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인천강지곡』 텍스트의 복원

        천명희 ( Cheon Myeong-hui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9 어문론총 Vol.79 No.-

        이 논문에서는 『석보상절』과 『월인석보』를 통해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월인천강지곡』 중권(中卷)과 하권(下卷)의 복원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월인천강지곡』은 1447년(세종 29) 왕명에 따라 수양대군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석보상절』을 지은 후 세종이 석가의 공덕을 찬송하여 지은 노래로서 『용비어천가』와 아울러 ‘훈민정음’으로 표기된 최고(最古)의 국어사 자료이다. 현재 1914년에 발견된 상권(上卷)만이 전하고 있으며 중권과 하권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아서 『석보상절』에 끼인 낙장본(落張本)과 『월인석보』에 실려있는 ‘월인천강지곡’을 수합하여 그 전체 규모를 헤아릴 수 있다. 현재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는 『월인천강지곡』 상권에 其1-其194까지 194곡이 남아 있으며, 『석보상절』 권6(其145-154와 其174-175의 12곡), 권9(其254-255 2곡), 권13(其275 1곡)에 15곡이 남아 있다. 그리고 『월인석보』에 377곡과 其260의 후절(後節)이 남아 있다. 요약하면 총 583곡으로 추정되는 전곡(全曲) 가운데 其303-311의 9곡(『월인석보』 권16 부전), 其520-576의 56곡(『월인석보』 권24 부재) 등 65곡의 가사가 없으며, 따라서 현전하는 ‘월인천강지곡’은 총 518곡이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월인천강지곡』 중권과 하권의 복원은 『월인석보』가 한자와 훈민정음 표기서열의 문제와 한자음의 종성 표기와 ‘ㄹㆆ’ 표기의 차이 등을 제외하면 큰 내용상의 변개가 없기 때문에 재구성에 어려움이 없다. 다만 『월인석보』의 판본들이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거나 혹은 발견된 판본 중에 훼손된 부분이 다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 복원을 위한 전제로서 『월인천강지곡』 상권과 현전하는 『월인석보』 속 가사의 곡차(曲次)와 내용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검토 후 『월인석보』의 판본들이 곡차의 빈 칸을 메우는데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한 문제가 논의되어야 한다. 또한 『월인석보』 권7의 其177-195가 『월인천강지곡』 상권의 其176-194와 동일한 내용이지만 곡차가 한곡 늘어난 이유, 『월인석보』 권25의 其583이 결사 인지의 여부, 각 노랫말의 일부 차이, 텍스트의 서사적 구조와 저경(底經)의 연결 구조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월인석보』 속의 ‘월인천강지곡’은 당시 표기 규정을 제외하고는 세종이 친제한 『월인천강지곡』 단권본(單券本)의 모습을 큰 변개 없이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월인석보』 가운데 복각본만 남아 있는 권4, 권22의 경우에도 초간본과 복각본의 표기 차이는 대부분 오각이나 탈각 혹은 일부 표기법이 반영된 정도이므로 가사의 곡이 획기적으로 변개되지 않은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a possibility of restoring Vols. 2 (中卷) and 3 (下卷) of Wolincheongangjigok which have not been found yet, from Seokbosangjeol and Wolinseokbo. Wolincheongangjigok was a song written by King Sejong in praise of the virtues of Shakyamuni after Grand Prince Suyang wrote Seokbosangjeol in 1447 (Sejong 29) in memory of Queen Soheon as per the king’s order. Along with Yongbieocheonga, it is the oldest (最古) record written in ‘Hunminjeongeum’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Currently, only its Vol. 1 (上卷), which was found in 1914, is available while its Vols. 2 and 3 have not been discovered. Thus, its entire scale can be only conjectured by combining the version with missing pages (落張本) inserted in Seokbosangjeol and the version contained in Wolinseokbo. For the text of Wolincheongangjigok, there are currently 194 songs from Gi-1 to Gi-194 in its Vol. 1, and 15 songs from Vol. 6 (12 in Gi-145 to Gi-154 and Gi-174 to Gi-175), Vol. 9 (2 in Gi-254 to Gi-255), and Vol. 13 (1 in Gi-275) of Seokbosangjeol. In Wolinseokbo, there currently remain 377 songs and the latter half (後節) of Gi-260. In summary, among an estimated total of 583 songs (全曲), there are no lyrics for 65 songs: 9 songs from Gi-303 to Gi-311 (Vol. 16 of Wolinseokbo has not been found) and 56 songs from Gi-520 to Gi-576 (Vol 24. Of Wolinseokbo has not been found). Hence, 518 songs currently exist today for Songs of the Moon’s Reflection on a Thousand Rivers. There is no difficulty to reorganize and restore Vols. 2 and 3 of Wolincheongangjigok as there is not much change in content except for some problem with Sino-Korean and native Korean writing sequences in Wolinseokbo, differences with the writing system for Sino-Korean characters’ final sounds and ‘ㄹㆆ’. We need to consider, however, that some volumes of Wolinseokbo have not yet been found, or some discovered versions include damaged parts. As a premise to restore the text,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re is any lyrical blank (曲次) between Vol. 1 Wolincheongangjigok and existing lyrics in Wolinseokbo and then discuss whether it is justifiable to use volumes of Wolinseokbo to fill up the lyrical blanks. Furthermore,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why there is one more song even though Gi-177 to Gi-195 in Vol. 7 of Wolinseokbo have the same content as Gi-176 to Gi-194 in Vol. 1 of Wolincheongangjigok, whether Gi-583 in Vol. 25 of Wolinseokbo is the end, some differences in each lyric, the text’s narrative structure, and connections with underlying texts (底經). Wolincheongangjigok in Wolinseokbo reflects the original single versions (單券本) of Wolincheongangjigok written by King Sejong himself without much change except for its writing rules at that time. For Vols. 4 and 22 of Wolinseokbo, which are only available in copied versions, most differences between original and copied versions are about typos, missing words or some other writing system; it substantiates that the songs’ lyrics had not been changed dramatically.

