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품에 표시된 녹색주장과 그린워싱 분석

        차경욱(Cha, Kyung-Wook),이은희(Lee, Eun Hee),유현정(Yoo, Hyun J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시장조사를 통해 제품에 표시된 녹색주장(문구, 마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내용별 제품군별로 분석하고, 녹색마크의 경우에는 인증유형별로도 비교하였다. 또한 소비자를 오도하는 그린워싱의 사례를 파악하여 그린워싱 유형별, 제품군별로 분석하였다. 녹색주장의 내용은 1)포괄적 속성과 효능 2)인체, 환경에 유해한 물질 함유량 저감 3)오염물질 배출량 저감 4)에너지 절약, 절감 5)자원절약 6)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으로 구분하였고, 녹색마크는 법정인증마크와 기업자율마크를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린워싱의 유형은 1)근거정보 부재 2)모호한 표현 3)불명확한 대상 4)유사, 모조마크 5)과장된 표현으로 구분하였다. 시장조사는 백화점과 대형마트 14곳 각각에서 7개 제품군(식품류/의류ㆍ침구류/화장품ㆍ생활용품/가전제품/자동차관련용품/주택관련자재/가구ㆍ주방기기ㆍ장난감류), 19개 하위영역에 따라 총 789개의 제품을 조사하였고, 녹색주장(문구, 마크)이 포함된 372개 제품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372개 제품에서 수집한 녹색주장은 총 609건이었고,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물질 함유량이 적음을 주장하는 문구와 마크(천연, 자연, 무농약, 무공해, 무첨가, 무자극, 저공해, 유기농, 무해한, 위해요소 저감 등)가 가장 많았다. 둘째, 자원절약(재활용물질 함유, 재생자원 사용 등)을 표시한 문구, 마크가 가장 적었고, 폐기물 처리와 재활용 관련 주장은 대부분 분리배출표시(법정강제)였으며 그 외의 표시는 거의 없었다. 셋째, 녹색관련 주장(문구, 마크) 중 약 47%는 그린워싱의 유형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였다.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낸 그린워싱은 녹색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정보가 없는 경우였고, 그 다음은 정확한 기준 없이 막연하게 표현한 것이었다. 의류와 침구류, 화장품과 생활용품에서 상대적으로 그린워싱 사례가 많이 발견되었다. 넷째, 녹색관련 마크 중 약 11%는 유사, 모조마크로 그린워싱에 해당하였다. 다섯째, 유기농은 식품류의 녹색주장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했으나, 근거정보가 부족하고 유사, 모조마크가 많아 단일 문구로는 그린워싱 사례가 가장 많았다. This study examined green claims(words, statements, symbols, logos) on the market products, and gave an account of the state of greenwashing. We categorized 6 green claims by the attributes which convey to consumers an environmental superiority to other products: 1) general claims of environmental benefit 2) no harms to human and atmosphere 3)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4) energy saving 5) source reduction 6) recyclable. Both environmental seals of approval which were approved by the related laws and the certifications from third-party organizations were examined. We categorized 5 types of greenwashing: 1) No proof 2) vagueness 3) No specificity 4) imitated labels, symbols 5) exaggeration. The shop-visit research was applied to 7 groups of products (foods, clothes and bedding, cosmetics, electronics, cars and belongings, houses and belongings, furniture and cooks tool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rom 372 products, we gathered 609 green claims including words, statements, symbols and labels. The most frequently expressed or implied claims were those which claimed the attributes of no harms to human and atmosphere. Second, the source reduction claims and recyclable claims were less likely to be found. Third, 47% of green claims were greenwashing. The type of no proof and vagueness were more likely to be found. For the products of clothes and bedding, the cases of greenwashing were more likely to be found. Forth, 11% of labels and symbols were greenwashing which mislead consumers. Fifth, the organic was most frequently expressed claims especially for the foods. It showed the greenwashing cases of no proof and imitated symbols.

