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5년부터 2016년까지 광고디자인 연구 동향과 특성에 대한 내용분석: 국내 11개 주요 디자인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진진아 ( Jin Jinah ),이철영 ( Lee Chull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7 No.-

        연구배경 광고의 중요성에 비하여 학술적 연구로서 광고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다른 디자인 분야보다 부족한 면이 있다. 본 연구는 광고디자인 연구 초기부터 현재까지 연구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독자적인 학술분야로서 광고디자인의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22년간 국내 대표적인 11개 디자인 학술지에 게재된 광고디자인 연구논문 총 316편을 내용분석방법에 의거하여 유목과 항목을 개발하고 코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고 연구결과는 카이제곱 검정과 교차분석을 통해 동향의 유의성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 논문편수의 시기별 추이분석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연구편수는 증가하였는데 특히 2000년대 전반기 큰 증가폭을 보였다. 연구자전공은 시각디자인 전공자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표현전략·제작기법과 광고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가 가장 크게 증가했다. 질적연구의 사례분석 연구가 많았으며, 신문과 잡지 등 전통매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여전히 다수를 차지하였다. 결론 대다수의 연구가 구성요소와 표현전략에 대한 기술적 관점에 치중하고 있다. 광고가 사회문화적 산물이라는 점에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단순 사례분석에서 심층적이며 실험적 연구로 확장되어야 하고, 연구 대상 매체 또한 시대적 요구에 맞게 발전되어야 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review and underline the trend and features of the literature on the advertising design papers published in the 11 major design journals in Korea. By doing so, we aim to get the general view of advertising design research since the beginning stage of its academic efforts and to pave the way to get better research knowledge as we should delve into developing advanced research ques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Total of 316 articles appeared in the years of 1995 through 2016 in 11 major design journals were selected and coded as specified by the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changes or ratios was checked. Result Advertising design element, design strategy and production tactics account for major portion. As the total number of the articles was increasing, non-design researchers were found to begin to involve in advertising design research. Case study and its qualitative approach were most used, and traditional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 were still the major interest as apposed to the new media popularity in content design research. Conclusion Advertising design research needs to expand its focus on th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from traditional media to convergent media and contents. Case study has to touch on in-depth or experimental inquisitions so that our design research in advertising adequately address the contemporary culture and media issues.

      • KCI등재

        GUI(Graphic User Interface) 디자인의 연구동향에 관한 내용분석

        진진아 ( Jin Jin A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와 디바이스 간 커뮤니케이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지난 19년간 진행된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1998년 처음 시작된 논문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07편을 연구자의 특성, 연구특성, 연구주제, 학술지특성, 기타특성으로 분류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문제검증을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구자 수는 2명 공동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디자인전공의 학계소속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모바일 매체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서베이를 이용한 실증연구가 제일 많았다. 그 다음으로 사례분석과 실험연구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전반적으로 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가 늘어나는 추세로 관찰되었다. 셋째, GUI디자인의 구성요소와 특성 및 표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개념/이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등재지의 게재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GUI디자인에 관한 논문의 평균 페이지 수는 11.49페이지, 평균 키워드 수는 3.28개였으며, 참고문헌은 학술지, 학위논문, 온라인, 기타의 4개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세부항목별 평균 인용개수가 3.33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 인터페이스에 매우 중요한 요인인 GUI디자인의 학술적 동향을 파악하고 함의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for the last 19 years through analyzing the trend of research on GUI (Graphic User Interface)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user and device in the wake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present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107 paper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early ones in 1998 and those published in the domestic journals up to December 2017 by researcher characteristics, research characteristics, research topics, journal characteristics, and other characteristics.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study, and chi-squared test were analyzed with them.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the most frequent number of researchers was 2, with most of them working in academia and majoring in design. Second, the majority of the studies treated mobile media, focusing on an empirical research that used surveys. It was followed by case study an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and in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bested quantitative research. Third, most of the researches addressed the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the GUI design, while nearly no research was done on its concept and theory. Fourthly, most of the papers were published in listed journals. Last but not least, the average number of pages of those papers on the GUI design was 11.49 and the average number of keywords was 3.28. When surveyed by journals, degree thesis, online, and others, the papers were cited on average 3.33 times in specific categor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trends in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GUI design, which is a very important factor of diverse media interfaces, and come up with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