      • KCI등재

        적천사(磧川寺) 『묘법련화경』 목판의 국어학적 특성

        천명희 ( Cheon Myeong Hui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3 No.-

        이 글에서는 경상북도 청도군에 위치한 적천사에서 발견한 『묘법련화경』 목판을 소개하고, 한글표기의 특성을 고찰하여 새로운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적천사에서는 9종의 목판이 발견되었다. 이 중 법화경은 3종으로 그 가운데 이 논문의 대상이 된 한글로 표기된 묘법련화경은 9판이 있다. 책으로 간행되어 알려진 바가 없기에 정확한 서명(書名)을 알 수 없으므로 우선 <홍뎐셔一>에 표기된 ‘묘법련화경홍뎐셔’의 기록을 기준으로 잠정적으로 서명을 『묘법련화경』으로 삼는다. 9판 18면의 목판은 각각 그 크기와 형식 및 어미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각기 다른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판심제 역시 ‘홍뎐셔, 셔, 요□션, 요□셔, 판, 과판’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전체적인 구성은 『법화경오서언해』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나 판<二十> 이후의 내용이 없어 확신할 수는 없다. 적천사 묘법련화경 목판은 간행기록이 나타나지 않아 현재까지 그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는데 여기에서는 표기 특성을 밝혀 간행시기를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으로 추정하였다. 표기법에서 분철과 중철, 혼철 등이 복잡하게 나타나며 합용병서의 경우 혼란을 드러내는 예가 확인되었다. 속격어미 ‘□’, ‘애’가 ‘의’로 표기되며, 종성 ‘ㅅ’과 ‘ㄷ’의 표기에서도 혼기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의 변화에 있어서는 2단계 변화의 예는 보이지 않는다. 또한 ‘ㄷ’ 구개음화의 예가 실현되며, ‘ㅿ’의 표기도 복잡한 혼기가 나타난다. 한자음의 경우 음운현상이 반영된 한자음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 판본에는 방언을 표기한 것으로 여겨지는 예가 나타나며 여러 부분에서 오각이나 한글표기 방식에서 벗어난 형태가 확인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woodblocks of “Lotus Sutra” found in Jeokcheonsa Temple located in Cheongdo-gun, Gyeongsangbuk-do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markings to identify their value as a new historical data for Korean language. 9 types of woodblocks were found in Jeokcheonsa Temple, and 3 of them were Lotus Sutra which had 9 editions written in Hangul which became the subject of this paper. Since the exact title is unidentified as nothing has been published in books, this paper will assume the “Lotus Sutra” as a provisional title based on the ‘홍뎐셔’ recording of ‘Myobeopryeonhwagyeong’ shown on <홍뎐셔一>. The woodblocks of 18 pages on 9 editions have differences in each of their sizes, forms, and endings. The title at the center of text in woodblocks appear in various forms such as 홍뎐셔, 셔, 요□션, 요□셔, 판, 과판, etc. Although the overall constitution is to be similar to the “Beopheagyeongoseoeonhae”, it cannot be certain because there is no content after Book <二十>. The existence of Lotus Sutra in Jeokcheonsa Temple has not been known since the published book recordings have not appeared, this paper assumed the publication period to be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by identifying the marking characteristics. The orthography had complicated separated spelling, double spelling, and repeated consonants, etc., and examples of confusing consonant cluster were also found. The writing of final sounds ‘ㅅ’ and ‘ㄷ’ were noticeably intermixed. There was no example of stage 2 changes for ‘·’. Examples of ‘ㄷ’ palatalization were also found, and ‘ㅿ’ had complex intermixed writing. Phonological readings of Chinese characters also appeared. Especially, this woodblock printed book had examples writing dialects, and wrong carvings or different writings of characters were found in many parts.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윤형기의 『朝鮮文字解說』 연구