      • 개인투자자의 손실회피성향, 위험태도와 가계금융자산 보유 특성

        차경욱(Kyung-Wook Cha),정다은(Da-Eun Jung) 한국FP학회 201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6 No.3

        본 연구에서는 잠재이익과 잠재손실에 대한 개인 투자자의 위험선호도를 비교함으로써 손실회피성향을 파악하고, 위험태도에 따라 손실회피성향을 비교하며, 나아가 손실회피성향과 위험태도에 따라 가계의 금융자산 보유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행동 재무적 관점에서 개인의 투자성향과 자산배분행동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계의 금융거래와 자산관리를 주로 담당한다고 응답한 30대 이상 남녀 391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이익 보다는 잠재손실에 대한 위험선호도 평균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손실회피성향을 실증적으로 설명해 주었다. 둘째, 잠재이익과 잠재손실 상황에 대한 위험선호도, 손실회피성향은 개인 투자자가 가지고 있는 위험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잠재손실에 대한 위험선호도가 위험회피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위험회피 집단에서는 손실회피성향이 나타난 조사대상자의 비율도 높았다. 셋째, 손실회피성향이 나타난 집단의 안전금융자산 및 금융자산 총액이 유의하게 적었다. 넷째, 위험추구 집단은 금융투자자산 보유액이 유의하게 많았다. 위험 추구성향이 높을수록 위험자산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고,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위험추구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해 주었다. 다섯째, 손실회피성향이 나타나고 위험회피집단에 속하는 조사대상자들은 자산상태가 상대적으로 열악했다. 이들은 잠재이익 보다는 잠재손실에 대해 위험을 더 선호하여 확실한 손실을 피하고자 함과 동시에, 위험을 회피하는 투자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잠재손실이 현실화 될 경우 감당해야 하는 재정적 부담이 클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dividual investors’ loss-aversion which is based on the prospect theory’s asymmetric value function, and their financial risk attitude. And this study compared the amount of financial assets by individual investors’ loss-aversion and risk attitu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391 individual investors answers were finally select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pensities of risk-taking were higher for the potential loss than for the potential gain. This result showed the empirical evidence of the propensity of loss-aversion. The propensity of risk-taking for potential gain and loss was different among risk attitude groups. The level of risk-taking for potential loss was higher for the risk-aversion group than other groups. The group which had loss-aversion propensity had significantly less amount of financial assets than the counterparts. However, the risk-taking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financial assets, especially investment assets than the counterparts. Those who had both loss-aversion and risk-aversion propensity had significantly less amount of financial assets than the counterparts.

      • KCI등재

        개인투자자의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행태 분석

        차경욱(Kyung-Wook Cha)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개인투자자의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현황과 투자특성을 파악하고, 투자자 특성에 따라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유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며,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파생상품(선물, 옵션) 또는 파생결합증권(ELS, DLS, ELW)을 보유하고 있는 20대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총 448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은 주식 및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상품 당 평균 투자금액과 기대수익률은 선물이 옵션 보다 높았다. 투자자들은 평균 2.4개의 파생상품에 투자하고 있었고, 총 투자금액은 3,560만원이었으며, 가격변동 위험에 대한 대비 보다는 높은 기대수익률이 주된 투자 이유였다. 둘째,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파생결합증권의 70%는 ELS였고, 투자금액, 기대수익률도 DLS, ELW에 비해 ELS가 높았다. 투자자들은 평균 1.54개의 파생결합증권을 보유하고 있었고, 총 투자금액은 3,680만원이었다. 셋째, 연령이 낮고, 배우자가 없고, 월평균소득이 적을수록, 과거 투자경험이 있고,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며, 위험선호형에 해당하는 투자자일수록 파생상품에만 투자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대졸이상, 자가를 보유하고, 월평균소득이 높은 집단,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며, 감수할 수 있는 투자위험이 큰 집단의 경우, 파생상품과 파생결합증권 모두에 투자하는 경향이 높았다. 본 연구는 개인투자자의 파생상품, 파생결합증권 투자행태를 이해하여, 개인의 투자의사결정과 금융회사의 상품개발, 판매과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investment characteristics of derivatives and derivative-linked securities of individual investor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derivatives and derivative-linked secur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ors, an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mount of investment in the derivatives and derivative-linked securiti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448 individuals aged 20 and over who have derivatives (futures, options) or derivative-linked securities (ELS, DLS, ELW). The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futures and options with stocks and stock index as underlying asset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derivatives. The average amount of investment and the expected rate of return were higher for futures than for options. Investors had 2.4 derivatives on average and a total investment amount of 35,600,000 won. About 70% of the derivative-linked securities were ELS, and the investment amount and the expected rate of return were higher than those of DLS and ELW. Investors had an average of 1.54 derivative-linked securities, and the total investment amount was 36,800,000 won. Those who had lower income, and no spouse tended to invest only in derivatives. Those who invested in both derivatives and derivative-linked securities had higher income and large amounts of financial assets. The risk-preference group with investment experiences in derivatives or derivative-linked securities, and who were expecting high returns were more likely to invest in derivatives.

