사를 위한 음성교육을 지원하기 위해서, 발음에 특화한 교육실천이 필요하고, 그 발음지도실천에 있어서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디자인되어진 환경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시사하였다.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이 디자인되어진 발음지도실천에서, 실습생 혹은 교사는 학습자가 갖고 있는 발음학습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고, 그 발음학습의 가능성을 이끌어내는 서포트를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쓰여진 말”, 새로운 구어를 통해 살펴본 소통과 상호작용 성격과 특성 변화

        천선영(Sun Young Chun) 한국사회이론학회 2013 사회이론 Vol.- No.44

        이 글은 문자메시지를 ‘상이한 시공간에서의 간접적이고도 지연된 대화’라는 맥락에서 ‘쓰여진 말’의 탄생으로 이해하며, 정보 통신기술의 발달로 가능해진 쓰여진 말이라는 ‘새로운 구어’ 탄생을 매개로한 소통과 상호작용 성격 변화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쓰여진 말의 등장과 확산은 일견 사소한 일로 볼 수 있으나 인류역사에서 문자 발명이라는 것이 역사 전체를 그 이전과 이후로 구분할 정도로 중요한 사건이었다는 것을 기억한다면 그리 간단히 치부될 수 있는 일은 아니며, 이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은 우리가 살고 있는 전자시대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개인과 집단의 관계적, 소통적 구조의 성격과 변화를 해석하고 진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문명의 발전은 말에 대한 글의 ‘수월성’ 증명 과정과 괘를 같이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최근까지 말은 ‘보다 사적이고 불안정한(유동적인) 소통매체’로 간주되어 온 경향이 있다. 그런데, 뜻하지 않게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말과 글의 새로운 관계지평을 열어 젖혔다. 서로 분리되었던 말과 글은 이제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재결합하고 있다. 바로 이 지점의 아이콘 중 하나로 문자메시지를 위치지울 수 있다. 글의 성격을 다분히 가진, 쓰여진 말인 문자메시지는 여러 차원에서 언어.사회적 상황의 새로움을 만들어내고 있다. 쓰여진 말은 문자 언어의 유연화를 촉진하고, 상징성과 감정성 회복을 촉구하고 있다. 나아가 글로서의 특성 또한 일정 정도 보유하고 있는 이 쓰여진 말은 상호작용 관계에 있어 일정한 변화를 추동하는 역할을 한다. 하다못해 단어 하나 때문에 긍정적/부정적 의미가 부정적/긍정적으로 바뀌기도 하고 정책과 사업이 성공하기도 하고 실패하기도 한다고 하는데 사회적 소통 상황의 전반적 변화를 가져온 쓰여진 말의 등장은 그에 비할 바아니다. 쓰여진 말로서의 문자메시지는 우리 시대 말과 글, 나아가 소통의 성격과 구조가 재구성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그 방향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al theoretical meaning of the birth of ‘new spoken language’ enabled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by regarding ‘text message’ as ‘written dialogue’ in the context of ‘the indirect and delayed dialogue at a different time and place.’ Unintentionally,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opened up a new relation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which although once separate are now being combined in different way. Text message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icons at this point. Written dialogue has been creating new linguistic social situations in diverse dimensions. The emergence and spread of written dialogue might often be perceived as trivial, but this should not be the case, especially if you remember that the invention of the letter is a milestone dividing the whole of history into before and after. Text message as written dialogue symbolically shows that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nd even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and structure of communication are being reconstituted. A sociological analysis of written language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electronic era we live in and to interpret and analyse the characteristic and change of relational and communicative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