        천명희(Cheon, Myeong-Hu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0 No.-

        이 논문은 경북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국어 연구서인 『조선문자해설』의 전반적 특질을 살펴보고 책에 반영된 국어학적 내용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문자해설』은 1941년 음력 8월(仲秋)에 34쪽의 필사(筆寫) 프린트판으로 인출한 책자로서 지금까지 학계에서 관심 영역에서 벗어나 있던 일제강점기의 언어민족주의 관점에서 나타난 논저들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저자는 경상도 청도(道州之東)에 살던 공암산인(孔岩山人) 윤형기(尹亨基)로서 현재 청도군 운문면 공암리에 거주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문자해설』은 서문과 본문 6장 및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문자의 조직, 2장은 전명음(前鳴音)과 후명음(後鳴音), 3장은 구제(舊制)문자와 신제(新制) 문자, 4장은 잘못된 음과 잃어버린 음, 5장은 개량의 희망, 6장은 22항에 걸친 질의응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록으로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예의(例義) 편이 실려 있다. 저자는 한글의 문자를 전명음과 후명음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종성은 부음(附音)으로 처리하는 등 전혀 생소한 용어를 만들어 설명하고, 각 글자의 음도(音圖)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훈민정음’ 이전에 고대문자가 존재하였다고 주장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훈민정음’의 창제를 구제문자(14자)와 신제문자(14자)가 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라는 실증적 근거가 미약한 색다른 주장을 펼치고 있다. 아울러 소멸한 ‘아’의 음가를 새롭게 규정하고, ‘니, 디, 티’ 등 15자가 잘못 발음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으며, ‘ㆆ’와 ‘ㅿ’ 등 소실음(消失音)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또한 ‘ㅌ’을 ‘□’으로 바꾸어야 할 것과, ‘ㆁ’ 문자 및 후명음자 ‘ㅑ, ㅕ, ㅛ, ㅠ’의 폐지, 그리고 문자의 가로쓰기를 주장하고 있다. 또한 한글 초서체(草書體)의 제정이 필요함을 보이면서 스스로 제작한 초서체 글자를 소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Characters,” a Korean language reference book owned b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d analyze Korean linguistic structures in the book.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Characters” was published as a 34-page transcription printed book on August 1941 of the lunar calendar, and is evaluated as one of many books with language nationalistic perspectiv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has not received much interest of the academia. The author was Gongamsanin Hyeong-gi Yoon who lived in Cheong-do, Gyeongsang-do, who is now assumed to be residing in Gongam-ri, Unmun-myeon, Cheongdo-gun.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Characters”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6 chapters of Body, and Appendix. Chapter 1 is on the Organization of Characters, Chapter 2 is on Former Resonance and Latter Resonance, Chapter 3 is on the characters of Old System and New System, Chapter 4 is on wrong sounds and lost sounds, Chapter 5 is Hope for Improvement, and Chapter 6 consists of 22 questions and answers. The Appendix contains Model Example of “Hunminjeongeum.” The author classifies Hangul characters into Former Resonance and Latter Resonance, and creates and uses completely unfamiliar terms to explain final consonants by adding sounds to them, while suggesting sound diagrams of each character. He also argues that ancient letters had existed before ‘Hunminjeongeum’ with evidence and that ‘Hunminjeongeum’ was invented by combining the characters of Old System (14 letters) and New System (14 letters), which lacks empirical basis as a new argument. Furthermore, the author suggests a new phonetic value of ‘아’ which became extinct, points out that that 15 letters including ‘니 (ni), 디 (di), and (ti)’ have had wrong pronunciations, and also mentions lost sounds such as ‘ㆆ’ and ‘ㅿ’. He also argues that ‘ㅌ’ must be changed into ‘□’ and the use of letter ‘ㆁ’ as well as latter resonance letters ‘ㅑ, ㅕ, ㅛ, ㅠ’ must be abolished, while horizontal writing must be adopted. He also argues that the cursive style of Hangul must be enacted and introduces cursive styles he has created on his own.

