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행록 소재 누정기(樓亭記)의 정의 및 특징

        차오후이 ( Cao Hui ) 연민학회 2016 연민학지 Vol.25 No.-

        본고는 임기중이 편찬한 『燕行錄叢刊增補版』과 한국고전종합DB에서 제공한 『연행록선집』을 텍스트로 삼아 연행록 소재 독립된 누정기를 다루었다. 누정기의 정의 및 범위 검토에 주력하였으며 연행록 소재 누정기의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먼저 연행록 소재 독립된 누정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의를 내렸다. 누정기란것은 亭, 臺, 樓, 閣, ?를 비롯한 유람과 관상의 건물과 軒, 堂, 齋, 室, 館을 비롯한 여가와 휴식의 거소를 소재로 쓴 기문이다. 누정의 이름, 위치, 기능, 구조 등 제반 사실, 누정 숙조 관련 사항, 주변 경치에 대한 묘사, 누정 명칭에 대한 논설, 누정과 누정 주인의 고사와 역사, 누정 주인 공덕에 대한 칭송 등은 모두 누정기의 내용이 될 수 있다. 다만 서술한 내용의 초점은 누정이라는 건축물에 벗어나지 않는다. 누정에 관련된 것을 중심으로 쓴 것이 아니라면 누정기라고 할 수 없다. 이 정의를 바탕으로 연행록에서 총 31편의 독립된 누정기를 뽑아서 표로 정리하였다. 독립된 누정기는 18세기 후반에서야 처음으로 연행록에서 등장하였다.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연행록 작가층이 정사, 부사, 서장관 이외로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삼사가 아닌 조선 문인들이 공적 업무 말고 산천 유람, 개인 교유, 경제활동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산천 유람을 하면서 수려한 경치와 거대한 누정을 보고 느낀 바가 있어서 저절로 누정기를 남겼다. 또한 유명한 누정을 통해 누정기를 지어 자신의 문명(文名)을 알리고자 하는 의향도 없지 않아 보인다. 둘째, 북학파가 연행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북학파가 중화의 문명을 받아드리고자연경에 가서 형식적으로도 내용상으로도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누정기는 새로운 형식인 잡지체 연행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연행록 소재 누정기는 타인의 청탁을 받고 쓴 누정기와 달리 모두 저자가 누정을 참관한 후 느낀 바가 있어서 창작한 것이다. 실제로 보러 찾아간 것이라서 누정을 찾으러 가는 과정 및 누정 주변 경치에 대한 묘사가 상세하고 뛰어나다. 이는 연행록 소재 누정기의 한 특징이다. 그러므로 독자들이 유기와 비슷하다고 느낄 수 있다. 그렇지만 유기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해서만 쓸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보지못한 경물을 묘사하지 못한다. 누정기는 시간적 제약을 초월하여 상상하거나 타인에게 들었던 것을 바탕으로 그 누정과 주변 경치의 가장 아름다울 때의 경치를 묘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누정기와 유기를 구별할 수 있다. 편폭으로 인해 연행록 소재 누정기의 정의와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향후 연행록 소재 누정기의 서술체제와 사상의식 등의 특질을 드러내도록 계속 연구할 것이다. In this report, Supplementary Edition of General Yeonhaengrok DB(Key Zung Lim, 2016) and A selection of Yeonhaengrok which is provided on the site named DB of Korean classics are used as the materials. This report mainly discusses the defin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 亭記)` which are included in the Yeonhaengrok. At first, I make a definition of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is a kinde of Kimun(記文) which is about the traditional house for sightseeing such as Jung(亭), Tae(臺), Kak(閣), Sa(?), and the leisure traditional house where can take a rest such as Hun(軒), Tang(堂), Jae(齋), Sil(室). It can contain fundamental information of traditional house such as name, position, function, structure; the discussion about the name of traditional house; the history and story of traditional house; encomium upon traditional house owners, as long as it does not divorce from the traditional house. I refor to the definition to make a table which contains 31 pieces of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which are included in the Yeonhaengrok. It was 1765 years when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 first appeared in the Yeonhaengrok. There are two reasons. Firstly, at that time, the identity of Yeonhaengrok`s writers became diversified. People who can went to China were not only Jeongsa(正史), Busa(副史), Seojaongwan(書狀官), but also entourages such as Jajegungwan(子弟軍官). Entourages did not need to do official jods, so they had time to travel, trade and make friends with Chinese. When they traveled in China, beautiful scenery and magnificent architecture touched them, so they writed many pieces of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 Secondly, Bughakpa(北學派) became popular at that time. Bughakpa(北學派) academics tried to accept Chinese civilization, so they leaved so many records which have substantial content and new form.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Jabjiche(雜識體).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which are included in the Yeonhaengrok have outstanding scenery description. It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which are included in the Yeonhaengrok.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which are included in the Yeonhaengrok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 Readers may be think it is the same as travelogues, because of the outstanding scenery description. Howere, we can identify which is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by seeing if it can descript scenery without time limit. Because people have to write travelogues accord to what they experience. But when people write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s`, they can image the most beautiful scenery and leave timeless record. Because of paper length limit, I just discusses the defin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樓亭記)` which are included in the Yeonhaengrok in this report. In the future, I will continue to do intensive study of this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