      • 가계경제 측면에서 보는 저출산 현상

        차경욱(Cha, Kyung-Wook)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08 여성연구논총 Vol.6 No.-

        This study discussed evidence, cause, and policy responses of low-fertility in Korea. It focused on social and economic causes, such as the change of social value of marriage and childbirth, the increase of female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he increase of expenditures on children. Also, this study compared one-child households’ economic structures between those who determined not to have more children and those who have a birth plan. It examin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consumption expenditures, assets, debt, and a subjective evaluation of future economic status.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w-fertility households were older, had higher income, and had more educated, employed wives. Their marital duration was longer, and their child was older than those of birth-planned households. Second, low-fertility households had higher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did birth-planned households. Also, low-fertility households spent more than did birth-planned households. on a child. However, low-fertility households had significantly more debt than did their counterparts. and their expectation level of future economic status were lower than that of birth-planned households. Third, income elasticity of expenditure on a child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low-fertility households than their counterpar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개인연금 가입결정과 납입액 규모 및 가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차경욱(Kyung-Wook Cha) 한국FP학회 2015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개인연금 가입현황과 보유특성을 살펴보고, 개인연금 가입결정과 납입액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2단계 선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개인연금 가입유형을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개인연금 미가입자를 대상으로 가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전국의 만 20세-59세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460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연금 가입가계가 90%인데 반해, 퇴직연금 가입가계는 37%, 개인연금 가입가계는 55%로 나타났으며, 1,2,3층의 공적, 퇴직, 개인연금에 모두 가입한 가계는 24%에 불과했다. 개인연금 가입가계 중에서는 연금저축(세제적격)에 가입한 가계가 연금보험(세제비적격)에 가입한 가계의 2배 이상이었다. 연금저축과 연금보험에 둘 다 가입한 가계는 각 연금상품에 평균 이상의 금액을 납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입기간 역시 각각의 연금상픔 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연금 가입결정과 연간납입액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배우자가 있고, 자영업자, 사무직이고, 자가를 보유하고, 월평균가계소득이 높을수록, 공적연금, 퇴직연금에 가입하고, 은퇴 후 희망하는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연금 가입 가능성이 높아졌고, 노후준비수단으로 금융자산과 부동산을 보유한 가계는 개인연금 가입 가능성이 낮았다. 또한 개인연금 가입가계 중에서는 여성, 배우자 있는 가계, 대졸이상, 중소도시, 읍면부 거주가계, 공적연금 미가입 가계가 개인연금 연간납입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연금 미가입자의 53%는 향후 개인연금에 가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이유가 연금납입액의 경제적 부담 때문일 경우에는 향후 개인연금에 가입할 의향이 낮았지만, 미가입 이유가 개인연금상품 정보 부족 때문일 경우에는 개인연금 가입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decision and amount of individual annuities by using Heckman’s two-step estimation models. A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the type of annuities, such as annuity saving with tax credit and annuity insurance without tax credit. This study also analyzed purchase intention of individual annuities for those who do not have any annuity. The online survey results from the 460 respondents, aged between 20 and 59, are as follows. About 90% of households had public pension, 37% of them had retirement pension, and 55% of households had individual annuities. Those who had multi-pillar pension system were about 24%. Those who owned annuity savings were more than those who owned annuity insurances. The households which had both annuity savings and annuity insurances had higher level of annual amount of payment and longer periods of annuity holdings. Those who were married, self-employed, office workers, high income earners, and home owners were more likely to have public pension and individual annuities. In addition, those who possessed financial assets and real estates for the retirement planning were less likely to have individual annuities. Household’s income, asset holdings, education level, public pension had generally positive impacts on the amount of annual payment of annuities, while ownership of real estates for retirement planning appeared to decrease the probability of annuity holdings. About 53% of respondents who did not have individual annuity had intention of annuity purchase. Those who did not have annuity because of economic burden were not likely to purchase individual annuity. However, those whose reason was due to lack of information were likely to purchase individual annu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은퇴기간 경과에 따른 재무상태 변화 추이: 패널자료를 활용한 종단적 분석