      • KCI등재

        고성 이씨 소장 『해도교거사』의 국어학적 가치

        정연정 ( Yeon Jeong Jeong ),천명희 ( Myeong Hui Che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연구는 『해도교거사』를 소개하고 창작자와 창작시기를 고증하며, 내용에 드러난 국어학적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도교거사』는 한글로 표기된 내방가사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의 부인인 김우락이 만주로 망명하여 창작한 작품이다. 가사의 말미 부분이 훼손되어 창작자와 창작 시기에 관한 기록이 없지만 가 사의 내용을 토대로 추정이 가능하다. 『해도교거사』는 1911년(辛亥年) 가을 유 하현(柳河縣) 영춘원(永春源)에 정착한 직후에 창작되었으며 따라서 현재까지 알려진 만주 망명지 가사 중 최초의 작품이 된다. 안동에서 출발하여 압록강을 건너는 망명의 경로를 비롯하여 만주 영춘원에 이르는 정착의 과정이 매우 세밀하게 나타나 있어 중요한 사료적 가치가 있다. 또한 작가가 1913~1914년에 창작한 『간운□』, 『조손별서』와 동일하게 망명지에서 독립운동을 함께 한 여성들의 역경과 고난이 잘 드러나 있다. 『해도교거사』에는 개화기 국어의 국어학적 특징이 반영된 표기가 드러나며, 특히 국내외의 지명과 시대 상황을 반영한 어휘는 물론 작가가 60여 년을 생활한 안동지역의 여러 방언이 나타난다. ‘Haedogyogeosa”, which is a ‘gasa’, a form of prose during Joseon dynasty.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ing. Haedogyogeosa is a ‘gasa’ written in Hangeul by a lady. The lady is Kim U-rak, who was the wife of Seokju Yi Sang-ryong. Yi Sang-ryong was the first Gukmuryeong, the head,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Kim U-rak wrote this gasa when she was in Manchuria as an exile. The gasa was written immediately after Kim U-rak settled in Yeongchunwon (永春源) in Yuhahyeon (柳河縣), when was the fall of the year 1911 (辛亥年). Therefore, the Haedogyogeosa is the earliest one among the gasa’s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Koreans in Manchuria in exile. Kim U-rak also wrote other gasa’s such as Ganwunsa and Jyosonbyeolseo in 1913 and 1914. Like these two gasa’s, the Haedogyogeosa describes the hardship and adversity suffered by the ladies,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 in exile. The gasa is an important one because it has historical value by describing the route of exile and the process of settlement until they arrived at Yeongchunwon in very minute detail. There are Hangeul writing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nguistics at the late 19th century. The geographical names of Korean and overseas and the vocabularies reflected the time also include various dialects of Andong area, where Kim U-rak lived more than 60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