        차경욱 ( Cha¸ Kyung-wook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21 금융소비자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은퇴시점부터 10∼12년 간의 자료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은퇴자 개인과 가계의 소득, 지출, 자산, 부채 변화 추이를 다각도에서 파악하였다. 국민노후 보장패널 1차조사(2005년)~7차조사(2017년)의 개인데이터와 가구데이터를 병합하여 활용하였고, 2005~2007년에 은퇴한 후, 2017년까지 은퇴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고령자 중 1차~7차까지 모든 조사에 응답한 3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일 표본을 추적 조사하여 은퇴기간 경과에 따른 소득과 지출의 규모와 구성비, 관련 재무비율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자산과 부채 보유율과 규모의 변화 추이를 파악함으로써, 재무상태의 변화 양상을 동태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총소득의 실질가치는 은퇴시점으로부터 은퇴 후 2∼4년 사이에 약 30% 감소했고, 이후 2년 동안 약 7% 더 감소한 반면, 가계총지출은 은퇴시점과 은퇴 후 2∼4년 사이에 약 8.3%만 감소했고, 이후 2년 동안 다시 15.4%가 감소했다. 은퇴 직후 소득이 큰 폭으로 감소했으나 지출은 그만큼 조정하지 못하였고, 이후 소득이 더 감소하자 지출 감소의 폭을 늘려 소득 감소에 대비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둘째, 총소득 대비 총지출의 비율은 은퇴시점에 0.721이었으나, 2009년 0.947까지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여, 2017년까지 0.86∼0.90의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은퇴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은퇴자 개인의 공적이전소득이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사적이전소득은 근로소득이 없어지는 시점부터 증가하여 보완의 기능을 했다. 은퇴 후 8∼10년이 경과한 2015년부터는 부동산소득의 비중이 증가했다. 넷째, 총지출 대비 소비지출의 비율과 소비지출 비목별 구성비는 은퇴기간 경과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다섯째, 거주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자산 보유율은 대체로 은퇴 이후 2∼4년에 급격히 감소했다가 일정 기간(6∼8년 가량)이 경과한 후, 다시 증가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다. 여섯째, 부채 보유율과 부채 보유액은 은퇴 직후 크게 감소하였으나, 부동산자산의 평균 보유액이 크게 증가한 시점인 2015년에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income, expenditure, assets, and liabilities of individual retirees and their households were identified by longitudinally analyzing data from 10 to 12 years from the time of retirement. Personal data and household data from the 1st wave(2005) to 7th wave(2017) of the KReIS(Korean Retiremenr and Income Study) were merged and used. The sample were 315 retirees who responded to all surveys from 1st to 7th waves, and who retired from 2005 to 2007 and remained in retirement until 2017. By tracing the same sample, the study identified changes in the amount and composition of income and expenditure, financial ratios, asset and liabilities holding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tal household income decreased by about 30% between the time of retirement and 2 to 4 years after retirement, and further decreased by about 7% for the next 2 years. On the other hand, total household expenditure decreased only about 8.3% between the time of retirement and 2 to 4 years after retirement, and then decreased by 15.4% again in the following two years. Second, the ratio of total expenditure to total income was 0.721 at the time of retirement, but increased to 0.947 in 2009 and then decreased again, showing a level of 0.86 to 0.90 until 2017. Third, the public transfer income of individual retirees continued to increase as the retirement period elapsed. From 2015, 8-10 years after retirement, the share of real estate income increased. Fourth, the ratio of consumption expenditure to total expenditur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s the retirement period progressed. Fifth, the asset holding rate including residential housing showed a pattern of sharply decreasing 2 to 4 years after retirement, and then increasing again after 6 to 8 years. Sixth, the debt holding ratio and the amount of deb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retirement, but turned to an increasing trend in 2015, when the average holding of real estate assets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